대한항공,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 위성 구조계 개발
국내 위성 개발 분야 본격 진입…“우주 산업 선도”

대한항공은 KPS 위성 구조계의 성공적인 개발을 위해 지난 20년간 정지궤도(적도 상공 약 3만5800㎞의 원 궤도) 천리안 위성 1호, 다목적 실용 위성 3호‧5호 등을 통해 확보한 위성 구조계 개발 기술과 전문 인력 및 세계적인 수준의 항공 우주용 복합재 제작 조립 시설 등을 활용한다.
KPS는 2035년까지 정지궤도에 총 8기의 위성을 배치해 한반도와 주변 영역에 센티미터 급 위치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는 고정밀, 고신뢰성의 위성항법시스템을 구축하는 프로젝트다. 평시에는 미국의 상용 GPS와 호환돼 고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GPS 사용이 제한되는 상황에서도 안정적으로 한반도 지역에 위성 항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체계다.
대한항공은 2021년부터 소형 발사체 공통 격벽 추진제 탱크, 3t 엔진 등과 같은 핵심 구성품 개발을 시작으로 우주 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보잉 및 에어버스와 협업해 복합재 샌드위치 패널 제작, 구조물 조립 등 위성 구조계 개발 관련 기술을 꾸준히 발전시키고 있다.
대한항공은 “자사 품질 수준은 항공 우주 선진국에서도 인정받고 있다”며 “이러한 기술과 역량이 이번 KPS 위성 구조계 사업 수주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대한항공은 2025년 KPS 위성 1호기 구조계 개발을 시작으로 2035년까지 후속 KPS 위성 8호기까지 개발해 납품하는 등 성공적인 사업 수행을 목표로 전사적인 역량을 집중할 방침이다.
대한항공은 “향후 달착륙선 위성 개발 분야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할 예정으로 다양한 위성 개발 기술과 경험을 바탕으로 뉴 스페이스 시대 민간 우주 산업 분야를 선도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지난해 육아휴직자 10명 중 3명은 남성…처음으로 30% 넘어
2국민 55%는 ‘국장’보다 ‘미장’ 선호…그 이유는?
3SK텔레콤, MWC 2025 참가…AI 기반 혁신 기술 공개
4주가 '반토막' 더본코리아 ...백종원 '오너 리스크' 함정 빠지나
5비만치료제 개발 드라이브…新치료제 개발 속도 내는 한미
6‘똘똘한 1채’ 열풍…지난해 서울 아파트 외지인 매입 역대 최고
7삼성물산, 4544억원 규모 송파 대림가락 재건축 시공사 선정
8한미약품그룹 갈등 종결…지배구조 향방 주목
9불확실의 시대, 리더는 왜 독서를 멈출 수 없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