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빌라'에 손 가네...비(非)아파트 사들이는 3040 늘었다

금리 낮은 대출 정책 힘입어
출퇴근 쉬운 지역 주택 매수

한강 인근의 아파트 단지 [사진 신인섭 기자]
[이코노미스트 선모은 기자] 올해 들어 서울에서 비(非)아파트를 매입한 30대의 비중이 크게 늘었다. 아파트 가격 상승에 부담을 느낀 사람들이 여러 정책 대출을 활용해 출퇴근이 쉬운 도심 인근의 주택을 매수한 결과라는 분석이다.

우리은행은 한국부동산원 통계를 활용해 소유권 이전 등기를 기준으로 2022년부터 2024년까지 서울 연령대별 비아파트(연립·다세대, 단독·다가구주택) 매입 비중 추이를 분석했다.

그 결과, 30대의 올해 1분기 기준 비아파트 매입 비중은 18.9%로 집계됐다. 전년 동기(14.8%)보다 4.1%포인트 늘었다. 다른 세대와 비교해도 증가 폭이 가장 크다. 30대에 이어 비아파트를 가장 많이 사들인 세대는 50대(22.5%)다. 40대(18.4%)와 60대(16.3%)도 뒤를 이었다.

남혁우 우리은행 자산관리컨설팅센터 연구원은 "비아파트 주택은 가격이 저점이라는 인식이 확산한 데다 투기과열지구 같은 규제 지역 해제, 재개발 규제 완화 등에 힘입어 관심이 커지고 있다"고 했다. 또, "지난 1월 시행된 낮은 금리의 신생아 특례대출도 30대 비중이 늘어나는 데 영향을 줬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들이 매수한 비아파트 주택은 주로 서초구와 서대문구, 용산구, 동작구 등에 있다. 강남과 도심, 여의도 등 업무지구로 출퇴근하기 편리한 지역이다. 실제 거주하기 편한 지역이기도 하다. 남 연구원은 "30대는 내 집 마련 목적이 강해, 실거주 편의성을 중심으로 주택을 매입한다"며 "비아파트 주택이 아파트의 대안이 되는 모습"이라고 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개인 파산’ 홍록기, 오피스텔 이어 소유 아파트도 경매 매물로

2中 이커머스 韓 확산 거센데…아동 슬리퍼서 ‘자폐 유발’ 성분 검출

3깐깐해진 바이오 상장 문턱…그래도 IPO 전망은 ‘맑음’

4최태원 측 ‘세기의 이혼’ 2심 판결문 첫 유포자 형사 고발 예고

5‘성추문 의혹 유죄 평결’ 트럼프, 바이든과 날 선 공방…대선 앞둔 美 ‘혼돈’

6품질·가격 달라진다...기름에 빠진 치킨업계

7인력·시간 다 쏟았는데…상장 문턱 못 넘는 바이오 업체

8 5월 무역수지 49.6억 달러 흑자…반도체 수출 113.8억 달러

9사람에게 ‘돼지 심장’ 이식 가능할까

실시간 뉴스

1‘개인 파산’ 홍록기, 오피스텔 이어 소유 아파트도 경매 매물로

2中 이커머스 韓 확산 거센데…아동 슬리퍼서 ‘자폐 유발’ 성분 검출

3깐깐해진 바이오 상장 문턱…그래도 IPO 전망은 ‘맑음’

4최태원 측 ‘세기의 이혼’ 2심 판결문 첫 유포자 형사 고발 예고

5‘성추문 의혹 유죄 평결’ 트럼프, 바이든과 날 선 공방…대선 앞둔 美 ‘혼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