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낙타 예방접종 실효성 논란] 환자용 치료제 개발이 효과적?

[낙타 예방접종 실효성 논란] 환자용 치료제 개발이 효과적?

아부다비의 사막에서 열린 낙타 ‘미인대회’(2011년). 사우디와 아랍에미리트연합 등지에서 낙타 2만 마리가 참가했다. / 사진:뉴시스
한국의 중동호흡기증후군(MERS, 메르스) 사태가 좀처럼 수그러들지 않는다. 한국에선 동물원에나 가야 낙타를 볼 수 있지만 최초의 한국인 감염 출처는 수천㎞ 떨어진 중동의 낙타일 가능성이 크다.

인간에게서 메르스 바이러스가 처음 발견된 것은 2012년 사우디에서다. 사우디의 경제와 목축민 생계에 매우 중요한 낙타가 메르스 바이러스의 숙주로 알려졌다. 따라서 일부 과학자들은 바이러스의 출처인 혹 하나짜리 ‘단봉 낙타(dromedary camel)’에게서 메르스를 원천 차단하는 방법을 연구 중이다. 보존된 가검물 샘플을 실험실에서 테스트한 결과 메르스 바이러스는 사우디에서 최소한 1992년부터 낙타를 감염시킨 것으로 확인됐다. 인간에게 옮기기 전에 수십 년 동안 낙타끼리 감염이 이뤄졌다는 뜻이다.

미국 컬럼비아대학 감염·면역센터의 W 이언 리프킨 소장은 2013년 사우디 전역의 낙타에서 가검물 샘플을 채취해 분석한 결과 74%가 생애 어느 시점(대개 연령이 낮은 시절)에서 메르스 바이러스에 노출됐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2012년 이래 세계 전체의 메르스 발병 건수 중 85%는 사우디에서 나타났다. 메르스의 인간 치사율은 약 40%로 알려졌지만 낙타는 메르스에 걸려도 대개 며칠 동안 콧물을 흘리다가 일주일 안에 회복한다. 리프킨 소장은 “사람에게 옮기는 메르스 바이러스의 감염 매개체가 낙타라는 증거가 많다”고 말했다. 그러나 그가 지난해 조사 결과를 발표한 직후 사우디의 일부 농민은 메르스가 유행하는 동안 낙타와 입을 맞추는 사진을 트위터에 올리며 그런 발표에 항의했다.
 낙타는 메르스에 걸려도 대개 일주일 안에 회복
2002년 급성중증호흡기증후군(SARS, 사스)이 발발했을 때 중국 광둥성 당국은 사스 바이러스의 숙주인 사향고양이 1만 마리를 살처분하도록 지시했다. 그러나 메르스의 경우는 그런 방법이 무리수라고 하버드대학 의과대학원의 감염병 전문가 웨인 마라스코 교수가 말했다. 낙타는 중동에서 존중 받는 동물이고 소유주의 생계에 중요하기 때문이다. 중동 지역에서 낙타는 흔한 교통수단이며 그곳 주민에게 젖과 고기, 오줌을 먹거리로 제공한다. 농민과 소유주는 대부분 낙타를 동반자로 생각한다. 미국 덴버대학의 사우디 전문가인 숄 개베이 국제학 교수는 “사우디에선 비싼 낙타를 소유하는 것이 중요한 지위의 상징”이라고 설명했다. 개베이 교수는 사우디에선 낙타의 가치가 매우 높아 살처분이 힘들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낙타가 병을 옮긴다고 소유주에게 경고해도 별로 소용이 없다. 그러나 과학자들은 메르스의 추가 확산을 막기 위해 낙타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찾고 있다.

보언 교수는 낙타가 메르스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치료가 어렵다고 말했다. 우선 낙타의 증상이 상대적으로 약해 소유주가 확인하기 힘들다. 또 메르스 항바이러스제도 거의 없으며, 개발된다고 해도 너무 비싸 널리 보급하기가 불가능할 것이다. 그래서 보언 교수는 미국 국립보건원(NIH)과 함께 낙타를 메르스에서 보호하는 백신을 연구 중이다. 백신은 항바이러스제보다 훨씬 저렴한 비용으로 개발할 수 있다. 그럼에도 사우디의 낙타 80만 마리를 예방접종하는 비용은 엄청날 것이라고 보언 교수는 말했다.

사우디에서 낙타는 다양한 계층의 주민이 소유한다(개베이 교수는 낙타 1마리가 싸게는 1000달러, 비싸게는 100만 달러에 거래된다고 말했다). 또 낙타 관리 수준도 천차만별이라 정부가 포괄적인 예방접종 프로그램을 실시하기가 어렵다. 보언 교수는 “어떤 낙타는 귀한 순종 말과 비슷하게 호사하지만 어떤 낙타는 전혀 보살핌을 받지 못한다”고 말했다.

부유한 산유국인 사우디는 전국 낙타의 예방접종 비용을 충분히 댈 수 있겠지만 메르스 바이러스는 요르단과 오만의 낙타에서도 발견됐다. 2010년 기준으로 중동 전체의 낙타 개체수는 약 1600만 마리였다. 사람 21명에 낙타 1마리 꼴이다.
 브루셀라 박테리아 전염은 가축 예방접종으로 막아
미국에선 예방접종 접근법이 성공한 전례가 있다. 미국 농무부에 따르면 미국 농민은 가축 예방접종으로 브루셀라 박테리아의 전염을 막아 결과적으로 수억 달러를 절약했다. 1953년 미국의 가축 12만4000두 이상이 브루셀라 박테리아에 감염되면서 소비자는 오염된 우유나 고기를 통해 브루셀라병에 걸릴 위험이 컸다. 지금은 예방접종 덕분에 미국에서 가축 브루셀라병 발병 건수는 1년에 100~200건 정도다.

그러나 리프킨 소장은 메르스 낙타 백신 개발에는 시일이 오래 걸리며 그게 최선책이 아닐 수도 있다고 말했다. 낙타 수백만 마리를 접종하는 데 돈을 쓰기보다 장기적으로 메르스 환자들을 위한 치료제 개발이 더 나을지 모른다는 견해다. 최근 그는 사우디를 방문해 농업부·보건부 관계자들을 만났다. 사우디 측은 그에게 그곳의 연구자들과 함께 낙타의 메르스를 관찰하고 메르스 환자를 위한 간편한 진단 시약과 치료제를 개발해달라고 요청했다.

- 번역=이원기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LGD가 해냈다…‘주사율·해상도 조절’ 세계 첫 OLED 패널 양산

2‘전기차 올림픽’에 LG가 왜 출전?…“영향력 상당하네”

3“포르쉐 안 부럽잖아”...중국 시장 홀린 스웨덴 폴스타

4미국 주택에 스며든 삼성전자 가전…건설사 ‘클레이턴’에 패키지 공급

5포스코그룹, 이차전지소재 사업 강화…‘실리콘 음극재’ 공장 준공

6 서울대·울산대·원광대 의대 교수들, 주 1회 휴진…‘의료 공백’ 심화 조짐

7페퍼저축은행, 제2회 페퍼저축은행배 전국장애인양궁대회 성료

8“극한의 기술 혁신”…삼성전자, TLC ‘9세대 V낸드’ 양산

9SK그룹 경영진 머리 맞대고 ‘리밸런싱’ 고민…최창원 “전열 재정비” 주문

실시간 뉴스

1LGD가 해냈다…‘주사율·해상도 조절’ 세계 첫 OLED 패널 양산

2‘전기차 올림픽’에 LG가 왜 출전?…“영향력 상당하네”

3“포르쉐 안 부럽잖아”...중국 시장 홀린 스웨덴 폴스타

4미국 주택에 스며든 삼성전자 가전…건설사 ‘클레이턴’에 패키지 공급

5포스코그룹, 이차전지소재 사업 강화…‘실리콘 음극재’ 공장 준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