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다시 뜨는 적금] 금리는 오르고 증시는 흔들려

[다시 뜨는 적금] 금리는 오르고 증시는 흔들려

시중은행 예·적금 기본금리 연 2%대… 은행별 우대금리 더하면 연 4~6%대
사진:gettyimagesbank
서울에 사는 직장인 이수광(42)씨는 최근 몇 년 간 이어온 주식 투자를 접고, 남은 돈으로 한 시중은행의 만기 1년짜리 적금에 가입했다. 금리는 연 5.9%. 이 적금의 금리는 기본 금리와 우대금리를 합쳐 최대 연 6%에 이른다. 이씨는 “최근 몇 년 간의 주식 수익률을 꼼꼼히 따져보니 마이너스 10%가 넘었다”며 “금리가 대세 상승세를 보이고 있어 적금을 드는 게 주식 투자보다 나을 것 같다”고 말했다. 경기도에 사는 주부 심 모(39)씨는 최대 연 5.5%를 받을 수 있는 적금에 가입하기 위해 매일 아침마다 전쟁을 치르고 있다. 워낙 인기가 많아 지점별로 한정 판매를 하고 있는데, 아침 일찍 마감되기 때문이다. 심씨는 “근처 지점을 며칠 더 가보고 경쟁이 덜한 지점을 찾아가볼 예정”이라고 말했다.

정기예금이나 적금이 다시 주목받고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9월 중 2년 미만 정기 예·적금은 13조2586억원 늘어나 1년 전보다 9.4%(평균잔액 기준) 증가했다. 2년 미만 정기예·적금 증감율은 올해 1~3월만 하더라도 5%대에 불과했다. 그러나 4월 6.4%, 5월 7.4%, 6월 8.2%로 증감폭이 꾸준히 커지더니 7~9월에는 9%대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이 같은 오름세가 최근에는 더 커졌다. 한국은행이 11월 1년 만에 기준금리를 연 1.50%에서 1.75%로 인상하면서 대부분 예·적금 상품의 금리가 연 4%대로 뛰어 올랐기 때문이다. 기준금리 인상에 맞춰 금융권이 예·적금의 기본금리를 일제히 인상한 것이다. 여기에 우대금리를 더한 연 6%의 고금리 상품도 하나 둘 나오고 있다.
 금융권, 기본금리 일제히 인상
NH농협은행은 일반정기예금과 자유적립형정기예금의 1년 금리를 기존 연 1.25%에서 1.50%로 인상했다. 주택청약예금 금리는 연 1.75%에서 2.00%로 올랐다. 정기적금과 상호부금은 1년 금리가 1.55%에서 1.80%로, 3년 금리는 연 1.70%에서 2.00%로 각각 상향조정됐다. 우리은행도 예·적금 금리를 0.10∼0.30%포인트 인상했다. 인상 후 ‘위비 수퍼주거래예금 2’ 금리는 기본 연 2.00%, 최고 연 2.40%다. ‘아이터치 우리예금’은 기본금리 연 2.00%, 최고금리 연 2.30%다. KB국민은행 역시 ‘1코노미스마트적금’의 기본이율을 연 1.90%에서 2.15%로 올렸다. 신한은행은 ‘신한 쏠편한 선물하는 적금’의 기본금리를 기존 연 3.00%에서 3.10%로 인상했다.

이 같은 기본금리에 우대금리를 더하면 예·적금 금리는 대개 연 4%대에서 최대 연 6%에 이른다. 우대금리는 예·적금 가입 때 각 은행의 다른 상품을 함께 이용하면 추가해 주는 금리로, 은행마다 다르지만 보통 연 2~3% 정도다. 가령 KB국민은행은 상품에 따라 최대 연 2.75%의 우대금리를 준다. 우대금리를 다 받는다면 ‘1코노미스마트적금’의 금리는 최대 연 4.8%에 이른다. 신한은행 역시 여러 예·적금 상품에 연 2.30%의 우대금리를 적용하고 있어, 보통 연 4%대 수익을 얻을 수 있다. 우리은행 예·적금 상품의 경우 기본금리는 연 1.5~2.00%지만 급여·연금 수령, 우리카드 이용, 공과금 자동이체를 하면 금리를 최대 연 4.20% 더 준다. 우대금리를 모두 받는다면 금리가 최대 연 6%에 이르는 것이다. 실제로 우리은행이 최근 내놓은 ‘우리 여행적금’의 경우 기본금리 연 1.80%에 연 4.2%의 우대금리를 더해 최대 연 4.2%여서 최종 금리는 최대 연 6%에 이른다.

연 5%대 금리 덕에 10월 출시 이후 한 달 만에 10만 계좌를 돌파한 수협은행의 ‘Sh쑥쑥크는아이적금’도 기본금리는 연 3.5%(5년 가입 기준)지만 우대금리 1.5%와 올해 말까지만 적용하는 특별금리 0.5%를 받으면 최대 연 5.5%에 이른다. 현재 이 상품은 가입자가 몰려 1인 1계좌, 지점별 하루 10계좌까지 판매 제한을 걸어둔 상태다. 금융권의 한 관계자는 “최근 주식시장의 변동성이 커지면서 높은 금리를 제공하는 적금 상품에 대한 문의가 늘고 있다”고 말했다. 중도 해지에 대한 부담이 준 것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지금까지는 정기예금이나 적금을 중도에 해지하면 적립 기간이나 금액에 상관없이 약정 금리의 10% 금리만 주는 등 일률적으로 낮은 금리를 적용했다. 하지만 11월부터는 약정 기간에 가까워질수록 중도해지 금리가 올라간다. 예컨대 1년 만기 연 2.0%짜리 적금에 가입했다가 6개월 뒤 해지하면 약정금리의 절반인 연 1.0%의 금리를 적용하고, 9개월이 지난 시점에 해지하면 연 1.5%의 금리를 적용하는 식이다. 이는 금융감독원이 소비자권익 강화 차원에서 관련 가이드라인을 개선한 덕분이다.
 우대금리 다 받기는 쉽지 않아
금융권은 당분간 예·적금 인기가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미국을 중심으로 금리 자체가 상승세인 데다 주식시장 등 전통적인 투자시장이 불안한 모습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부동산 시장도 정부의 잇단 규제 정책으로 위축되고 있다. 시중 유동자금이 예·적금으로 몰릴 수 있는 조건이 갖춰진 것이다. 국내 자산가들의 안전자산 선호 현상도 여전하다. 스탠다드차타드 그룹이 발표한 ‘2018 신흥 소득자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신흥소득자(매월 400만~700만원의 소득을 올리는 25~55세 연령의 소득자)는 금융·재무 목표 달성을 위해 정기예금(42%), 보통예금(32%) 등 가장 기본적인 저축 방식을 선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하이 리스크 하이 리턴’ 형태의 주식투자를 활용하는 비율은 16%에 그쳤다. 예·적금에 가입할 때는 금융감독원이 운영하는 금융상품통합비교공시 사이트 ‘금융상품한눈에’(http://finlife.fss.or.kr)를 참고할 만하다. 각 은행별 예·적금 상품의 금리를 한눈에 비교해 볼 수 있다. 전문가들은 “우대금리가 아무리 높더라도 우대금리를 다 받기는 쉽지 않으므로 실제 은행 창구에서 자신의 금리를 확인해 봐야 한다”고 조언했다.

- 황정일 기자 obidius@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엉뚱발랄 콩순이 10주년 맞이 어린이날 행사 전개

2드미드 글로벌, 태국 TK 로지스틱 시스템과 300만 달러 수출계약 체결

3AI 사업 본격화하는 한글과컴퓨터

4야권의 승리로 끝난 제22대 총선…향후 한국 사회의 변화는

5‘님’은 없고 ‘남’만 가득한 멋진 세상

6"돈 주고도 못 사"...레트로 감성 자극하는 '이 핸드폰'

7아워홈 '남매의 난' 다시 이나...구지은 부회장 이사회 떠난다

8신라호텔 '애플망고빙수' 가격 또 올랐네...10만원 넘겨

9최태원, 日 닛케이 포럼 참가...아시아 국가 협력 방안 논의

실시간 뉴스

1엉뚱발랄 콩순이 10주년 맞이 어린이날 행사 전개

2드미드 글로벌, 태국 TK 로지스틱 시스템과 300만 달러 수출계약 체결

3AI 사업 본격화하는 한글과컴퓨터

4야권의 승리로 끝난 제22대 총선…향후 한국 사회의 변화는

5‘님’은 없고 ‘남’만 가득한 멋진 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