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솔로 경제(6) 비미족 재테크의 제1원칙은?] 스스로 제어하는 ‘소비의 재구성’

[솔로 경제(6) 비미족 재테크의 제1원칙은?] 스스로 제어하는 ‘소비의 재구성’

근거 없는 ‘00 모으기’ 열풍에 휩쓸리지 말고 자신의 지출구조부터 파악
사진:© gettyimagesbank
신문이든 방송이든 어느 매체에나 재테크 전문가들이 등장해 독자들의 투자 포트폴리오를 다시 짜주는 코너가 있다. 하지만 1인가구의 투자법은 이런 식의 재테크와는 달라야 한다. 통계청 산하 통계개발원이 2017년 발표한 ‘솔로 이코노미 분석’ 보고서는 소비의 측면에서 1인가구 증가를 분석했다. 결론적으로 보통의 1인가구는 소득이 적기 때문에 식비와 같은 필수 소비가 많아서 저축을 하기 힘들다는 내용이다.
 ‘내 일이 곧 나의 재테크’?
‘비미족(비혼·미혼)’ 1인가구의 재테크는 돈이 가장 많이 들고 또 오랫동안 지속되는 교육비 지출에서 자유롭다는 점에서 출발하는 게 좋다. 재테크 전문가들이 1인가구 재테크와 관련해 해주는 조언들은 2인가구, 4인가구를 위한 재테크 충고의 동어반복이다. 대표적인 조언은 ‘내 일이 곧 나의 재테크’란 얘기다. 연봉이 2000만원만 넘어도 은행에 10억원을 넣어두고 받는 1년간 이자와 같으니 어떤 어려움을 겪어도 하여간 계속 일을 하라는 조언이다. 여기에 보험과 연금, 금융상품 추천은 필수다. 은퇴 이후 필요한 월 생활비는 늘 200만~300만원이니 통장에 10억원이 있어도 부족하기 때문이다. 1인가구들 중 상당수는 은퇴 이전에도 그 정도 월급을 받지 못 한다는 얘기는 빠져있다.

그런데 왜 재테크와 관련해서는 항상 10억원 얘기가 나올까? 2000년대 초반 ‘직장인 10억 모으기’가 유행했다. 재테크 서적이 줄줄이 나오고, 포털 사이트에는 10억 모으기 카페에 사람들이 몰렸다. 사실 특별한 이유는 없었다. 한 재테크 서적 저자는 “연 금리가 10%이던 시대에 10억원이 부자의 기준이었기 때문”이라고 했지만, 시대는 변해도 너무 변했다. 지금 금리는 1%대다. 굳이 해묵은 10억 모으기 열풍의 이유를 들자면 당시 강남을 대표하는 압구정동 현대아파트 2채 값이라는 점이다. 국민은행 부동산시세에 따르면 2000년 당시 압구정동 현대아파트 43평형은 5억7000만원이었다. 그런데 이 아파트는 2003년 7억5000만원이 되더니 불과 2년 만에 13억2500만원으로 올랐다. 최근 아파트 광풍에 힘입어 2016년 20억원이던 이 43평형 압구정 현대아파트는 이제 32억원이 됐다.

요약하면 살 수 없는 아파트란 얘기다. 재테크의 목표가 강남 아파트 값이라면 문제는 심각하다. 최근에는 ‘직장인 30억원 모으기’란 말이 자주 들린다. 예전과 다르게 단순히 모으는 게 아니라 30억원을 모은 후 조기은퇴를 하겠다는 말이다. 금액이 3배로 늘어났지만 직장인들이 주된 직장, 즉 그나마 가장 월급을 많이 주던 직장에서 퇴직하는 시기는 훨씬 더 당겨졌다.

미래에셋은퇴연구소가 지난 4월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현재 나이가 50~60세인 직장인은 평균 54.5세에 주된 직장에서 퇴직했다. 2017년 3월 한국고용정보원이 발표한 고용동향보고서에 따르면 주된 일자리에서의 평균 퇴직 연령은 49.1세였다. 수출 대기업들은 같은 기간 3배 이상의 평균 연봉 상승이 있었지만, 그 숫자가 너무 적다. 대기업도 소기업도 아닌 언론사를 기준으로 한 연봉 상승률은 사실상 0이었다. 2001년 언론사들의 평균 연봉은 4323만원이었고 2016년에는 6171만원이었다. 하지만 물가상승률을 반영한 실질 평균 임금은 2001년 6299만원, 2016년 6171만원으로 오히려 줄었다. 문제는 이 정도 연봉은 대한민국 평균의 두 배 가까이 된다는 점이다. 고용노동부 자료에 따르면 2016년 임금 근로자 1519만 명의 평균 연봉은 3400만원이었다.

과거보다 더 적게 벌고, 더 짧게 일해야 하는 시대에 일부 부촌의 부동산 가격의 오름세는 우리의 자산 추월의 의지를 꺾어놓기 십상이다. 그래서 1인가구의 재테크는 일단 목표 금액을 낮추거나 없애는 데서 시작하는 게 좋다. 목표 금액이 존재하는 한 비미족의 사회생활은 불안과 공포가 지배한다. 비미족 재테크의 첫 시작은 투자 포트폴리오의 재구성이 아니라 소비생활의 재구성이 돼야 한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2012년 펴낸 ‘가족구조 변화와 정책적 함의’ 보고서를 보면 각 연령대별 1인가구의 실제 목소리가 자세히 나와 있다. “사는 건 어렵지. 돈이 한 40만원 정도 (정부에서) 나오면, 전화요금 5만원 정도 빼고, 35만원 가지고 병원 다니면 차비하고, 그러니까 어렵지. 그러니까 죽고 싶다고 하지(70대 1인가구 A씨).” 보고서는 각 세대별로 10여 명을 뽑아 심층 인터뷰를 했는데 A씨는 70대 1인가구다. 정부 보조금으로 생활하는 A씨의 미니멀리즘적 소비는 자신의 선택이 아니다. 설령 같은 정도의 소비를 하게 될지언정 우리는 이를 선택할 자유가 있어야 한다.

이런 일의 시작은 30대부터다. 자유의 이면에는 책임이 있게 마련이다. 30대 C씨의 말이다. “혼자 살면서, 아무래도 경제적으로 사고를 많이 치니까 힘들면 계속 엄마한테 기대니까 끙끙 앓다가 기대고 이렇게. 솔직히 많아요, 제가 좀 창피한 일이지만 카드 값이 감당이 안 되고, 대출 받는 삶도 많고, 오죽하면 여성우대 대출이 나왔을까 싶을 정도로. 정말 많아요. 제 주변에 대출 안 받은 친구는 가족이랑 같이 사는 친구?(30대 C씨).”

이들은 모두 육체적으로는 사회에서 독립한 상태지만, 직업이 자주 바뀌고 불안정해 사실상 경제적 독립을 이뤘다고 보기 힘들다. 이들 중 두 명의 월수입은 150만원대다. 이들은 월세로 각각 40만원과 35만원을 지출하고, 관리비를 포함하면 약 50만원을 쓴다. 교통비는 약 10만원, 휴대전화 요금이 7년 전 기준으로 6~10만원이며, 식비로 30만원을 사용한다. C씨는 어머니에게 진 빚을 갚는 형식으로 월 30~50만원을 송금하느라 저축을 못 하고 있으며, 다른 인터뷰이의 경우에도 저축은 월 30만원에 불과하다. 이들은 1인가구로서 최소한의 품위를 유지하고 살기 위해서는 세후 소득이 190만원에서 200만원 초는 돼야 한다고 말한다. 당시 아파트 관리사무소에서 근무하던 30대 후반 남성인 D씨는 전세금과 보유하고 있는 주식으로 약 2억원 정도의 자산을 가지고 있었지만, 그것으로 충분하다고 생각하지는 않았다. D씨는 장남으로서 부모님의 노후도 생각해야 하고, 동생들도 생각해야 한다고 생각하면서 언제 어떻게 될지 모른다고 했다. “지금 2억 있다고 해도 만약 부모님이 편찮으시다고 그러면 절반 이상 날아간다고 봐요, 한 방에. 그럼 결코 많은 돈이 아니죠. 그렇다고 제가 결혼을 한 상태도 아니고, 미혼이기 때문에 결혼을 하게 된다고 그러면 결혼자금으로 들어가야 되죠. 집을 또 장만해야 되죠. 그러니까 어떻게 하기가 힘든 입장이 돼 버렸어요(30대 D씨).”
 임금 인상률과 금리는 낮은데…
언젠가부터 우리는 ‘가장 큰 투자는 자기 자신을 위한 투자’라는 이상한 신화에 자주 노출되고 있다. 이 투자란 사실상 직무 능력을 위한 투자다. 30대는 한창 일이 재미있을 나이다. 직업을 통한 성취감은 때로 여러 가지를 희생하게 만든다. 직무능력을 가르치는 고가의 학원들이 넘쳐나고 있다. 하지만 보건사회연구원이 심층인터뷰 한 40대 1인가구 E씨의 얘기는 다르다. “열심히 했어요. 입시학원 13년 5개월 딱 하고, 그게 내가 하고 싶어서 일을 할 때 하고 남편하고 헤어지는 순간서부터 이제 내 경제적 해결을 해야 되는 생계형이 돼버렸잖아요. 그때부터 일이, 그 전까지는 즐거웠는데 그 다음부터는 스트레스가 오더라고요, 솔직히. 해야지만 된다는 거. 내가 좋아하는 일이라서 내가 저축할 수 있는 돈이었으니까 즐겁게 일을 했었는데. 혼자 일하면서 이게 내가 생계형이 되고, 바로 외환위기가 터졌어요. 태어나서 처음 빚이라는 지어봤어요.”

10억원, 30억원 모으기는 또 다른 이상한 신화다. 일자리와 일할 수 있는 시간은 줄어들고, 임금 인상률은 사실상 제자리 걸음을 하고 있으며, 은행 금리가 2%가 안 되는 사회에서 이 정도 액수를 목표로 하다가는 제풀에 지질 수밖에 없다.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일은 오직 ‘소비 줄이기’뿐이라는 점을 인정하고 마음을 편하게 갖는 것이 비미족 재테크의 제1원칙이다.

- 한정연 기자han.jeongyeon@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삼성자산, 한미일 분리과세 부동산 ETF 시리즈 600억 돌파

2이수형·김종화 한은 금통위원 취임…“엄중한 대내외 상황 무거운 책임감”

3삼성SDS 1분기 영업이익 2259억원…전년比 16.2%↑

4네오위즈 인기 모바일게임 ‘고양이와 스프’, 중국 정식 출시

5‘세계 3대 시장’ 인도 방문한 정의선 회장…”“인도권역은 현대차그룹의 성장에 큰 기여”

6 메모리 ‘봄’…SK하이닉스 1Q 매출 12조4296억, 영업이익 2조8860억

7넷마블의 비밀병기 ‘아스달 연대기’…IP 저력 보여줄까

8GS25, 오양주로 빚은 한정판 막걸리 업계 최초 출시

9편의점서 금테크… CU, 1g 카드형 골드 이틀 만에 완판

실시간 뉴스

1삼성자산, 한미일 분리과세 부동산 ETF 시리즈 600억 돌파

2이수형·김종화 한은 금통위원 취임…“엄중한 대내외 상황 무거운 책임감”

3삼성SDS 1분기 영업이익 2259억원…전년比 16.2%↑

4네오위즈 인기 모바일게임 ‘고양이와 스프’, 중국 정식 출시

5‘세계 3대 시장’ 인도 방문한 정의선 회장…”“인도권역은 현대차그룹의 성장에 큰 기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