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사회적 우려’ 해결했는데…카카오모빌리티 파는 진짜 이유는?[카카오모빌리티 매각 논란①]

상생안 발표, 콘퍼런스 개최…사업 의지 뚜렷했던 카카오의 변심
재무적투자자 엑시트 해법으로 지분 매각 카드 내세웠다는 분석 높아

 
 
카카오모빌리티는 매각 배경을 두고 ‘사회의 우려’를 언급했다.[연합뉴스]
“카카오는 모빌리티 서비스의 수익화와 사업영역 확장 그리고 나아가 IPO(기업공개)에 대한 사회의 우려를 경청하게 됐다.” 
 
배재현 카카오 최고투자책임자(CIO)는 카카오모빌리티의 지분 매각을 추진하는 배경을 설명한 말이다. 업계는 배 CIO가 언급한 ‘사회의 우려’를 두고 지난해부터 제기된 ‘플랫폼 기업 갑질’이라는 비판 여론이라고 해석한다. 그럼에도 사회의 우려를 이유로 매각이라는 초강수를 두는 것을 납득하는 목소리는 별로 없다. 그 이유가 있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카카오의 핵심 계열사다. 지난해 매출 5464억원을 기록했고, 영업이익은 125억을 거뒀다. 매출은 전년 대비 두배 가까이 늘었고, 영업이익은 처음으로 흑자를 냈다. 한국 모빌리티 시장을 대표하는 회사로 성장했다는 점에서 ‘기술과 사람이 만드는 더 나은 세상’이란 카카오의 비전에도 잘 부합한다.  
 
하지만 카카오모빌리티는 여론의 뭇매를 맞았다. 논란의 중심에 섰던 지난해 8월의 상황을 보자.  
 
카카오모빌리티는 1000원(야간 2000원) 정액제로 운영하던 스마트호출 요금을 최대 5000원까지 부과하는 탄력 요금제로 변경했다. 스마트호출은 배차 성공률을 높여주는 서비스다. 택시를 잡기 어려운 지역이나 시간대에 택시기사의 호출 수락 비율을 높이기 위한 결정이지만, 소비자는 사실상의 요금 인상이라며 반발했다.  
 
그해 3월 출시한 프로멤버십 제도는 택시업계의 원성을 샀다. 월 9만9000원을 내면 선호지역의 승객 호출을 확인할 수 있는 ‘목적지 부스터’ 서비스를 비롯해 다양한 편의기능을 누릴 수 있는 상품이었는데, 무리한 수익화 시도라는 지적이 이어졌다. 여기에 자사 가맹택시 ‘콜 몰아주기’ 의혹이 겹치면서 카카오모빌리티는 벼랑 끝에 몰렸다.  
 
비판은 모회사 카카오로 번졌다. 카카오가 진출한 시장에 유독 소상공인 업종이 많다는 게 문제였다. 카카오모빌리티의 꽃‧간식‧샐러드 배달 중개서비스 역시 같은 이유로 타깃이 됐다. 카카오처럼 문어발식 확장을 거듭하면서 골목상권 생태계를 위협하는 온라인 플랫폼을 견제하기 위한 국회의 입법 움직임도 본격화했다.  
 
그해 열린 국회 국정감사는 ‘플랫폼 국감’으로 불릴 정도로 플랫폼 업체에 비판이 집중됐다. 김범수 전 카카오 이사회 의장은 기업 총수로는 처음으로 3번이나 증인으로 국감장에 불려 갔다. 공정위원회는 아예 플랫폼 기업을 겨냥한 ‘온라인 플랫폼 공정화법’을 발의했다.  
 

여론 뭇매에도 꿋꿋했던 카카오의 갑작스런 변심

정치권과 여론의 집중포화가 쏟아졌지만 카카오는 꿋꿋했다. 안팎의 비판을 두고는 상생을 통해 개선하겠다는 태도를 보였다. 여론의 비난이 집중됐던 카카오모빌리티 역시 마찬가지였다. 논란이 됐던 스마트호출도 폐지했고, 프로멤버십의 가격도 낮췄다. 꽃 배달 서비스도 접었다.  
 
카카오가 그룹 차원에서 3000억원 규모의 상생기금 조성을 골자로 한 상생안을 발표했을 때도, 카카오모빌리티가 가장 민첩하게 움직였다. 계열사 중에서 가장 먼저 구체적인 상생안을 공개했다. 3000억원의 상생기금 중 카카오모빌리티가 500억원을 조성하겠다는 거다.  
 
지난해 말엔 그간의 사업성과를 정리한 ‘2021 카카오모빌리티 리포트’도 발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카카오T 택시 누적 이용 횟수는 13억건에 달했고, 운행거리로 지구 26만 바퀴(106억㎞)를 돌았다. 전국의 택시기사 중 90%가 카카오T 택시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었고, 대한민국 인구의 절반이 넘는 3000만명이 카카오T 서비스를 누리고 있었다. 카카오모빌리티는 ‘국민 모빌리티 앱’으로 발돋움한 성과를 자랑하면서도 상생의 키워드를 강조했다.  
 
올해 초엔 외부 전문가로 구성된 상생 자문 위원회를 발족했다. 위원회는 활동 독립성을 보장하기 위해 CEO 산하 직속기구로 설치했다. 지난 2월엔 회사 차원의 첫 테크 콘퍼런스인 ‘넥스트 모빌리티:네모 2022’를 열고 택시 호출을 뛰어넘은 신기술 선도 기업으로의 도약을 선언하며 회사의 미래 비전을 제시했다.  
 
자체 기술로 완성한 자율주행차를 전시했고, 실내외 구분 없이 측위 센서로 고정밀(HD) 지도를 구현해 가상세계에 현실과 같은 디지털 트윈을 구축할 수 있는 모바일매핑시스템(MMS) ‘아르고스’도 선보였다. 올해 3월엔 IPO를 위한 주관사 선정 작업을 마치고 상장 채비에 나서기도 했다.
  
카카오 노조는 “카카오모빌리티 매각협상을 중단하고 사회적 책임을 이행하라”고 촉구했다.[연합뉴스]
카카오모빌리티가 정치권의 구설에 오를 우려도 상대적으로 줄었다. 플랫폼 비즈니스를 두고 규제 강화에 초점을 맞췄던 문재인 정부와 달리 윤석열 정부는 기업의 자율에 무게를 두고 있어서다. 새 정부가 민간기구를 통한 플랫폼 자율 규제 방안을 마련키로 하면서 온플법은 사실상 폐기 수순을 밟고 있다.
 
모빌리티업계 관계자는 “그간 얻어맞을 건 다 맞은 셈인데 이제 와서 사회의 우려를 이유로 지분을 매각하겠다는 건 쉽게 이해하기 어렵다”면서 “카카오모빌리티가 제시한 상생안을 실행하면서 사업을 확장하면, 지난해 같은 비판에 시달일 일도 없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카카오노조 역시 11일 기자회견을 열고 “카카오모빌리티가 사회적 갈등을 높이게 된 것은 경영적 판단의 실패 때문”이라며 “카카오는 이런 경영 실패를 책임지고 반성하지 않고 오히려 노동자에게 뒤집어씌우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때문에 이번 지분 매각 시도는 카카오모빌리티에 베팅한 재무적투자자(FI)의 엑시트를 위한 결정이란 추측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초기 투자자의 엑시트 활로를 올해 확보해야 하는데, IPO 시장이 얼어붙으면서 지분 매각으로 방침을 바꿨다는 거다. 현재 공모시장은 코로나19로 인한 경기침체, 미국 금리 인상 이슈,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 등 부정적 변수가 쏟아지면서 차갑게 식었다. FI가 기대했던 몸값을 평가받기 어려운 상황이다.  
 
카카오는 현재 카카오모빌리티의 지분 10%대 매각을 통해 2대주주로 내려앉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카카오가 보유한 카카오모빌리티의 지분은 57.55%다. 최대 19%의 지분을 매각해도 최대주주가 되는 만큼, 나머지 FI가 보유한 지분도 함께 팔아야 한다.  
 
모빌리티업계 관계자는 “카카오 입장에서 이번 매각 결정은 IPO 흥행 가능성이 급전직하하면서 FI의 투자회수를 위해 내놓은 고육지책인 셈”이라면서 “원래 계획에 있던 매각이 아닌 갑작스러운 결정이라 구성원의 반발에 부딪히게 됐다”고 지적했다.

김다린 기자 quill@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KB는 다르다”…실버타운 대중화 꿈꾸는 평창 카운티

2CJ올리브네트웍스, hy 논산 신공장에 스마트팩토리 구축

3롯데칠성음료, 투명 맥주 패키지로 국무총리상 수상

4미국 1020세대, 오리온 ‘꼬북칩’에 푹 빠진 이유

5‘美 상장 임박’ 네이버웹툰, 해외 생태계 안착…‘국경 넘은 작품’ 60% 증가

6‘웰다잉 시대’ 상조업 두드리는 생보사…하지만 2년째 답보, 왜?

710만전자·20만닉스 간다더니 ‘뚝’…“반도체 비중 줄여야할까?”

8女 평균수명 ‘90세’ 넘었다…보험사들 새 먹거리는 ‘요양사업’

9LGD가 해냈다…‘주사율·해상도 조절’ 세계 첫 OLED 패널 양산

실시간 뉴스

1“KB는 다르다”…실버타운 대중화 꿈꾸는 평창 카운티

2CJ올리브네트웍스, hy 논산 신공장에 스마트팩토리 구축

3롯데칠성음료, 투명 맥주 패키지로 국무총리상 수상

4미국 1020세대, 오리온 ‘꼬북칩’에 푹 빠진 이유

5‘美 상장 임박’ 네이버웹툰, 해외 생태계 안착…‘국경 넘은 작품’ 60% 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