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컨트롤타워 부활 가시화…뉴삼성 기대감↑[조직개편 임박한 삼성①]

대외 불확실성 확대…대형 M&A 등 결단 필요성
미전실 과오 씻을까…“이전과 다른 준법체계 필요”

 
 
 
서울 서초구 삼성전자 서초사옥 전경. [사진=연합뉴스]
조직개편을 앞둔 삼성이 그룹 전체를 총괄하는 컨트롤타워 재건에 나설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사업별로 운영하던 태스크포스(TF)만으로는 삼성을 둘러싼 경영 불확실성을 돌파하는 데에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 삼성이 과거 미래전략실(미전실) 시절 부족했던 준법감시 체계를 확립하고 컨트롤타워를 성공적으로 재건할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재계에서는 삼성이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회장 취임과 함께 올해 조직개편을 통해 컨트롤타워를 재건할 것으로 예상하는 분위기가 지배적이다. 이를 통해 삼성이 그룹 차원의 경쟁력 제고와 지속가능성 확보에 사활을 걸 것이란 분석이다.

이재용, 그룹 아우르는 행보에 기대감↑

최근 삼성의 핵심 경영진 모임은 조직 추스르기 차원을 넘어 그룹 수뇌부의 의견을 조율하고 현황을 파악해 향후 삼성그룹의 사업 방향을 논의하기 위한 자리라는 평가도 있다. 이런 평가가 사실이라면 삼성그룹 전체를 아우르는 컨트롤타워의 필요성이 더 커졌다는 해석이다.   
 
삼성은 지난달 26일 삼성전자 사장단과 SDI·전기·SDS·디스플레이 등 전자 계열사 사장, 삼성생명·증권·카드 등 금융 계열사 사장 등 40여명은 경기도 용인에 있는 인재개발원에 모여 외부 강사 강연을 듣고 최근 현안에 대한 의견을 나눴다. 삼성 사장단이 한자리에 모인 것은 2020년 6월 문성현 경제사회노동위원회 위원장으로부터 노사관계 강연을 들은 이후 약 2년 만이다.
 
여기에 이재용 부회장이 사실상 경영 일선에 복귀하면서 이 부회장이 그룹을 이끌기 위한 조직이 새로 만들어질 수 있다는 주장도 힘을 얻고 있다. 이 부회장은 국정농단 사건으로 징역 2년 6개월과 함께 5년간 취업제한을 적용받아 경영 활동에 상당한 차질을 빚었다. 하지만 올해 광복절을 맞아 단행된 사면복권 대상자에 포함되며 취업제한이 해제됐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지난달 21일 강서구 서울김포비즈니스항공센터를 통해 귀국해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재계에서도 삼성의 컨트롤타워 재건에 대해 강한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다. 미·중 무역갈등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등 대외 불확실성이 점차 확대되고 있는 만큼 이제는 그룹의 방향성을 확실히 결정할 컨트롤타워의 존재가 절실하다는 설명이다.  
 
삼성은 과거 비서실과 전략기획실, 미전실 등 시기마다 이름은 달랐지만 컨트롤타워를 별도로 두고 그룹을 경영해왔다. 그러다 지난 2017년 국정농단 사태 당시 총수 일가의 승계를 지원했다는 의혹을 받은 이후 미전실을 해체했다. 현재는 그룹 전체를 총괄하는 컨트롤타워는 없는 상태다. 미전실은 해체 당시 부서 인력만 250명에 육박할 정도로 그룹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상당했다.
 
미전실 해체 이후 미래 신성장동력 발굴에 어려움을 겪었다. 사업지원(삼성전자), 금융 경쟁력 제고(삼성생명), 설계·조달·시공(ERC) 경쟁력 강화(삼성물산) 등 분야별로 3개의 TF를 조직해 일상적인 경영에는 문제가 없었지만 불확실성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을 내놓는 데에는 부족하다는 평가가 이어졌다. TF의 경우 중장기 사업계획을 수립하는 기존의 컨트롤타워와 달리 별도 권한이 없어 그룹 차원의 시너지를 끌어내는 데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이는 컨트롤타워를 중심으로 경영 효율화를 꾀한 주요 그룹들과는 대조적이다. SK의 경우 그룹 내 최고 의사결정기구인 SK수펙스추구협의회를 통해 계열사를 지원하고 시너지를 극대화하고 있다. 현대자동차그룹 역시 기획조정실이 그룹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고 있다. 전장 등 신사업으로의 전환에 속도를 내는 LG그룹 역시 지주회사인 ㈜LG가 중심이 돼 사업을 진두지휘하고 있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지난 2020년 5월 6일 서초동 사옥에서 경영권 승계와 노조 문제 등과 관련해 대국민 사과를 하기 전 고개 숙여 인사하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관건은 ‘준법경영’

일각에서는 삼성이 컨트롤타워를 재건하는 것도 좋지만, 준법감시 체계 구축에 보다 신경 쓸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정농단 사태로 해체된 미전실에 대한 대외 이미지가 좋지 않은 만큼 이를 보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실제 김상조 전 공정위원장은 2016년 국정농단 청문회에서 “미래전략실은 막강한 권한에도 책임을 지지 않았다”며 “무리한 판단이나 불법행위로 이어지는 경우도 없지 않다”고 지적한 바 있다.  
 
특히 국정농단 사태 이후 기업의 준법경영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진 점도 고려해야 할 부분이다. 이 때문에 삼성이 컨트롤타워 내부에 별도의 준법 부서를 마련해 준법위와 직접 소통에 나설 것이란 관측도 제기된다.  
 
재계 관계자는 “삼성이 경영 정상화와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해선 컨트롤 타워 재건이 시급하다”며 “다만 과거의 부정적 이미지를 최소화할 수 있는 다양한 보완책이 필요해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건엄 기자 Leeku@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 日기시다 "북일 간 성과를 내는 관계 실현은 쌍방 이익에 합치"

2삼성 반도체 매출 세계 1→3위로 추락…인텔·엔비디아 선두로

3“먹는거 아닙니다, 귀에 양보하세요”…품절대란 ‘초코송이’ 이어폰 뭐길래

4마침내 ‘8만전자’ 회복…코스피, 2800선 돌파 기대감 ‘솔솔’

5최태원 SK 회장 둘째딸 최민정, 美서 헬스케어 스타트업 차렸다

6 이재명 인천 유세현장서 흉기 2개 품고 있던 20대 검거

7영천 최무선과학관, 새단장하고 오는 30일부터 운영 재개

8조각 투자 플랫폼 피스, ‘소비자 추천 글로벌 지속가능 브랜드 50′ 선정

9어서와 울진의 봄! "산과 바다 온천을 한번에 즐긴다"

실시간 뉴스

1 日기시다 "북일 간 성과를 내는 관계 실현은 쌍방 이익에 합치"

2삼성 반도체 매출 세계 1→3위로 추락…인텔·엔비디아 선두로

3“먹는거 아닙니다, 귀에 양보하세요”…품절대란 ‘초코송이’ 이어폰 뭐길래

4마침내 ‘8만전자’ 회복…코스피, 2800선 돌파 기대감 ‘솔솔’

5최태원 SK 회장 둘째딸 최민정, 美서 헬스케어 스타트업 차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