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미래차 생산경쟁력 확보 위한 노동유연성 필요”

자동차산업연합회 제31회 자동차산업발전 포럼 개최

 
 

 
미래차 생산경쟁력 확보를 위해선 유연한 노동시장 구조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 [연합뉴스]
미래 자동차산업의 생산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유연한 노동시장 구조가 필요하다는 전문가들의 주장이 나왔다.

자동차산업연합회(KAIA)는 7일 오전 09시 30분 ‘미래 자동차산업의 생산경쟁력 확보 과제’를 주제로 제31회 자동차산업발전포럼을 개최했다.

KAIA는 한국자동차산업협회, 한국자동차산업협동조합, 자동차부품산업진흥재단, 한국자동차연구원, 한국자동차공학회, 수소융합얼라이언스, 현대기아협력회, 한국지엠협신회, 쌍용협동회, 자율주행산업협회 등으로 구성된 연합체다.

강남훈 KAIA 회장은 “전기차는 내연기관차 대비 부품수가 63% 수준이며, 작업공수도 70~80% 정도로 생산공정이 단순하며 간결하다”면서 “내연기관차보다 노동유연성이 더 큰 경쟁력으로 작용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호봉제, 주 단위 근로시간 제한, 불법파견 판결 등 우리의 노동규제는 여전히 경직적”이라며 “이런 상황에서 사용자·근로자 개념 확대, 불법쟁의에 대한 손해배상·가압류 제한, 노동쟁의 개념 확대를 담은 노조법 제2조, 제3조 개정 시도는 노동경직성 악화와 노사관계 혼란으로 우리 자동차산업의 위기를 초래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상명 한양대학교 경영대학 교수는 “미래차 전환은 개별 기업과 산업의 차원을 뛰어넘는 생태계 전반의 변화를 의미한다”며 “이에 대한 대응은 수동적이고 점진적인 성격의 변화가 아닌 게임의 규칙을 바꾸는 혁명적 변화가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이어 “자동차산업의 고질적인 이슈인 노동시장의 효과성 제고를 위한 혁명적 변화, 생태계에서 도태될 수밖에 없는 공급망 기업에 대한 사업전환 이슈 등이 상존한다”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전략적 접근은 정부의 확고한 의지와 함께 직접적인 시장 참여자인 완성차업체와 공급망 참여자들의 혁신과 더불어 산업 생태계적 변화에 대한 국민적 동의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태왕 일본 아이치대학 경제학부 교수는 “현재와 같은 정치투쟁 중심의 노동운동은 제조비용(인건비 등), 현장유연성 개선을 막는 장애요인”이라며 “조직률 13%인 노조의 장외투쟁이 정치적 활동에 결부돼 대다수 국민의 공익을 크게 해치고 있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도요타 등 일본의 협력적 노사관계를 거울삼아 생산성 향상 운동으로 복귀하는 것이 경제위기를 극복하는 열쇠가 된다”며 “정부와 정당은 노사관계 설정에서 한발 물러서서 개별 노사가 결정토록 하되 쟁의 준법성을 확보하도록 도와야 한다”고 말했다.

이지완 기자 anew@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메리츠증권, 미국채 3배 레버리지 ETN 6종 상장

2블루스트리트, 건강한 삶 위한 혁신 ‘쉐이크포케’ 출시

3미래에셋생명, 변액보험 MVP 펀드 10주년…순자산 4조 돌파

4케이뱅크, 은행권 최초 ‘비상장주식 시세조회’ 서비스 출시

5한스바이오메드㈜, 싱가포르 국제 치과 기자재 박람회 참가

6中 미녀 배우도 홀렸다...럭셔리 매력 쏟아낸 폴스타

7압도적 전기 오프로더 ‘벤츠 G-클래스’ 연내 한국 온다

8“테슬라 모델 Y 잡아라”...中 베이징서 만난 기아 EV5

9 서울의대 비대위 수뇌부 교수들 “5월 1일 사직하겠다”

실시간 뉴스

1메리츠증권, 미국채 3배 레버리지 ETN 6종 상장

2블루스트리트, 건강한 삶 위한 혁신 ‘쉐이크포케’ 출시

3미래에셋생명, 변액보험 MVP 펀드 10주년…순자산 4조 돌파

4케이뱅크, 은행권 최초 ‘비상장주식 시세조회’ 서비스 출시

5한스바이오메드㈜, 싱가포르 국제 치과 기자재 박람회 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