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개조론’의 해법은?
| 전경련은 김석중 상무의 사회주의 발언 파문과 관련,정부에 협조하겠다는 내용의 해명 공문을 전달했다. | 전경련의 역할을 재정립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안팎으로부터 거세게 제기되고 있다. 내부적으로 상당수 회원사들은 전경련이 특정 그룹의 ‘대변인’ 역할을 하고 있다는 불만을 토로하고 있으며, 시민단체 등 외곽에서는 ‘전경련=재벌 이익단체’라는 등식으로 비판의 강도를 높이고 있다. 전경련은 2월 초 신임 회장단 선출과 더불어 조직 슬림화 등 강도 높은 구조조정 방안을 마련하면서 안팎으로부터 제기되고 있는 ‘전경련 개조론’을 진화한다는 복안이어서 그 결과가 주목된다. 전경련 개조론과 관련해 내부적으로 회원사들의 요구사항과 외부의 주문은 상당한 차이가 있다. 먼저 상당수 회원사들의 불만은 전경련이 특정 그룹의 이익만을 대변하고 있다는 것이다. 전경련 회원사들은 2002년 말 현재 4백4개사다. 삼성·LG·SK·현대차 등 4대 그룹을 비롯, 중견그룹·외국기업·업종별 협회 등이 회원사로 가입돼 있다. 전경련은 회원사들이 내는 회비로 운영되는데, 연간 예산이 3백억원 수준이다. 사무국 운영비가 2백30억원, 사회공헌사업 등 특별사업에 약 70억원이 소요된다. 여기서 주목해야 할 부문이 회비의 60∼70%가량을 삼성·LG 등 4대그룹이 분담하고 있다는 점이다. 전경련측은 매출액 기준으로 회비를 산출하다 보니 4대 그룹의 비중이 높다고 설명한다. 또 사회공헌사업에 사용되는 특별회비도 현실적으로 4대 그룹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전경련 사무국은 그래서 4대 그룹의 현안에 민감할 수밖에 없다. 자연스럽게 대다수 회원사들은 전경련이 4대 그룹의 대변인 역할만을 하고 있다고 볼멘소리를 하고 있다. 전경련 회장도 사실 4대 그룹이 도맡아 왔다. 역대 전경련 회장 가운데 4대 그룹 이하에서 맡은 적은 손가락으로 꼽을 정도다. 사실 4대 그룹 아래 그룹 총수가 전경련 회장을 하려면 4대 그룹의 ‘윤허’가 있어야 한다. 전경련은 상당수 회원사들이 제기하는 불만에 대해 어쩔 수 없다고 하소연하고 있다. 전경련 고위 관계자는 “우리도 회원사들의 불만을 모르는 게 아니다. 하지만 1백40여명의 사무국 직원들로서는 회원사들이 요구하는 사안들을 모두 들어줄 수 없다”고 토로한다. 전경련도 이런 회원사들의 불만을 달래기 위해 그동안 여러 가지 묘안들을 만들어냈다. 기업경영협의회·기업구조조정위원회 등 10여개가 넘는 위원회를 만들어 회원사들의 ‘공통 분모’를 담아내려고 애썼다. 하지만 몇몇 위원회를 제외하고는 활동 자체가 중단된 실정이다. 또 전경련 회장단을 확충해 풍산·녹십자 등의 중견 그룹 총수들이 지난해 회장단에 합류시켰다. 전경련은 이런 노력들을 통해 회원사들의 불만을 도닥였지만 아무래도 한계가 있게 마련이다. 전경련 회원사들은 ‘가려운 곳’을 긁어주기를 바라고 있다. 사실 그런 저런 규모의 그룹들은 씽크탱크 기능이 미흡하다. 그래서 전경련 사무국에 ‘SOS’를 요청하는 사례가 왕왕 있다. 대정부 관계에 있어서 업무추진 프로세스는 물론이고 회원사들끼리의 이해충돌에 대한 조정 요구도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다. 외부에서 바라보는 전경련에 대한 시각은 더욱 싸늘하다. 일부 시민단체들은 전경련이 재벌 이익만을 대변한다고 몰아세우며 전경련 해체론을 공공연하게 거론하고 있다. 사실 DJ정권에서는 전경련 해체론이 검토된 적이 있었다는 게 중론이다. 지난 2000년 신임 전경련 회장 추대시 당시 재벌 구조조종에 총대를 멨던 상당수 관료들은 정몽구 현대차그룹 회장의 전경련 회장 추대를 공공연하게 막았다. 전경련 고위 간부였던 Y모씨는 당시 “전경련 회장 선출과 관련해 여기저기서 전화를 받고 있다”며 “전경련 회장단이 원하는 회장을 선출하지 못할 것 같다”고 토로했던 적이 있다. 정부에서는 또 대한상의와 전경련의 역학관계를 교묘히 이용하면서 전경련의 위상 저하를 꾀하기도했다. 전경련은 그러나 ‘빅딜’을 통해 그 역할을 검증받았다. 손병두 전경련 부회장이 빅딜 작업의 ‘총대’를 메면서 전경련은 ‘존재의 당위성’을 정부에 인식시켰다. 역사적으로 전경련은 외풍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파트너 역할을 해왔다. 중소기업 육성·수출 드라이버·외채 절감 등 정부나 정치권에서 협조를 요청해 왔던 사안들에 대해 전경련은 그동안 적극 협조해 왔다. 물론 과거 정치권에서 정치자금을 요구해 왔을 때 전경련이 파이프 라인이 됐던 적도 한두번이 아니었다. 전경련 비판론이 불거지고 있지만 전경련은 새 정부와 재계의 파트너 역할을 할 수밖에 없다. 노당선자가 말했듯이 ‘배(한국경제)’는 ‘항해(성장)’해야 하기 때문이다. ‘배를 수리하는 것(재벌개혁)’은 순탄한 항해를 위한 수단에 불과하다. 전경련은 2월 초 새 회장을 선출하면서 그동안 안팎으로부터 제기됐던 전경련 개조론에 대한 해답을 내놓을 것으로 전망된다. 노당선자가 제시한 2백50만개 일자리·동북아 중심국가론·7% 성장론 등에 대한 재계차원의 협조방안도 나올 것으로 보인다. 전경련이 새 회장 선출과 함께 안팎으로부터 제기되고 있는 전경련 개조론에 어떤 화답을 보낼지 주목된다. |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