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위크 플러스 2010 · 2 · 10
재미 있는 문장 도해
What Makes a Sentence Tick?
모든 문장은 크게 주어(Subject)와 술어(Predicate) 둘로 나뉜다. 이것이 문장의 뼈대이자 기본이다. 나머지는 그 주어나 술어를 설명하고 규정하며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해 의도하는 뜻을 전달하는 데 기여한다. 아무리 복잡하고 긴 문장이라도 이런 기본 구조가 겹쳐지거나 변형될 뿐이다. 따라서 기본 구조(뼈대)를 정확히 파악하는 일이 영문 직독직해에 필수적이다.
영어의 기본 문법, 즉 문장의 기본 구조는 매우 간단하다.
주어(Subject) = 명사구/절(NP: Noun Phrase) = 한정사(Det: Determiner) + 명사(N: noun)
술어(Predicate) = 동사구(VP: Verb Phrase) = 동사(V: Verb) + 명사구/절(NP = Det + N)
* 한정사가 없는 경우도 많다.
주부(명사구-NP): The boy
술어(동사구-VP): reads a poem
이 문장의 구조를 Tree Diagram으로 표시하면 다음과 같다.
Basics of Reed-Kellogg Diagrams 1 Subject vs. Predicate 주어와 술어
우선 문장을 구성 요소로 나눈다.
•가장 중요한 구분은 주어와 술어다(굵은 수직선으로 표시한다).
•술어는 동사와 목적어(수평선 위의 수직선), 보어(수평선 위의 사선)로 나눠진다.
•술어는 반드시 동사구를 갖는다.
•수식어는 수평선 아래 사선으로 표시된다.
이 모든 규약은 각 문장 요소들의 기능과 연결 상황을 한눈에 보여주려는 목적에서 고안됐다.
기본 문장의 도해를 보자.
2 Diagrams and Word Order 문장 도해와 어순
도해는 문장 구조를 보여주는 그림이다. 특히 각 요소의 기능을 강조해 의미 파악에 도움을 주려는 목적이기 때문에 문장의 어순 자체를 반영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부사의 위치는 상당히 자유롭다. 하지만 도해에서는 문장 안에서 부사의 위치가 어떠하든 간에 그 기능(부사는 동사를 꾸민다)을 중시해 무조건 동사 아래에 표시한다.
다음 문장들은 의미(월요일에 관광을 하러 댈러스에 차를 몰고 간다)는 같지만 부사의 위치가 다르다.
On Monday, I’m driving to Dallas to see the sights.
I’m driving to Dallas on Monday to see the sights.
I’m driving to Dallas to see the sights on Monday.
To see the sights, I’m driving to Dallas on Monday.
그래도 도해는 이처럼 한가지로 나온다.
1 Tom’s friends were painting the fence. 톰의 친구들이 울타리에 페인트칠을 하고 있었다.
2 Tom’s little brother discovered the black thread. 톰의 동생이 검은 실을 발견했다.
3 Huck overheard a conversation between two men. 헉은 두 남자의 대화를 엿들었다.
의미 단위로 분리해서 전체 뜻을 순차적으로 파악하자
직독직해의 지름길 중 하나는 각각의 단어가 아니라 하나의 의미를 가진 덩어리로 파악한 다음, 그것을 합쳐 전체 문장의 의미를 파악하는 연습이다. 따라서 단어 하나하나를 떼어서 읽지 말고 하나의 의미를 가진 덩어리로 묶어서 읽자. 이런 ‘의미 단위(thought units/groups)’를 ‘chunk’라고 한다. ‘전체를 구성하는 작은 덩어리’라는 뜻이다. 말을 하거나 글을 쓸 때도 개별 단어를 연결해 문장을 만들기보다는 chunk를 사용해 의사를 전달한다. Chunk로 영문을 파악하는 연습을 하면 읽기의 유창성이 길러지며, 문장 의미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 단어를 전체 의미와 연결해서 파악하는 일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Chunk는 처음에는 작은 단위로 나눠도 무방하지만 익숙해지면 확대해서 더 큰 덩어리로 읽게 된다.
그렇다면 문장을 어디서 끊어 읽어야 할까? 두 가지를 명심하자. 첫째 기준은 구두점이다. 쉼표(,), 마침표(.), 물음표(?), 느낌표(!), 콜론(:), 세미콜론(;), 대시(─)를 말한다. 이런 구두점에서는 상당히 길게 쉰다.
둘째 기준은 문법이다. 문법적으로 크게 구분되는 단위들 사이에서 끊어 읽으면 영어의 자연적 리듬이 만들어지고 더욱 유창해진다. 문법적 단위란 명사구, 동사구, 전치사구 등을 말한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A beautiful woman // loves swimming / in the pond / very much.”
• Noun phrase(명사구) = a beautiful woman 아름다운 여인은
• Verb phrases(동사구) = loves swimming very much 수영을 매우 좋아한다
절은 반드시 따로 분리해서 읽어야 한다.
예: The boy, // who was no older than six or seven, // leaped over a fence. (여섯 또는 일곱 살밖에 안 되는) 남자 아이가 담을 뛰어 넘었다.
Warming Up 다음 문장을 chunking해 보자. 의미 단위의 구로 떼어 읽자는 뜻이다.
In Port-au-Prince, many houses were destroyed by the earthquake. It’s still unclear how many people have been killed in Tuesday’s disaster.
슬래시(/)로 chunk를 표시해 보자.
In Port-au-Prince, / many houses / were destroyed / by the earthquake. It’s still unclear / how many people / have been killed / in Tuesday's disaster.
이제 chunk를 기초로 이 문장들의 의미를 순차적으로 파악해 보자. 가능하면 주동사부터 시작하는 습관을 기르자.
파괴됐다 → 무엇이? → 많은 집들이 → 왜? → 지진 때문에 → 어디서? → 포르토프랭스(아이티의 수도)에서 아직도 불확실하다 → 무엇이? → 얼마나 많은 사람이 죽었는지→ 어떤 상황에서? → 화요일 참사에서
Exercise 1 다음의 항목이 의미 있는 문장이 되도록 철자 사이를 띄어 보자.
1 IthoughtonedayIwouldgohomearichman.
2 Ididnotknowhowtomakemyownbed.
3 Itisstilloperatingontheexactsamerulesthat ledtoitscollapse.
4 Afghanistanhastobecomealandofstability.
Answers1 I thought one day I would go home a rich man.
2 I did not know how to make my own bed.
3 It is still operating on the exact same rules that led to its collapse.
4 Afghanistan has to become a land of stability.
Notes• go home a rich man 돈을 벌어 금의환향하다
• make one’s bed 잠자리를 정돈하다
• lead to …로 이어지다, …을 초래하다
• stability 안정(steadfastness)
Exercise 2 위의 각 문장을 의미 단위로 나눠 슬래시로 표시한 뒤 소리 내어 읽으면서 의미를 파악해 보자. 앞에서 익힌 문장 도해도 같이 해 보자.
.
Exercise 3 위의 예문을 단서로 괄호를 채운 뒤 chunking해 보자.
1 U.S. aid / is needed / in order to ensure / ( ). a. profitability b. stability c. mobility
2 I don’t know / whether the machine is ( ) / or is inoperative. a. idling b. operating c. walking
3 She unfurled a sheet / to ( ) the bed. a. make b. spread c. clean
4 ( ) day / I will be / a superstar. a. next b. another c. one
5 Idleness / ( ) to ruin. a. leads b. runs c. flows
Answer 1.b 2.b 3.a 4.c 5.a
문장을 넘어 단락으로
Sentences Grow(뉴스위크 한국판 2010년 2월 3일자 10쪽 SCOPE / International 참조)
이제는 문장을 기초로 단락(paragraph)을 분석해 보자.
대개 단락이라고 하면 최대 다섯 문장으로 구성된 글의 단위라고 생각하지만 단락에서 중요한 점은 문장의 수가 아니라 문장들 사이의 일관된 생각이다. 앞서 말한 chunk보다는 범위가 넓은 ‘생각의 단위’가 단락이다.
뉴스위크에 실린 다음 단락을 보자.
WHY HAITI IS WITHOUT PARALLELIf death toll is the sole metric used, the world has known worse disasters than Haiti’s earthquake—China’s 1976 Tangshan quake left more than 200,000 dead, as did the 2004 Indian Ocean tsunami. But few catastrophes have decapitated a city as essential to a nation as Port-au-Prince is to Haiti. It is the country’s commercial, political, and cultural heart, and home to one third of its 9 million residents. Disaster historians have to grope for a proper parallel.
Notes
2 sole 유일한
4 tsunami 쓰나미, 지진해일
5 catastrophe 재앙
7 essential 필수적인
8 grope 확신이 없어서 이리저리 더듬어 찾다
9 parallel 유사한 사례
위 단어들과 아래 영어 정의를 서로 연결해 보자.
a necessary, indispensable
b disaster, calamity
c to search blindly or uncertainly
d a very large ocean wave caused by an underwater earthquake or volcanic eruption
e something similar, match, counterpart
f To cut off the head (behead)
g a standard of measurementh only i the number of people killed
4개의 문장으로 구성된 단락이다.
먼저 각 문장을 chunking(의미 단위로 떼어 읽기)해 보고 그에 따라 순차적으로 의미를 파악해 보자.
1 If death toll is / the sole metric used, / the world has known / worse disasters / than Haiti’s earthquake//—China’s 1976 Tangshan quake left / more than 200,000 dead, / as did / the 2004 Indian Ocean tsunami.
사망자수가 …라면 → 무엇이라면? → 사용되는 유일한 측정 기준이라면; 그렇다면 세계는 안다 → 무엇을? → 더 심한 재난의 예를 → 무엇보다 더 심한가? → 아이티의 지진보다; 더 심한 재난의 예는? → 중국의 1976년 탕산 대지진은 남겼다 → 무엇을? → 20만 명 이상의 사망자를; 마찬가지로 그랬다→ 무엇이? → 2004년의 인도양 쓰나미도
* ‘—(dash)’ 용법: 대시는 앞서 말한 부분을 설명하거나 그에 적합한 예를 들 때 사용한다.
2 Few catastrophes have decapitated / a city / as essential to a nation / as Port-au-Prince is to Haiti.
그러나 목을 자른 재난은 거의 없다 → 무엇의 목? → 도시의 목 → 어떤 도시? → 나라에 필수적인 도시 → 다시 말하자면? → 아이티에 필수적인 수도 포르토프랭스
이 문장을 도해해 보자.
3 It is the country’s commercial, / political, / and cultural heart, / and home to / one third / of its 9 million residents.
그것(포르토프랭스)은 그 나라(아이티)의 상업적, 정치적, 문화적 심장부다 → 그리고 또? → 거주지다 → 누구의? → 3분의 1의 → 무엇의 3분의 1? → 아이티 인구 900만 명의
4 Disaster historians have to grope / for a proper parallel.
재난 전문 역사가들은 확신 없이 찾아 헤매야 한다 → 무엇을 찾아서? → 적당하게 유사한 사례(포르토프랭스처럼 국가의 수도가 재난으로 완전히 기능을 상실한 예를 말한다)
Main Idea 이 단락의 중심 내용을 이야기해 보자.
아이티의 지진은 유례가 없을 정도로 수도 포르토프랭스를 완전히 마비시켰다.
문장 1과 문장 2는 종속절로 연결시켜도 의미상으론 문제가 없다. 다만 문장 1이 너무 길어 두 문장을 결합하기가 어렵다. but으로 연결된 서로 상반되는 내용이지만 실제는 문장 2의 뜻을 강조해준다. 다시 말해 핵심은 문장 2에 있다는 뜻이다(사망자 수로 따지면 아이티 지진보다 더 심한 사례가 적어도 둘이나 되지만 아이티처럼 나라의 수도를 완전히 마비시킨 예는 찾아보기 힘들다).
문장 3은 문장 2를 뒷받침한다(상업, 정치, 문화의 중심지이며 900만 총 인구의 3분의 1이 거주하는 곳이라는 사실을 강조해 아이티에 포르토프랭스가 얼마나 중요한 곳인지 설명해준다).
문장 4는 이 단락의 주제를 담은 문장 2(포르토프랭스처럼 수도가 재난으로 완전 기능하지 못한다)를 부연 설명한다(재난 연구 학자들이 유사한 사례를 찾기 힘들 정도로 전례가 거의 없다). 전형적인 단락의 구조다. 대개 이처럼 한 단락에는 중심 문장이 있고 나머지 문장은 그 중심 문장을 지지하고 더욱 발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Exercise A 이어지는 다음 단락의 일부를 읽으며 chunking과 순차적 의미 파악을 해보자.
In the past century, the only national capital to have been so devastated by natural occurrences was Tokyo in 1923, when an earthquake struck at lunchtime as residents were cooking over open fires. The resulting flames devoured much of Tokyo and nearly all of Yokohama. More than 100,000 died, and 2 million were left homeless. The deconstruction was so complete that authorities considered moving the capital and starting over.
Notes• devastate 완전히 파괴하다
• natural occurrence 자연 현상, 자연적으로 일어나는 재난
• open fire 옥외에서 피우는 불(정식 취사 시설이 아니라는 뜻)
• devour 집어삼키다, 파괴하다
• deconstruction 해체, 파괴
• start over 다시 시작하다
Answers: 1 In the past century, / the only national capital / to have been so devastated / by natural occurrences / was Tokyo in 1923, / when an earthquake struck / at lunchtime / as residents were cooking / over open fires.
지난 세기의 유일한 수도 → 어떤 수도? → 그(포르토프랭스)처럼 완전히 파괴된 수도 → 무엇으로 파괴됐나? → 자연 발생 재해로 인해 → 그게 어느 수도였나? → 1923년의 도쿄 → 당시에는 어땠나? → 지진이 일어났다 → 언제? → 점심 시간에 → 어떤 상황이었나? → 주민들이 요리를 하고 있던 상황이었다 → 어떻게 요리했나? → 야외에서 지핀 불(모닥불)로
2 The resulting flames devoured / much of Tokyo / and nearly all of Yokohama.
그 결과로 일어난 불길이 삼켰다 → 무엇을? → 도쿄의 대부분을 → 또 무엇을 삼켰나? → 요코하마의 거의 전부를
이 문장을 도해해 보자.
3 More than 100,000 died, / and 2 million were left homeless.
10만 명 이상이 사망했고 → 그리고? → 200만 명이 집을 잃었다.
4 The deconstruction was so complete / that authorities considered / moving the capital / and starting over.
도시(도쿄)는 너무도 철저히 파괴됐다 → 그래서? → 당국은 검토했다 → 무엇을? → 천도(수도를 옮기는 일)를 → 그래서? → 완전히 다시 시작하는 일을
B Careful Reading 위 단락을 다시 한번 읽고 다음 질문에 맞은 답을 골라 보자.
1 Which national capital was as badly devastated as the recent case of Port-au-Prince by a natural disaster in the past century?
a. Paris b. Tokyo c. Tangshan
2 The damage was so severe in Tokyo in 1923 because of ( ). a. flood b. tsunami c. fire
3 Tokyo was so completely destroyed by the earthquake that authorities considered ( ) the capital and starting over
a. transferring b. reconstructing c. expanding
Answer 1.b 2.c 3.a
독해로 배우는 글쓰기
의료문제에서 건강보험사 탓은 이제 그만!
It ’s Not My Fault
ROBERT ROSENKRANZ
During a recent appointment to ease a little back pain, my masseuse started criticizing the health-insurance companies. “Isn’t it terrible that insurance doesn’t cover massage?” she asked. It wasn’t the first time I’d heard this-and, as usual, I was exasperated. Why would she think that insurance should cover a massage? Insurance is supposed to be for that which you can’t budget. ①And every time massage, acupuncture, or chiropractic care is added to the list of covered treatments, premiums go up. People may think they’re getting a freebie, but we all pay.
As a longtime insurance-company CEO, I get frustrated with the insistence that health insurers are to blame for our problems. Nobody expects to have car insurance that covers an oil change. ②But when it comes to medical insurance, everybody thinks that, no matter how minor something is, insurers should pay. I don’t like the status quo any better than the president, but I don’t like being vilified either.
Recently I looked at the annual reports of the 10 largest health insurers and saw that average profits were about 3 percent of premiums in 2008. That’s hardly excessive. Premiums need to reflect costs-and costs, which include about $150 billion for tort litigation, defensive medicine, and malpractice premiums, are out of control. ③The villain here is not the insurance companies; it’s the toxic brew of misguided regulatory policies that prevent health insurers from acting the way companies in any other business model do.
Interpretation 밑줄 친 부분을 의미 단위로 나눠 순차적으로 뜻을 파악해 보자.1 And every time / massage, acupuncture, or chiropractic care / is added / to the list of covered treatments,// premiums / go up.
그리고 매번 추가될 때마다 → 무엇이? → 마사지, 침술, 척추교정 지압 치료가 → 어디에 추가되나? → 보험이 적용되는 치료 목록에? → 그러면 어떻게 되나? → 보험료가 올라간다
2 But when it comes to medical insurance,// everybody thinks / that,// no matter how minor something is,// insurers / should pay.
그러나 건강보험에 관한 한; 생각한다 → 누가? → 모두가 → 어떻게 생각하나? → 보험사가 지불해야 한다고 → 어떤 경우에? → 아무리 사소한 것이라고 해도
3 The villain here / is not the insurance companies;// it’s the toxic brew of misguided regulatory policies / that prevent health insurers / from acting / the way / companies in any other business model / do.
여기선 아니다 → 무엇이? → 악당이 → 무엇이 아니다? → 보험회사가 아니다; 그보다는 잘못된 규제 정책의 독성 혼합이 악당이다 → 어떤 정책? → 방해하는 정책 → 누구를 방해하나? → 건강보험사 → 어떻게 방해하나? → 어떤 식으로 행동하지 못하게 방해한다 → 어떤 식? → 다른 어떤 사업 모델을 가진 기업들이 하는 식으로
Careful Reading 다음 질문에 답하면서 좀 더 자세히 내용을 파악하자(답은 맨 아래).1 Why was the writer exasperated when he heard his masseuse saying that insurance should cover massage?
2 What is the writer’s job?
3 Why does he get frustrated with the insistence that health insurers are to blame for America’s broken health care system?
4 What does he think is the cause for the cost problems in the health care system?
Grasping the Main Idea 각 단락의 요지를 말해 보자.단락 1 건강보험이 모든 치료에 다 적용돼야 한다고?
단락 2 의료 시스템의 왜곡은 건강보험사 탓이 아니다.
단락 3 문제는 건강보험사의 발목을 묶는 규제 탓이다.
Writing Skills 가장 개인적인 경험을 서두에 꺼내 의도하는 주제를 이끌어냈다. 둘째 단락에서 자신이 건강보험사 대표라고 밝혀 ‘아하!’라는 느낌을 주면서 계속 관심을 끌었다. 그런 다음 건강보험사의 현실을 통계치를 대면서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했다.
clues for Careful Reading 질문의 답1 보험이란 미리 예상하고 비용을 마련해두지 못하는 경우에 대비해야 정상이며 마사지 같은 항목이 보험 적용 범위에 추가될 때마다 보험료가 올라간다.
2 건강보험회사의 대표.
3 다른 보험과 달리 건강보험이라고 하면 사람들은 무슨 치료든 전부 보험사가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4 보험사의 잘못이 아니라 다른 기업처럼 사업을 못하게 하는 잘못된 규제 정책들의 혼합.
▎수세에 몰린 건강보험사 대표들.
In every other category, prices reflect risk: smokers pay more for life insurance, people living near the beach pay more for flood insurance. ①But most states require that everyone in a community pay the same health-insurance premium, regardless of age, which means that young people pay excessive premiums to subsidize their elders, who typically earn more money. So young people, often quite sensibly, elect not to buy health insurance. (Health insurers have been excoriated for excluding people with preexisting conditions, but imagine the alternate reality: no reasonable people would buy insurance until they got sick.)
Also, state legislators often mandate “Cadillac” policies, which cover every conceivable medical benefit. If health insurers could offer “Honda” policies, and adjust premiums to reflect risks, they could provide affordable coverage-and incentives for healthy lifestyles and preventive care. My company does exactly that in our workers’-compensation business. By charging less to employers with good safety practices, we provide incentives beneficial to employer and employee alike.
The proposed reform legislation makes scapegoats of insurers but does almost nothing to address runaway costs. President Obama says he wants to increase competition; allowing health insurers to compete nationally is a great place to start. ②He has concern for the uninsured; why not eliminate the barriers to affordable insurance for young people and extend Medicaid to the uninsurable? He wants to reduce waste; let’s rein in tort lawyers and “cover your rear” care. And please, let’s stop blaming the insurers.
Rosenkranz is CEO of Delphi Financial Group.
Interpretation 밑줄 친 부분을 의미 단위로 나눠 순차적으로 뜻을 파악해 보자.1 But most states / require / that everyone in a community / pay the same health-insurance premium,// regardless of age,/ which means / that young people / pay excessive premiums / to subsidize their elders,// who typically / earn more money.
그러나 요구한다 → 무엇이? → 대다수 주들이 → 무엇을 요구하나? → 지불하도록 → 누가? → 지역사회의 모든 사람들이 → 무엇을 지불하나? → 같은 건강보험료를 → 어떤 경우에? → 나이를 불문하고; 그것은 의미한다 → 무엇을? → 지불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 누가? → 젊은 사람들이 → 무엇을 지불하나 → 과도한 보험료를 → 왜? → 보조하려고 → 누구를 보조하나? → 나이 많은 부모세대를 → 그들은 어떤 사람들인가? → 주로 젊은이들보다 소득이 더 높은 사람들이다
2 He has concern / for the uninsured;// why not eliminate / the barriers / to affordable insurance / for young people // and extend Medicaid / to the uninsurable?
• why not 권유와 동의를 의미하는 관용구다. ‘…하는 게 어때[…하지 그래]?’; ‘왜 아니겠어?[거 좋지.]’
Ex. Why not write to her?(그녀에게 편지를 써 보지 그러니)
Careful Reading 다음 질문에 답하면서 좀 더 자세히 내용을 파악하자(답은 맨 아래).1 Why do smokers pay more for life insurance and people living near the beach pay more for flood insurance?
2 Why do young people choose not to buy health insurance?
3 According to the writer’s idea, what are “Honda” policies?
4 What is the writer’s main complaint regarding President Obama’s health care reform bill?
Grasping the Main Idea 각 단락의 요지를 말해 보자.단락 4 위험요소를 적용한 합리적인 건강보험 체계가 얼마든지 가능하다.
단락 5 현행 건강보험 정책은 왜곡됐다(획일적인 보험료 적용으로 젊은이들에게 부담을 과하게 준다).
단락 5 오바마 대통령의 건강보험 개혁안은 보험사들만 희생양으로 삼는다. 좀 더 크게 보자.
Writing Skills 그 다음 단락에서 보험사만 탓해선 안 되는 이유를 부연 설명했다(위험요소를 감안하지 않은 획일적인 보험료 책정). 그런 다음 대안을 제시했다. 서로에게 이익이 되는 방안을 설명했다. 현재 미국에서 시끄러운 건강보험 문제는 결국 규제의 탓이지 보험사의 잘못이 아니라는 주제를 강조하며 글을 맺었다.
clues for Careful Reading 질문의 답1 보험료는 위험 수준을 반영하기 때문이다.
2 나이에 상관없이 똑 같은 보험료를 지불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면 노인들은 병원을 자주 찾기 때문에 젊은 사람들이 그들의 비용을 대주는 식이 된다.
3 선별적인 보험 적용만 가능한 저렴한 건강보험.
4 건강보험사만 희생양으로 삼지 비용 문제는 전혀 해결될 가망이 없다.
Identifying the message
The Big Idea미국 의료체제의 왜곡을 건강보험사의 탓으로 돌리지 마라!
번역의 세계
Are You Lost in Translation?(뉴스위크 영문판 1월 11일자에서)
무슬림만의 ‘알라’인가?
Malaysia Fights for ‘Allah’
IOANNIS GATSIOUNIS
Malaysia has long been a model / of religious tolerance, / a country / where a Muslim majority / coexists peacefully / with Christians, Hindus, and Buddhists. Now that reputation, / which has helped / make the country popular / with investors, / is under threat. This month / 10 Christian churches were attacked / after a court ①overturned a law / prohibiting non-Muslims / from using the word “②Allah” / to describe their god. The violence highlighted / the fact that, / beneath Malaysia’s outward ③glow of moderation, / ethnic tensions are ④on the rise.
말레이시아는 오랫동안 종교적 관용의 본보기였다. 무슬림 다수파가 기독교도·힌두교도·불교도와 평화롭게 공존했기 때문이다. 그 덕분에 투자자들에게 인기를 끌었는데 이제 그 명성에 금이 가게 생겼다. 1월 중 기독교 교회당 10곳이 공격을 받았다. 무슬림이 아닌 사람들은 자신들의 신을 가리켜 ‘②알라’라는 말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금지한 법을 ①뒤엎는 법원 판결이 내려진 직후였다. 그 폭력사태는 말레이시아가 겉으로는 ③평온한 듯 보이지만 그 이면에서 민족 간 긴장이 ④고조된다는 사실을 보여줬다.
Almost 40 years ago / the government introduced / policies to help reduce income disparities / between the Malay majority / and the big Chinese and Indian minorities. But ⑤over time, / those policies, / which favored Malays / over other ethnic groups, / have increased racial tension. (Some ⑥unscrupulous politicians helped / ⑦fan the flames as well.) For a long time, / this discontent was largely obscured/ by political PR, / tightly controlled media, / and billions / spent on eye-catching infrastructure projects. But the attacks have shattered / the myth of racial harmony. Now the government must work / to build a true consensus /—or watch its reputation fade / ⑧for good.
약 40년 전, 말레이시아 정부는 말레이계 다수파와 규모가 큰 중국계나 인도계 소수파 그룹 간의 소득격차를 줄이려는 정책을 도입했다. 그러나 ⑤세월이 흐르면서 다른 인종 그룹에 비해 말레이계를 우대한 그 정책으로 민족 간 긴장이 고조됐다(일부 ⑥파렴치한 정치인도 갈등을 ⑦부채질했다). 오랫동안 이런 불만은 정치적 대중조작, 엄격한 언론통제, 수십억 달러짜리의 요란한 인프라 건설 프로젝트에 가려 대체로 표면화되지 않았다. 그러나 이번 폭력사태는 민족 간 조화의 신화를 깨뜨렸다. 이제 정부가 진정한 화합 분위기의 조성에 힘쓰지 않으면 그 명성은 ⑧완전히 퇴색되고 만다.
Notes1 overturn (판결을) 뒤엎다, (차를) 전복시키다 Ex. overturn the ruling that legalized abortion(낙태를 합법화한 판결을 뒤엎다)
2 Allah 유일 절대의 신. al(the)과 lah(신)의 합성어. 무슬림이 신을 일컫는 말로 널리 알려졌지만 아랍인 기독교도·유대교도도 ‘신’이라는 의미로 사용한다
3 glow 작열, 타오르는 빛, (감정의) 고조, 만족감, 행복감 Ex. feel a glow of love(사랑의 행복감을 얻다), feel a glow of pride(기분 좋은 자부심을 느끼다)
4 on the rise 상승중인, 상승세에 있는, 반대말은 on the decline 또는 on the decrease. Ex. Divorce among the young is on the rise.(젊은 부부의 이혼이 증가한다)
5 over time 시간이 흐름에 따라, 오랜 시간에 걸쳐, 서서히 Ex. Over time, their money begins to run out.(서서히 그들의 자금이 떨어져 간다)
6 unscrupulous 사악한, 파렴치한, 부도덕한 Ex. unscrupulous competitor(비양심적인 경쟁자)
7 fan the flames (불꽃·분노 등을) 부채질하다 Ex. fan the flames of hatred with words and deeds.(언동으로 증오를 부채질하다)
8 for good 영원히, 영구히, 아주 Ex. I think my phone is broken for good.(내 전화기가 완전히 맛이 간 것 같아)
할리우드 영어를 익히자
Think Chic Talk Trendy이웃인 베컴 가족이랑 매일 만나요 A Cha -Cha Chat With a Lot of Spice
스케어리 스파이스(멜라니 브라운)가 ‘스타와 춤을’에 출연했다(프로와 아마추어 댄서가 한 팀을 이뤄 춤 솜씨를 겨루며 심사위원과 시청자가 투표로 승자를 결정하는 프로그램). 이 프로그램이 끝나도 그녀의 춤추기는 계속된다. 스파이스 걸스의 재결성 순회공연이 이어지기 때문이다. 라민 세투데 기자가 만났다.(LA에서 사는 멜라니의 아이들이 베컴 가족 아이들과 함께 놀며 서로 집을 방문해서 저녁식사를 함께 하는 사이라고 말한다.)
Tell me something (_____) about David Beckham. 데이비드 베컴에 관해 (재미난) 이야깃거리 있으면 해줘요.
No! I’m not going to rat my friends out like that. 안 되죠. 나는 그런 식으로 친구를 고자질하지는 않거든.
•rat out 고자질하다, 배신하다.
QUIZ 위 대화에서 ‘재미난’을 영어로 어떻게 표현했을까?
★★ ‘재미난’이라고 하면 보통 interesting, intriguing, exciting을 떠올리지만 인터뷰에서 기자는 juicy란 표현을 썼다. juicy는 물론 juice의 형용사형으로 식품을 가리켜 juicy fruit(수분이 많은 과일), juicy apple(물기가 배어나는 사과), juicy melon(즙이 많은 멜론) 등의 형태로 쓰인다. 하지만 과일이나 채소뿐 아니라 고기의 육즙을 일컬어 쓰이기도 한다. 가령 juicy steak나 juicy hamburger라고 하면 ‘육즙이 많은 스테이크 또는 햄버거’라는 뜻이다. 또한 ‘겉은 바삭바삭하지만 속에는 물기가 배어 있다’고 할 때는 crisp on the outside and juicy in the middle이라고 표현하면 된다. 하지만 일상 회화에서는 비유적으로 사업이나 계약 등을 가리켜 ‘벌이가 되는, 수지맞는, 이익이 짭짤한’이라는 뜻으로 쓰이기도 한다. 거기서 나오는 돈 또는 이익을 juice로 보는 발상이 재미있다.
land a juicy contract with a corporation(어느 기업으로부터 수지 맞는 계약을 따내다).
또 인터뷰에서처럼 이야기나 스토리를 지칭해서 ‘흥미진진한, 자극적인, 스캔들성’이라는 의미를 갖기도 한다.
juicy gossip(흥미진진한 가십), juicy news(선정적인 뉴스),
juicy rumor(흥미를 불러일으키는 소문),
juicy story(자극적인 이야기) 같은 식이다.
그렇다면 다음 문장들을 juicy를 이용해서 영작해 보자.
1 루머는 자극적일수록 더 빨리 퍼진다.(‘The + 비교급 ~, the + 비교급~’ 구문을 이용한다).
2 메리는 사라에 관한 스캔들성 가십을 그럴 듯하게 풀어놓았다.(‘음식을 접시에 담아 내놓다, 이야기 등을 그럴싸하게 풀어놓다’는 뜻의 동사구 dish up을 이용한다).
3 그 여배우의 유산(流産)은 몇몇 타블로이드 신문에서 흥미로운 뉴스 거리로 취급됐다.(유산 miscarriage, 뉴스거리 a piece of news)
Answers1 The juicier the rumor, the faster it spreads.
2 Mary dished up some juicy gossip about Sarah.
3 The miscarriage of the actress was treated as a juicy piece of news by some of the tabloid papers.
★★★ 어느 상황에서나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표현
★★ 가까운 친구끼리는 사용해도 괜찮은 표현
★ 알아두기만 하고 사용해서는 안 되는 표현
미드 속 생생 영어
Drama english괜찮아
Cool
‘멋진, 끝내주는, 괜찮은’이라는 의미의 ‘cool’은 이제 우리나라 사람들에게도 너무나 익숙하다. 하지만 이 cool은 ‘멋있는, 끝내주는’이란 의미 외에도 어떤 상황이나 자신의 상태가 ‘괜찮다’라고 할 때도 사용된다. 예를 들어, 오늘 함께 놀러 가기로 한 친구가 약속을 지키지 못해 미안하다고 할 때 내가 “That’s cool”이라고 한다면, ‘그거 멋진데’가 아니라 ‘괜찮아’라는 뜻이다.
● 생생 표현 익히기1 Your movie was really cool. 당신 영화 정말 멋졌어요.
2 You should know how cool you are. 네가 얼마나 멋진지 너도 알아야 해.
3 Did you get the ticket? Wow, cool! 티켓 구했어? 와, 좋았어!
● 셀프 테스트1 취직했어? 잘됐다! You _____ a job? _____!
2 난 그가 컴퓨터만 아는 바보인줄 알았는데, 알고 보니 멋진 녀석이야. I thought he was a computer _____, but it _____ _____ that he’s actually a _____ guy.
Answers 1 You got a job? Cool! 2 I thought he was a computer nerd, but it turns out that he’s actually a cool guy.
【‘스피킹에 강해지는 미드영어 표현 best 100’(J&L English Lab 지음, 21세기북스 펴냄)에서 발췌】
유게리의 올바른 영어 용법
Gary Rector’s English Tips‘And’의 사용에서 유의할 점
영어 단어 중에서 and보다 더 쉬운 단어는 없을 듯하지만 실전에선 and를 잘못 쓴 예가 꽤 많다. 따라서 이번에는 자주 틀리는 두 가지 문제를 다루고자 한다.
1 And로 연결되는 말들은 품사와 기능이 같아야 한다. 어느 기업이 파워포인트로 작성한 프레젠테이션에 ‘Voluntary and Willingness’라는 표현이 나왔다. 무슨 뜻일까? 굳이 직역하자면 ‘자발적이고 자진’이 된다. 조금만 더 생각했더라면 이처럼 어색한 표현을 피할텐데 기업체의 홍보 문안에선 자주 등장한다. voluntary는 형용사고, willingness는 명사다. 그런데 willingness를 willing이라는 형용사로 바꾸더라도 여전히 어색하다. 왜냐하면 voluntary는 사람의 행동을, willing은 사람의 마음 상태를 묘사하는 단어여서 기능이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문법적으로 옳게 고치려면 둘 다 부사인 voluntarily and willingly로 고쳐야 한다(이 경우 ‘자발적으로 기꺼이’라는 의미가 된다).
시장에서 본 광고 슬로건 중에 ‘Natural & Beauty’가 눈에 띄었다. 이 경우도 형용사와 명사를 섞어 썼기 때문에 품사를 통일해야 한다. 둘 다 형용사를 쓰면 ‘Natural & Beautiful’이 되고, 명사를 쓰면 ‘Nature & Beauty’가 된다.
2 두 개 이상의 형용사를 and로 이으면 안 되는 경우도 많다. 두 개 이상의 형용사가 명사 앞에 놓였을 때(관형적 용법) 그 형용사들이 같은 ‘등급’이고 순서를 마음대로 바뀔 수 있을 경우에만 and를 쓴다. 우선 and를 써도 되는 예문을 보자.
It’s going to be a long and very hot summer. (O)
It’s going to be a very hot and long summer. (O)
길고 무더운 여름이 될 듯하다.
Be careful. That’s an expensive and very complicated machine. (O)
Be careful. That’s a very complicated and expensive machine. (O)
조심해, 그건 아주 복잡하고 비싼 기계야.
and를 안 쓸 때는 그 자리에 쉼표를 대신 넣으면 된다.
It’s going to be a long, very hot summer. (O)
Be careful. That’s a very complicated, expensive machine. (O)
그러나 형용사의 순서(성질+대소+모양+신구+색깔+기원 +재료)를 바꿀 수 없을 경우에는 and나 쉼표를 쓰지 못한다.
We live in a big white house. (O)
We live in a white big house. (X)
We live in a big and white house. (X)
We live in a big, white house. (X)
우리는 큰 하얀 집에서 산다.
그러나 두 개 이상의 형용사를 보어로 쓸 때(서술적 용법)는 반드시 and를 써야 한다.
This summer is going to be long and very hot. (O)
That machine is very complicated and expensive. (O)
Our house is big and white. (O)
【필자인 게리 렉터는 미국인으로 뉴스위크 한국판에서 네이티브 체커로 일한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李유죄' 선거법 조항 폐지법, 법사위 통과…국힘 "李 면소법"(상보)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박수홍, 가족사진 공개..'37㎏↑'♥김다예 눈길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부동산 고사 직전, 양도세 확 낮추자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5년 조기상환'의 함정…자본성증권의 '역습'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단독]삼천당 주가 띄운 S-PASS 원천기술, 5년 전 이미 “진보성 없다” 결론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