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도로 달리면서 무선 충전한다

도로 달리면서 무선 충전한다

카이스트(KAIST)에서 개발된 온라인 전기차량 버스가 세계시장 선구자 일반 전기차 3분의 1 크기 배터리로 주행 가능
테슬라는 자사 전기차용 배터리로 주행거리와 성능을 향상시킨 P100D를 선보였다.
전기자동차에 지금 같은 관심을 촉발한 기업은 뭐니뭐니해도 테슬라 모터스였다. 토마스 에디슨의 맞수이자 동명의 천재 발명가인 니콜라 테슬라는 의심의 여지없이 흐뭇하겠지만 전기자동차의 다음 단계가 자신의 가장 큰 꿈을 구현하는 과정이라는 걸 알면 뛸 듯이 기쁠 것이다. 바로 무선 동력전달이다.

배기가스 배출이 적다는 점에서 배터리 기반의 전기자동차 수요가 어느 때보다 많아졌지만 여전히 너무 비싸고 주행거리가 짧다는 문제점을 지적 받는다. 그렇다면 플러그를 콘센트에 꽂을 필요 없이 주차 중 또는 심지어 도로 주행 중 재충전하는 방법은 어떨까?

공상과학 소설이 아니다. 콘센트에 플러그를 꽂지 않고도 배터리를 재충전할 수 있는 전동 칫솔, 패드 위에 올려 놓기만 하면 충전되는 스마트폰으로 이미 알려진 사실이다.

작동원리는 이렇다. 전선 코일(트랜스미터) 속으로 교류전력(AC)이 흐른다. 그에 따라 자장이 빠른 속도로 두 방향 사이를 오간다. 그 자장에 노출된 둘째 코일(리시버)이 그 진동을 포착해 자신의 회로로 교류 전력을 유도해 그것을 자동차의 동력으로 사용한다(또는 전동 칫솔의 배터리를 충전한다).

더 높은 주파수를 이용해 더 큰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전자 시스템 가격이 갈수록 낮아지고 있다. 지금은 코일 간의 간격이 더 벌어지거나 정확하게 배열되지 않아도 에너지가 전달된다.

이 같은 기술 덕분에 일부 전기차는 이미 충전 패드 위에 주차시켜 충전할 수 있다. 패드가 차량 밑바닥의 수신 코일에서 최대 20㎝까지 떨어져 있어도 가능하다. 다음은 도로에 코일을 깔아 자동차·버스·트럭이 주행 중 충전할 수 있게 하는 단계다.

무선충전 시스템은 동물이나 사람에 해를 끼치지 않도록 충분히 안전장치가 돼 있다. 노면의 코일은 위쪽 리시버 코일과 무선으로 소통할 때만 동력을 배출하며 그것은 리시버 코일에 거의 모두 흡수된다. 나머지는 대부분 자동차의 금속 차체에 흡수된다.

도로에 무선충전 코일을 까는 데 큰돈이 들 것 같지만 최근 조사에선 그보다 건설작업 비용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새 도로든 기존 도로의 개량이든 추가 비용은 그렇게 많이 들지 않는다.

주행 중 충전으로 시간이 절약될 뿐 아니라 전기차의 원가도 절감된다. 배터리를 이용 중 더 자주 충전하면 지속시간이 더 길어지고, 주행거리를 똑같이 유지하면서도 더 작게 만들 수 있다.

아직 존재하지 않은 인프라에 의존하는 신기술이 모두 그렇듯이 무선 차량충전은 틈새 시장으로 출발할 것이다(휴대전화 초창기의 고가품이던 시절을 기억하는가?). 이 경우엔 정류장과 고정 주행노선의 특정 구역에서 재충전하는 전기버스가 틈새 시장이다.

이 시장의 세계 선구자는 몇 년 전 한국 카이스트(KAIST)에서 개발된 버스 ‘온라인 전기차량(OLEV)’이다. 계속적인 충전 기술의 도입으로 OLEV 버스는 일반 전기차 배터리의 3분의 1에 불과한 소형 전지로 노선을 주행할 수 있다. 더 최근에는 스웨덴의 트럭·버스 제조업체 스카니아가 비슷한 버스용 충전소 시스템을 시범 운영했다. 북구의 혹독한 겨울 환경에도 그런 기술이 통할 수 있음을 입증하려는 취지다.

승용차의 경우 무선충전은 편의기능이 우선돼야 한다. 사람들이 드라이브웨이(주차장 진입로)나 차고에 주차할 때 소켓에 플러그를 꽂을 필요가 없어야 하고 그 뒤 차가 필요할 때 배터리가 충전돼 있어야 한다.

주행 중 차량을 충전할 수 있는 밀집된 고속도로망이 실현되려면 아직 갈 길이 멀다. 대규모의 인프라 투자가 필요하고 구리 전선과 반도체 부품을 훨씬 더 많이 확보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기술 취급 경험과 국제적인 호환성 표준에 관한 합의가 그런 투자의 전제조건이 될 것이다. 안전성도 가볍게 생각해선 안 된다. 트랜스미터 코일은 상당한 전력을 배출하며 리시버 코일과 제대로 소통할 경우에만 안전한 것으로 간주된다. 또한 트랜스미터와 리시버 간의 소통이 우연한 사고 또는 의도적인 간섭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해야 한다. 이 같은 측면은 사이버 보안과도 관련된다.

그렇다면 전력전달도로가 언제 어디서 대규모로 깔리게 될까? 한국이 이 기술을 시범 도입하면서 주도권을 계속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깨끗하고 효율적인 교통 체계에 강한 애착을 갖고 있는 싱가포르 같은 부국이 곧 그 뒤를 따를지도 모른다. 표준화된 전력 전달 도로는 19세기의 철도와 같은 역할을 담당할 가능성이 크다. 운송 효율성에 비약적인 발전을 가져올 뿐 아니라 신산업의 핵심을 이루게 될 것이다.

- 해리 호스터



[ 필자는 랭커스터대학 에너지 랭커스터 소장이자 물리화학 교수다. 이 기사는 온라인 매체 컨버세이션에 먼저 실렸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1147회 로또 1등 ‘7, 11, 24, 26, 27, 37’…보너스 ‘32’

2러 루블, 달러 대비 가치 2년여 만에 최저…은행 제재 여파

3“또 올랐다고?”…주유소 기름값 6주 연속 상승

4 정부, 사도광산 추도식 불참키로…日대표 야스쿠니 참배이력 문제

5알렉스 웡 美안보부좌관 지명자, 알고 보니 ‘쿠팡 임원’이었다

61조4000억원짜리 에메랄드, ‘저주받은’ 꼬리표 떼고 23년 만에 고향으로

7“초저가 온라인 쇼핑 관리 태만”…中 정부에 쓴소리 뱉은 생수업체 회장

8美공화당 첫 성소수자 장관 탄생?…트럼프 2기 재무 베센트는 누구

9자본시장연구원 신임 원장에 김세완 이화여대 교수 내정

실시간 뉴스

11147회 로또 1등 ‘7, 11, 24, 26, 27, 37’…보너스 ‘32’

2러 루블, 달러 대비 가치 2년여 만에 최저…은행 제재 여파

3“또 올랐다고?”…주유소 기름값 6주 연속 상승

4 정부, 사도광산 추도식 불참키로…日대표 야스쿠니 참배이력 문제

5알렉스 웡 美안보부좌관 지명자, 알고 보니 ‘쿠팡 임원’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