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암살된 김정남, 유품 6년째 방치…“아무도 찾으러 안 와”
말레이시아 경찰 “달러 포함 다양한 화폐 갖고 있어”
휴대전화·노트북은 北에 시신 인계 때 넘긴 것으로 추정
[이코노미스트 윤형준 기자] 말레이시아 경찰은 6년 전 암살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이복형 김정남의 유가족이 아직도 유품을 찾아가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1일 미국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따르면 말레이시아 세팡 지방경찰청의 완 카마룰 아즈란 완 유소프 부청장은 전날 RFA와 통화에서 “제가 아는 한 현재 이 순간까지 아무도 찾아오지 않았다”며 “(유품 처리는) 검찰과 논의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어떤 귀중품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달러를 포함한 다양한 화폐를 가지고 있다”고 답했다.
‘김철’이란 이름으로 여권을 만들어 해외를 떠돈 김정남은 2017년 2월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국제공항에서 화학무기인 VX 신경작용제 공격을 받고 사망했다.
당시 체포된 인도네시아와 베트남 국정의 여성 두 명 중 한 명은 상해 혐의로 징역 3년 4개월을 선고받았고, 다른 한 명에 대해서는 검찰이 공소를 취소하고 전격 석방했다.
당시 경찰은 재판 과정에서 김정남의 가방에서 휴대전화 2대, 노트북 등과 함께 13만8000달러(약 1억9000만원) 상당 현금을 발견했다고 증언했다.
그러나 유소프 부청장은 유품 중 노트북이나 휴대전화 등은 없냐는 질문에 “없다”고 답했다.
이와 관련, 후추평 말레이시아국립대 교수는 RFA에 “제가 들은 바로는 당시 말레이시아와 북한 사이에 많은 협상이 있었다”며 “말레이시아 측에서 시신을 북한에 넘겨줄 때 소지품도 함께 건네줬을 것”이라고 말했다.
말레이시아 경찰은 지난해 10월 4일 김정남의 유품과 관련, 6개월 이내에 유가족이 나오지 않으면 말레이시아 재무부에 귀속될 것이라고 공지했다.
김정남의 유족으로는 본처 신정희와 아들 김금솔, 후처 이혜경과 한솔·솔희 남매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김정남은 김일성의 장손이자 김정일의 장남인 혼외자다. 미혼이던 김정일과 유부녀였던 성혜림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이다. 21세기 이후로는 중국, 마카오, 필리핀, 인도네시아, 싱가포르, 태국 등 동남아시아, 그리고 프랑스, 스페인 등 유럽 등지에서 중국의 신변 보호를 받으며 자주 나타났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1일 미국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따르면 말레이시아 세팡 지방경찰청의 완 카마룰 아즈란 완 유소프 부청장은 전날 RFA와 통화에서 “제가 아는 한 현재 이 순간까지 아무도 찾아오지 않았다”며 “(유품 처리는) 검찰과 논의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어떤 귀중품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달러를 포함한 다양한 화폐를 가지고 있다”고 답했다.
‘김철’이란 이름으로 여권을 만들어 해외를 떠돈 김정남은 2017년 2월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국제공항에서 화학무기인 VX 신경작용제 공격을 받고 사망했다.
당시 체포된 인도네시아와 베트남 국정의 여성 두 명 중 한 명은 상해 혐의로 징역 3년 4개월을 선고받았고, 다른 한 명에 대해서는 검찰이 공소를 취소하고 전격 석방했다.
당시 경찰은 재판 과정에서 김정남의 가방에서 휴대전화 2대, 노트북 등과 함께 13만8000달러(약 1억9000만원) 상당 현금을 발견했다고 증언했다.
그러나 유소프 부청장은 유품 중 노트북이나 휴대전화 등은 없냐는 질문에 “없다”고 답했다.
이와 관련, 후추평 말레이시아국립대 교수는 RFA에 “제가 들은 바로는 당시 말레이시아와 북한 사이에 많은 협상이 있었다”며 “말레이시아 측에서 시신을 북한에 넘겨줄 때 소지품도 함께 건네줬을 것”이라고 말했다.
말레이시아 경찰은 지난해 10월 4일 김정남의 유품과 관련, 6개월 이내에 유가족이 나오지 않으면 말레이시아 재무부에 귀속될 것이라고 공지했다.
김정남의 유족으로는 본처 신정희와 아들 김금솔, 후처 이혜경과 한솔·솔희 남매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김정남은 김일성의 장손이자 김정일의 장남인 혼외자다. 미혼이던 김정일과 유부녀였던 성혜림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이다. 21세기 이후로는 중국, 마카오, 필리핀, 인도네시아, 싱가포르, 태국 등 동남아시아, 그리고 프랑스, 스페인 등 유럽 등지에서 중국의 신변 보호를 받으며 자주 나타났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1147회 로또 1등 ‘7, 11, 24, 26, 27, 37’…보너스 ‘32’
2러 루블, 달러 대비 가치 2년여 만에 최저…은행 제재 여파
3“또 올랐다고?”…주유소 기름값 6주 연속 상승
4 정부, 사도광산 추도식 불참키로…日대표 야스쿠니 참배이력 문제
5알렉스 웡 美안보부좌관 지명자, 알고 보니 ‘쿠팡 임원’이었다
61조4000억원짜리 에메랄드, ‘저주받은’ 꼬리표 떼고 23년 만에 고향으로
7“초저가 온라인 쇼핑 관리 태만”…中 정부에 쓴소리 뱉은 생수업체 회장
8美공화당 첫 성소수자 장관 탄생?…트럼프 2기 재무 베센트는 누구
9자본시장연구원 신임 원장에 김세완 이화여대 교수 내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