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
美 “차이나 엑시트” 가속… 스타벅스에 이어 버거킹도 중국 손에
- 루이싱커피·디디추싱 등 매각 행렬
최근 스타벅스가 중국 사업 지분의 최대 60%를 현지 사모펀드에 넘긴 데 이어, 버거킹 역시 중국 자산운용사에 중국 법인 지분 83%를 매각했다.
12일 중국 경제매체 제일재경 등에 따르면, 중국계 자산운용사 CPE 위안펑(CPE Yuanfeng) 은 레스토랑 브랜드 인터내셔널(RBI) 산하 자회사가 보유한 버거킹 차이나 지분 83% 를 인수하는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이번 거래로 RBI는 17%의 지분만을 유지하게 됐다.
CPE는 약 3억5000만 달러(약 5100억 원) 를 투자해 매장 확장과 운영 역량 강화, 메뉴 현지화, 마케팅 재정비를 추진할 계획이다. 현재 약 1250개 수준인 중국 내 버거킹 매장은 2035년까지 4000개 이상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이보다 앞서 스타벅스도 중국 사모펀드 보위캐피털 에 중국 사업 지분 최대 60% 를 넘기기로 했다. 스타벅스는 나머지 40%를 보유하면서 브랜드와 지식재산권(IP)은 합작회사가 공동으로 사용하는 구조다.
1999년 베이징 1호점 개점을 시작으로 중국 전역에 약 8000개 매장을 운영 중인 스타벅스는, 코로나19 이후 루이싱커피 를 비롯한 현지 브랜드의 '가성비 전략' 공세에 밀리며 성장 정체를 겪고 있다. 루이싱커피는 이미 매장 수 기준으로 스타벅스를 추월, 중국 최대 커피 체인 자리에 올랐다.
버거킹과 스타벅스 외에도 갭(GAP), 아마존, 얌브랜즈(KFC·피자헛), 우버 등 다수의 미국 기업들이 중국 내 사업을 축소하거나 지분을 매각했다.
갭은 2022년 중국 시장 부진을 이유로 현지 유통기업 바오쭌 에 중화권 사업을 매각하기로 합의했고, 아마존은 2017년 AWS(클라우드) 자산 일부를, 2019년에는 온라인 리테일 사업 전체를 철수했다.
얌브랜즈는 2016년 알리바바그룹 계열사와 투자사 프리마베라캐피털에 '얌 차이나' 지분을 넘겼으며, 우버 역시 같은 해 중국 사업을 디디추싱 에 매각했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흐름을 "중국 시장에서의 단기 성장성보다 정치·규제 리스크 관리가 더 중요해졌다는 판단의 결과"로 해석한다.
한 중화권 투자전문가는 "토종 브랜드의 급성장, 소비 패턴 변화, 그리고 지정학적 리스크까지 겹치며 글로벌 본사들이 중국 시장에서 '리스크 분산'을 선택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딱 1분… 숏폼 드라마계 다크호스 ‘야자캠프’를 아시나요 [김지혜의 ★튜브]](https://image.isplus.com/data/isp/image/2025/11/09/isp20251109000035.400.0.jpg)
![샤넬부터 친환경 재킷까지...지드래곤의 '화려한' 공항패션 [얼마예요]](https://image.economist.co.kr/data/ecn/image/2025/11/08/ecn20251108000008.400.0.jpg)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부광약품, 18일 기업설명회 개최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일간스포츠
이데일리
송승헌 동거설? 진실은…아이비, 입 열었다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서울 자가 김 부장, 65세 정년연장에 웃는 이유[전문기자칼럼]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부동산 운용사 '빅3' 인사태풍…이지스·마스턴·코람코, 세대교체 '시동'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파로스아이바이오 "PHI-101, 다수 제약사가 기술도입 검토중"[바이오맥짚기]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