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연준, 인플레 쇼크에 금리인상·양적긴축 동시 추진
지난해 12월 FOMC 회의록 공개
대차대조표 축소 연내 시행 가능성 커

많은 참석자는 “경제, 노동시장, 인플레이션 전망을 고려할 때 앞서 예상했던 것보다 더 일찍 또는 더 빠르게 기준금리를 올리는 것이 정당화될 수 있다”고 언급했다. 당시 회의에서 연준은 올해 세 차례 기준금리 인상을 전망했다. 특히 자산매입 축소(테이퍼링) 종료 시점을 올해 3월로 앞당긴 만큼 연준이 이르면 3월부터 금리인상을 시작할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이 우세하다.
또 일부 참석자들은 “연준의 대차대조표 규모를 줄이기 시작하는 게 적절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대차대조표 축소는 연준이 보유하고 있는 채권을 팔아 시중의 달러를 거둬들이는 통화긴축을 의미한다. 시중의 돈을 그만큼 흡수하고 보유 자산을 줄이겠다는 거다. 국채를 비롯한 금융자산을 직접 사들여 유동성을 공급하는 양적 완화 정책과 대비해 양적긴축 정책이라고도 부른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그간 양적완화로 불어난 연준의 자산(대차대조표)은 8조8000억 달러에 이른다.
대차대조표 축소 실행 시점을 두고도 흥미로운 의견이 나왔다. 의사록은 “거의 모든 참석자가 첫 기준금리 인상 후 일정 시점에 대차대조표 축소를 시작하는 게 적절할 것 같다는 데 동의했다”고 전했다. 올 3월로 점쳐지는 기준금리 인상 시점과 맞물려 자산규모를 줄여나가겠단 뜻으로 해석된다. 당초 시장은 2024년쯤 대차대조표를 축소해나갈 거라고 내다봤다.
이처럼 양적긴축 정책을 앞당겨 시행하는 건 치솟는 인플레이션에 대응하기 위해서다. 의사록은 “참석자들은 대차대조표 축소의 적절한 속도가 이전 정상화 사례보다 더 빨라질 것 같다고 언급했다”고 설명했다.
김다린 기자 kim.darin@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HDC현산 vs 포스코’ 용산정비창 재개발 ‘경쟁’
2현대건설-서울대, ‘꿈의 에너지’ 핵융합 발전 위한 산학협력 체계 구축
3라이엇 게임즈, 요아소비 ‘이쿠라’와 협업한 시네마틱 공개
4폐업 소상공인 취업 위해 중기부·고용부 손잡는다
5"우리도 AI 수출국?"... KT, 국내 최초로 LLM 플랫폼 수출했다
6'다 바꾸겠다'는 더본코리아...백종원 대표 직속 '리스크 관리 조직' 신설
7또 터진 금융사고…하나은행 350억원 부동산 대출사기 발생
8중국 보잉 737맥스 인수 중단…美 항공기 사실상 수입봉쇄
9지난해 여성 오너 배당금 1위는 이부진, 1483억여원 수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