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CONOMIST

부동산

부동산

이재명 분당 아파트는 14억…김문수 관악구 아파트는?

정책이슈

제21대 대통령 선거에 총 7명의 후보가 등록한 가운데 후보자들의 재산, 납세 등의 신상정보 내역이 공개됐다.12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선관위에 30억8000만원의 재산을 신고했다.배우자와 공동 소유한 경기 성남시 분당구 아파트(14억5600만원)와 예금(1억4077만2000원) 등이었다.김문수 국민의힘 후보는 10억6000만원의 재산이 있는 것으로 신고했다.배우자 소유의 서울 관악구 아파트(4억8000만원)와 예금 3억64만원, 본인 소유 예금 936만원 등이었다.이준석 개혁신당 후보의 재산은 14억7000만원으로 본인 명의 서울 노원구 아파트(7억2800만원)와 예금(3억5287만5000원) 등이었다.이 밖에 무소속인 황교안 후보는 33억1787만5000원으로 가장 많은 재산을 신고했다. 권영국 민주노동당 후보는 25억193만8000원, 구주와 자유통일당 후보는 17억4119만3000원, 무소속 송진호 후보는 2억8866만5000원이었다.한편 후보자 기호는 1번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2번 국민의힘 김문수, 4번 개혁신당 이준석, 5번 민주노동당 권영국, 6번 자유통일당 구주와, 7번 무소속 황교안, 8번 무소속 송진호 후보로 결정됐다.후보자 기호는 현행 공직선거법에 따라 국회 의석이 많은 정당부터 앞선 번호를 부여받는다. 원내 3당인 조국혁신당이 후보자를 내지 않으면서 기호 3번은 결번이 됐다.의석이 없는 정당 후보는 정당 명칭 가나다순으로 기호를 받고, 무소속 후보는 선관위 추첨 순서로 기호를 받는다.

2025.05.12 14:50

1분 소요
서울 2030세대, 올해 첫 주택 매수 급증…4월 들어 뚜렷한 증가세

부동산 일반

올해 들어 서울에서 생애 처음으로 주택을 구입한 2030세대가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4월 들어 매수자가 급증한 가운데, 20대 여성의 주택 구입 비중이 58%를 넘기며 눈길을 끈다.12일 법원 등기정보광장 소유권이전등기(매매)에 따르면 올 들어 1~4월 서울에서 생애 첫 부동산(집합건물)을 구입한 20대는 1596명으로 전년 동기간(1409명) 대비 187명(13.3%) 증가했다.20대 중에서는 여성 매수자가 932명으로 전체 58.4%를 차지했다. 월별 매수자 수는 1월 313명→2월 407명→3월 352명→4월 524명으로 4월 들어 크게 늘어난 모양새다. 같은 기간 30대 매수자는 5655명에서 7136명으로 1468명(26%) 늘었다. 남성이 3589명(50.3%), 여성이 3547명(49.7%)으로 약 절반씩 차지했다. 월별 매수자 수는 1월 1346명→2월 1970명→3월 1779명→4월 2041명으로 역시 4월에 2000명을 넘겼다.이는 서울 강남3구와 용산구가 지난 3월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확대 지정되고 6월 조기대선으로 인해 부동산 시장 전반의 관망세가 짙어진 것과는 상반된 모습이어서 눈길을 끈다.실제 올해 들어 40대 매수자는 3274명에서 3343명으로 2.1% 증가하는 데 그쳤으며 50대는 1728명에서 1521명으로 12% 감소했다.지난해 동기간 전체 서울의 주택을 구매한 사람 수는 3만7416명에서 4만2812명으로 늘었으며 이 중 2030세대 구매비율은 31.2% 33.6%로 2.4%포인트(p) 증가했다.이처럼 2030 젊은 세대가 주택을 구입하는 것을 두고 지난해 하반기 대출규제 강화 조치 이후 급감했던 주택구매 시장이 실수요자 중심으로 다시 온기를 찾고 있다는 진단이 나온다.아울러 공급 부족으로 인해 전세가격이 더 올라가고 신혼부부·신생아 특례대출 조건이 완화된 점 등이 주택 구입 심리를 자격한 것으로 분석된다. 신생아 특례대출 소득기준은 지난해 12월 부부 합산 연 1억3000만원에서 2억원으로 오른 바 있다.

2025.05.12 11:05

2분 소요
1.8억에 10억 아파트를?…

부동산 일반

한국형 ‘지분형 모기지’가 주택 시장을 안정화 하는데 어떤 영향을 끼칠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적은 자금으로 내 집 마련이 가능해 인기를 끌면서 부동산 가격 안정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해석부터 내 집의 지분을 정부와 공유하는 것에 대한 반감으로 이용자가 많지 않을 것이라는 평가가 동시에 나온다.‘지분형 모기지’란 한국주택금융공사(주금공)와 주택 매수자가 집을 함께 사고 그 권리를 지분에 따라 나누는 방식을 말한다. 향후 집을 매각할 때 시세차익도 지분에 따라 배분한다. 그런데 집값이 내리면 주금공이 손실을 먼저 부담하는 구조로 알려졌다.김병환 금융위원장은 지난 4월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등 금융계 수장들과 함께한 특별 대담에서 “집을 살 때 자금이 부족한 경우 대출이 아닌 지분 형식으로 주택금융공사 등 공공부문이 함께 투자해 자금조달에 부채를 일으키지 않는 ‘지분형 모기지’를 고민하고 있다”며 구체적인 로드맵을 6월까지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주금공의 최대 주주가 정부(59.8%)이고 2대 주주가 한국은행(36.3%)이라는 것을 고려하면 사실상 정부가 주택의 지분을 나눠 갖는 셈이다.예를 들어 A씨가 10억원짜리 아파트를 사려 한다고 가정하면 주금공과 최대 40%인 4억원을 투자한다. 나머지 6억원은 매수자가 부담하는 방식이다. 이때 A씨는 이 6억원에 대해 기존 주담대와 동일한 비중(최대 70%)으로 은행에서 대출받을 수 있다. 약 1억8000만원 정도의 자금이 있다면 10억원짜리 집을 매입할 수 있는 셈이다. 기존 주담대 방식대로라면 A씨는 현금 3억원을 보유하고 최대 7억원의 대출을 받아야 10억원짜리 아파트를 살 수 있는데, 그만큼 보유 자금이 적어도 내 집 마련이 가능해지는 것이다.가장 큰 차이는 대출금 상환에 대한 부담이다. A씨가 7억원을 대출받아 30년 원리금 균등 상환(3월 주담대 평균 금리 4.17%)할 경우 매달 341만원가량을 갚아야 한다. 그런데 지분형 모기지 방식으로 대출을 받을 경우 매달 4억2000만원에 대한 원리금 204만원을 상환하면 된다. 여기에 주금공 투자분에 대해 연 2% 수준의 사용료 66만원을 더하면 270만원으로 매달 대출금 상환에 필요한 지출 70만원가량 줄어든다.그만큼 지출에 대한 부담을 덜 수 있다. 만약 A씨의 여유자금이 넉넉해 대출을 적게 받으면 그만큼 주담대 상환 부담이 적어지는 셈이다. 이후 A씨가 집을 매도할 때 집값이 1억원이 올랐다면 지분에 따라 A씨가 60%인 6000만원, 주금공이 4000만원의 차액을 나눠 갖는다고 생각할 수 있다.부동산업계 전문가들은 해외에서도 대출뿐 아니라 집을 살 수 있는 여러 가지 방식을 두고 있는데, 지분형 모기지 역시 그중 한 방식이라고 입을 모은다. 누구나 지분형 모기지를 통해 집을 사야 하는 게 아니라, 필요와 수요에 따라 방식을 선택하면 되기 때문에 충분히 고려해 볼만한 선택지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정부 지분 투자 기준이 관건…'토지임대부' 흥행 성공 핵심은 정부가 지분 투자하는 주택의 기준을 어떻게 세우느냐에 하는 점이다. 집값이 떨어지면 정부가 손해를 볼 수밖에 없기 때문에 최소한 집값이 유지되거나 오를만한 곳으로 지역을 한정 지을 수 있다. 또 초고가 주택을 살 때 지분형 모기지를 활용할 수 있게 하면 형평성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10억원짜리 주택을 지분형 모기지로 살 수 있게 한다고 가정할 때 주택 매수자는 월 270만원가량을 부담해야 하는데, 이 때 해당 가정의 월 소득이나 부채비율도 따지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다만 지역을 서울로 좁힌다면 지분형 모기지를 원하는 사람들이 충분할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은다. 이은형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과거 서울에서 공급된 토지임대부 분양주택도 모두 팔렸다”며 “이를 고려하면 지분형 모기지도 서울 같은 주요 지역을 중심으로 수요가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토지임대부 분양주택’은 공공이 토지를 소유하고, 건축물 등에 대한 소유권은 분양받은 사람이 갖는 분양주택 유형이다. 40년간 거주한 뒤 재계약을 통해 최장 80년(40년+40년)까지 안정적으로 거주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토지임대부 분양주택인 고덕강일 3단지 1차 사전 예약은 총 500세대 모집에 약 2만명이 지원했다. 최고 경쟁률(청년 특별공급) 118:1, 평균 경쟁률 40:1을 기록하는 등 흥행에 성공했다. 토지는 공공이 소유하기 때문에 분양받은 사람은 토지 임대료를 내야 하지만, 부담이 적은 편이다. 당시 고덕강일 3단지 전용면적 49㎡의 추정분양가는 약 3억1400만원, 추정 토지임대료는 월 35만원이었다. 부동산 업계 관계자는 “아파트로 시세차익을 생각하는 사람도 많지만, 직장 등의 문제로 서울에 집을 구해야 하는 직장인들의 경우 적은 비용으로, 안정적으로 살 수 있는 곳을 찾는 사람도 많다”며 “지분형 모기지 역시 토지임대부 주택만큼 인기를 끌 것 같다”고 했다.완전한 내 집 소유 원한다면 "글쎄…" 해당 정책이 실효성을 보일 수 있을지 단언하기 어렵다는 의견도 있다. 고종완 한국자산관리연구원 원장은 “적은 비용으로 집을 살 수 있는 기회가 생긴다면 2030 등 청년들을 중심으로 관심을 두겠지만, 일각에서는 정부와 지분을 나누는 구조를 좋게 생각하지 않는 분위기도 있다”며 “완전한 내 집을 소유하기를 원하는 매수자들은 이 정책을 선호하지 않을 수 있다”고 말했다.다만 지분형 모기지 정책이 효과를 보기 위해서는 실수요자들의 다양한 사정을 고려한 맞춤형 정책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있다. 특히 지분형 모기지 수요는 서울에 몰릴 것으로 예상되는데, 아파트 평균 가격 상한을 일률적으로 정할 경우 한계가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다. KB부동산에 따르면 올해 4월 기준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13억2965만원, 같은 기간 5대 광역시는 3억5459만원으로 집계됐다. 고종완 원장은 “우리나라 아파트 가격은 서울과 비서울의 차이가 큰 상황”이라며 “국민평형(국평)으로 불리는 전용면적 84㎡ 이하 주택에 정책을 적용하더라도 지역에 따라 가격 상한을 달리하는 등 세심한 조율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2025.05.12 09:01

4분 소요
“대통령실 이전 할지도”…대선 변수에 출렁이는 세종 집값

부동산 일반

대선을 앞두고 대통령실과 행정수도 이전 공약이 쏟아지며 세종시 아파트값이 뛰고 거래량이 급증하고 있다.11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시스템을 분석한 결과 이달 10일까지 신고된 4월 세종 아파트 매매 거래 건수는 총 1290건(계약일 기준)으로 집계됐다.4월 계약은 거래 신고 기한이 이달 말까지로 아직 20여일이 남아 있는데 벌써 3월 거래량(784건)보다 500건 이상 많다.세종시 아파트 거래량은 올해 1월 305건에 이어 2월까지도 374건에 그쳤다. 그러나 대통령 탄핵으로 조기 대선이 확정되면서 3월 거래량이 784건으로 증가했다.4월 들어서는 주요 정당들이 대통령실 및 국회 세종시 이전, 행정수도 이전을 위한 개헌 추진 등을 공약으로 내걸면서 거래량이 1290건으로 급증했다. 이는 1월(305건) 거래량의 4배가 넘는다.이에 따라 올해 1월부터 5월 현재까지 누적 거래량도 총 2867건을 기록하며 작년 동기 거래량(1407건)의 2배 수준으로 증가했다.아파트값 상승세도 올랐다. 한국부동산원이 조사한 세종시 아파트값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 3월까지도 약세가 지속됐으나 4월 둘째 주에 0.04% 올라 지난해 11월 둘째 주(0.10%)에 이어 1년 5개월 만에 상승 전환했다.이어 4월 셋째 주 0.23%, 4월 마지막 주에는 0.49%로 오름폭이 커졌고, 이달 첫 주도 0.40%의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앞으로 대선 공약이 명확해지고, 대통령실과 국회 이전 등이 현실화하면 세종시 아파트값 상승세가 장기화할 수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2025.05.11 18:00

1분 소요
전현무 사는 그 집, '역사상 경매 최고가' 130억에 낙찰

부동산 일반

방송인 전현무가 사는 단지로 이름을 날린 서울 강남구 삼성동의 '아이파크 삼성' 펜트하우스가 경매시장에서 역대 최고가로 낙찰돼 주목을 받았다.9일 부동산 경·공매 데이터 전문기업 지지옥션에 따르면 지난 8일 경매를 진행한 서울 강남구 삼성동의 '아이파크 삼성' 전용면적 269㎡ 최고층은 2명이 입찰해 130억4352만원에 낙찰됐다.이는 공동주택 경매 중 역대 최고 낙찰가다. 기존 최고가 기록인 지난해 6월 낙찰된 서울 용산구 한남동 '나인원 한남' 전용 244㎡의 113억7000만원보다 16억7000만원 이상 높은 금액이다.아이파크 삼성은 전용 145~269㎡ 449가구 규모로 2004년 입주해 올해로 입주 22년차 단지다. 특히 방송인 전현무가 전용 156㎡(59평형)에서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2021년 전현무가 이 아파트로 이사 올 당시 전용 156㎡는 40억 중반대에서 거래됐다. 이 밖에 권상우·손태영 부부 등의 연예인들도 거주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에 낙찰된 아이파크 삼성 매물은 작년 12월 경매시장에 나올 때 감정가가 144억원으로 산정돼 공동주택 경매 역사상 최고 감정가를 기록한 바 있다.이 매물은 한 차례 유찰되면서 최저 입찰가가 115억2000만원으로 낮아진 상태에서 이날 두 번째 입찰이 진행돼 역대 최고가에 낙찰된 것이다.최근 경매시장에서는 서울시의 토지거래허가구역 재지정 이후 강남권 아파트 매물에 수요가 몰리며 낙찰가와 낙찰가율이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경매에서 낙찰받은 물건은 토지거래 허가 대상에서 제외된다.

2025.05.09 14:20

1분 소요
6월부터 민간 아파트도 '제로에너지' 의무화…분양가 상승 우려

부동산 일반

오는 6월 30일부터 1000㎡ 이상 민간 건축물과 30가구 이상 민간 아파트에 대해 '제로에너지건축물(ZEB) 5등급 수준의 설계 기준이 의무화된다.7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정부는 1000㎡ 이상 민간 건축물과 30가구 이상 민간 공동주택에 ZEB 5등급 수준 설계를 의무화하기 위한 규제 심사를 진행하고 있다.심사를 거쳐 6월 30일 시행하는 게 목표다.당초 정부는 이 제도를 작년 초 시행하려 했으나 원자잿값, 인건비 상승으로 공사비가 오르는 상황에서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까지 더해지면 분양가 상승이 불가피하다는 업계 의견을 반영해 시행을 1년 6개월 유예했다.하지만 '탄소 저감'이라는 세계적 추세 속에서 시행을 더 미루기는 어렵다는 게 정부 입장이다.제로에너지건축물은 건물이 소비하는 에너지와 생산하는 에너지를 합쳐 에너지 사용량이 '제로(0)'가 되는 건축물을 지향한다.에너지 자립률에 따라 1등급(100% 이상)에서 5등급(20∼40% 미만)으로 등급을 나눈다.한국토지주택공사(LH) 등이 짓는 공공주택에 대해선 2023년부터 ZEB 5등급 인증이 의무화돼 있다.민간 아파트에는 5등급의 80∼90% 수준으로 완화된 기준이 적용된다. 이때 에너지 자립률은 13∼17% 수준이다.이 기준을 충족하려면 고성능 단열재와 고효율 창호, 태양광 설비 등이 필요해 공사비가 오를 수밖에 없다.정부도 5등급 수준을 충족하려면 주택 건설비용이 가구당 약 130만원(84㎡ 세대 기준) 높아질 것으로 추정했다. 다만, 이를 통해 연간 에너지 비용 약 22만원을 절약할 수 있어 6년 정도면 추가 공사비용을 회수할 수 있다고 본다.시행 시기가 유예되고 기준이 완화됐으나 업계에선 제로에너지건축 인증 의무화가 분양가 상승을 불러올 거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여전하다.한 대형 건설사 관계자는 "정부는 25층을 기준으로 공사비 상승을 계산했지만 요즘 아파트는 40∼50층까지 올라간다"며 "고층 아파트의 경우 옥상 공간이 부족해 벽면에 태양광 패널을 설치할 수밖에 없고, 이럴 경우 건물 외관에 문제가 생기는 데다 공사 비용도 예상보다 더 올라갈 것"이라고 말했다.국토부는 에너지 성능 기준 강화에 따른 업계 부담을 줄이기 위해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대체 인정 방안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다른 부지에 태양광 설비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거나,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를 구매해 부족분을 채우도록 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2025.05.07 09:37

2분 소요
전세사기 피해자 인정 비율 절반 이하로

부동산 일반

전세사기특별법 유효기간이 2년 연장된 가운데, 피해자 인정 비율은 최근 50% 이하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나 적극적인 지원과 전세제도에 근본적인 개혁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5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조국혁신당 황운하 의원실이 국토교통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전세사기 피해자 선정 가결률은 2023년 7월 94.1%에 달했지만 지난해 12월 49.7%까지 떨어졌다.지난해 9~12월 가결률은 49.7~66.1% 수준이다. 올해 들어서는 1~4월 7062건을 심의해 3383건(47.9%)만 가결한 것으로 나타나 그 비율이 더 하락했다.2023년 특별법 제정 이후 전세사기 피해자 등으로 인정받은 사례는 누적 2만9540건이다. 긴급 경·공매 유예 협조요청 결정은 누적 930건으로 피해자들은 주거, 금융, 법적 절차 등 총 2만9421건을 지원받았다. 피해자 75%가 40세 미만 청년층이며 보증금 3억원 이하 계약이 97%를 차지하는 등 사회적 약자에 피해가 집중됐다.초기에는 경찰 수사가 시작되면 요건이 충족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가 많았으나 인정 요건이 조금씩 수정됐다. 현재는 ▲전입신고 및 확정일자 갖춘 경우 ▲임대차 보증금 3억원 이하 ▲다수 임차인에게 보증금 미반환 피해가 발생한 경우 ▲임대인의 보증금 미반환 의도가 인정되는 경우 등 전세사기 피해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면 부결된다. 보증금 전액 반환이 가능해 법 적용에서 제외되거나 이의신청 후 기각된 사례도 있다.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피해주택 매입을 통해 경매 차익을 피해자에게 돌려주거나 최장 10년간 임대주택에 거주하도록 지원하고 있다.3월 말 기준 피해주택 매입 사전협의 요청은 총 1만848건이 접수됐으며 이중 현장 조사 등 매입 심의가 완료된 3312건이 피해자에게 매입이 가능하다고 통지됐다. 협의·경매 등을 통해 매입한 피해 주택은 472가구다.전세사기 피해자 지원 및 주거안정에 관한 특별법 일부개정안은 지난 1일 국회 본회의에서 통과됐다. 특별법 적용 기한은 오는 31일까지였으나 이번 법 개정으로 2027년 5월31일까지로 2년 연장됐다.황운하 의원은 “특별법 유효기간 연장은 제도의 일시적 연장에 그쳐서는 안 되고 국가가 책임을 지고 주거권을 보장한다는 대국민 선언이 돼야 한다”며 “국회와 정부는 사후 구제뿐 아니라 임차인의 정보 접근권과 계약 구조의 투명성을 제도화함으로써 전세제도 전반의 근본 개혁에 착수해야 한다”고 말했다.

2025.05.05 11:02

2분 소요
4월 거래량 3천 건대로 ‘뚝’…서울 아파트 거래 얼어붙나

부동산 일반

토지거래허가구역이 확대·재지정된 후 서울 아파트 시장이 얼어붙는 모양새다. 매매뿐 아니라 전‧월세 거래도 동반 하락세를 나타냈다. 부동산 침체 속 대통령 선거를 앞둔 불확실성까지 겹친 영향으로 풀이된다.5일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아파트 거래는 총 3191건으로 전월(9675건) 대비 67.0% 감소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4647건)보다는 31.3% 줄었다.올해 2∼3월 거래가 급증하고 신고가가 속출했던 강남3구(서초·강남·송파)는 3월에서 4월로 넘어오며 ▲송파(865건→63건) ▲강남(802건→37건) ▲서초(410건→11건) 모두 거래가 크게 감소했다.4월 마지막 거래일 기준으로 실거래 신고가 완료되려면 아직 한 달가량이 남았다. 하지만 시장에서는 토지거래허가구역의 확대·재지정 여파로 4월 거래량이 다시 3천 건대로 떨어지거나 많아도 5천건 대를 벗어나지 못하리란 관측이 나온다.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지난해 9월부터 올해 1월까지 3천 건대에 머물렀다. 고금리 기조와 주택담보대출 강화에 지난해 7월(9225건)을 정점으로 급락했다. 그러다 올해 2∼3월 강남권의 토지 거래 허가 구역이 잠시 해제되면서 2월 6462건, 3월 9675건으로 전월 대비 각각 88.1%, 47.7% 늘었다.거래량은 3월 기준으로는 2020년 7월(1만1139건) 이후 4년 8개월 만에 가장 많았다. 1분기(1만9376건) 기준으로는 2021년 1분기(1만3799건) 이후 4년 만에 가장 많았다.그러나 4월 들어 거래가 줄면서 매매뿐 아니라 전월세 거래도 떨어지는 모습이다. 서울의 아파트 전세 거래량은 지난달 9011건으로 전월 대비 32.8% 감소했다. 월세 거래는 총 6324건으로 23.1% 줄었다. 전세와 월세 거래는 2개월 연속 하락했다. 평균 거래 금액을 보면 지난달 매매는 10억7674억원으로 전월 대비 21.7% 하락했다. 전세 보증금은 평균 5억4882만원으로 1.6% 떨어졌다. 시장에서는 대선 이후에도 주택 담보 대출 규제나 금리 상황에 따라 거래 하락세가 계속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한다. 부동산시장 관계자는 “대선 이후에도 7월 3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을 시행하면 거래가 떨어질 것”이라며 “주택 시장을 주도하는 강남3구와 용산이 숨 고르기에 들어간 모습을 보이고 있어 3월 거래량이 올해의 상투일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2025.05.05 09:05

2분 소요
서울 아파트값 다 올랐는데…영끌 성지 ‘노·도·강’은 ‘뚝’

부동산 일반

올해 들어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이 오름세를 보이는 가운데 이른바 ‘노도강’(노원·도봉·강북구) 등 일부 외곽 지역은 약세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4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서울의 아파트매매가격지수는 올해(1월1일~4월28일) 중 1.35% 상승했다. 4일 한국부동산원 4월 마지막주 아파트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는 올해 누적으로 1.35% 올랐다. 자치구별로 살펴보면 송파(4.54%), 강남(4.14%), 서초(3.62%) 등으로 강남권 아파트 강세가 두드러졌다. 서울시가 2월 국제교류복합지구에 대한 토지거래허가구역을 해제한 뒤 투자 수요가 강남권에 집중된 영향으로 분석된다. 이에 반해 올해 오히려 아파트값이 떨어진 자치구도 있다. 노원(-0.22%), 중랑(-0.15%), 도봉(-0.15%), 강북(-0.04%), 금천(-0.02%) 등은 누적 기준 아파트값이 내렸다. 노원구 대표 재건축 단지인 상계주공 7단지 전용 59㎡는 지난달 6억4500만원에 매매 거래가 신고됐다. 지난 2022년 최고가(8억7000만원) 대비 여전히 25% 낮은 수준이다. 도봉구 창동 북한산아이파크 전용 84㎡도 지난달 8억9000만원에 손바뀜됐는데, 이는 2021년 최고가(12억원) 대비 약 25% 낮은 수준이다. 노원구와 도봉구 등은 1980년대 지어진 아파트가 상당수인데, 낮은 사업성으로 재건축 기대감이 높지 않은 상황이다. 투자 수요도 줄고, 실수요도 신축 아파트에 몰리며 가격이 계속 떨어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박원갑 KB부동산 수석전문위원은 “강남 등 서울 핵심지역 아파트는 공간으로서 가치 외에 투자 자산으로 인식돼 수요가 넘쳐난다”며 “시장을 투 트랙으로 나눠 정부 정책을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2025.05.04 17:37

2분 소요
3개월 만에 6억 뛰었다…‘40억’ 돌파한 ‘이 곳’은

부동산 일반

서울 송파구 잠실동에 위치한 ‘잠실주공5단지’ 국민평형(전용면적 82㎡) 아파트가 송파구 최초로 40억원을 돌파하며 역대 최고가를 기록했다. 4일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잠실주공5단지 전용 82㎡는 지난달 15일 40억7500만원에 거래됐다. 이는 송파구에서 전용 82㎡ 기준으로 최초의 40억원 돌파 사례다. 3.3㎡당 가격으로 환산하면 약 1억1642만원에 이른다. 이 단지는 2021년 부동산 가격이 급등하던 시기에도 같은 평형에서 32억원이 최고가였다. 그러나 올해 들어 상승세가 가팔라지면서 1월 34억7500만원, 2월 35억7500만원, 3월 39억7500만원에 이어 4월에는 마침내 40억원선을 넘겼다. 현재는 단지 내 대부분 평형이 40억원에 육박한 가격에 실거래되고 있는 상황이다. 서울시는 지난 3월 잠실주공5단지를 포함한 송파구 일대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했지만, 이 같은 규제에도 불구하고 상승세는 꺾이지 않았다. 이는 한강변 초고층 재건축 추진에 대한 기대감이 시장을 강하게 견인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최고 70층 규모로 추진 중인 재건축 사업은 실거주 수요는 물론 투자 수요까지 자극하며 단지의 미래 가치를 끌어올리고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잠실주공5단지의 40억원 돌파는 강남권 핵심 입지에 대한 시장의 기대감과 공급 제약 요인이 맞물린 결과”라고 설명했다. 이어 “특히 한강변 초고층 재건축과 같은 개발 호재가 실거주뿐 아니라 투자 수요까지 자극하면서 가격 상방 압력이 지속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2025.05.04 17:28

1분 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