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FCT(피에프씨테크놀로지스)가 운영하는 온투금융플랫폼 ‘크플’이 2025년 상반기 중저신용자들에게 중금리 주택담보대출을 공급하며 포용금융 역할을 꾸준히 수행해왔다고 26일 밝혔다.크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주담대 전체 대출잔액은 1897억원으로 전년 동기 2096억원 대비 소폭 줄었지만, 신규 취급액은 18.3% 증가한 1350억원으로 집계됐다. 기존 대출 상환이 이뤄지는 가운데 신규 공급이 확대된 결과로, 고액 대출 쏠림 없이 서민·중저신용자를 위한 생활금융 창구로 기능했음을 보여준다.가중평균 금리는 11.93%로 나타났다. 금융위원회가 발표한 올해 상반기 업권별 민간 중금리대출 금리 상한은 카드사 12.39%, 캐피탈 15.50%, 저축은행 17.14% 수준이다. 크플은 이보다 낮은 금리 구간에서 대출을 공급해, 온투금융이 민간 중금리 시장에서 대안적 역할을 하고 있음을 입증했다. 6월 말 기준 대출잔액의 연체율은 6.59%, 누적대출금액의 손실률은 0.35%로 1%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신규 공급이 확대되는 상황에서도 AI 기반 정교한 리스크 관리로 건전성이 유지되고 있다는 것으로 풀이된다.가장 눈에 띄는 부분은 중저신용자 중심의 포용금융 역할이다. 올해 상반기 주담대 고객의 10명 중 9명(90.8%)이 중저신용자다. 특히 신용점수(NICE기준) 595~709점 구간의 대출자가 40% 이상을 차지했다. 또한 대출자의 절반 이상(58.8%)은 연소득 6000만원 이하로 한국 가계의 중위소득 수준에 해당한다. 이는 시중 및 인터넷은행 접근이 어려운 중저신용자들의 금융 사각지대를 메워 실질적인 금융 공급이 이뤄지고 있음을 보여준다.대출 규모와 용도 역시 생활밀착형이다. 전체 대출의 절반 이상(53.37%)이 ‘1억 원 미만’ 규모였으며, 생활비 목적이 75.7%, 저금리 대환 목적이 13.8%로 총 89.5%가 생활자금 확보 및 채무 구조 개선에 직결되는 용도였다.지역적으로는 서울·수도권 비중이 약 78%로 높지만, 경상도·충청도·전라도 등 비수도권에서도 의미 있는 공급이 이뤄졌다. 온투금융이 비대면 디지털 금융으로서 전국 어디서든 접근 가능한 금융 인프라 역할을 수행하며, 중저신용자들이 생활자금을 안정적으로 마련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는 것이다.이수환 PFCT 대표는 “크플의 중금리 주택담보대출은 전통금융에서 소외되기 쉬운 중저신용자들의 생활자금 숨통을 틔우는 역할을 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금융 사각지대에 놓인 실수요자를 위한 포용금융을 강화하는 한편, 이를 뒷받침하는 AI 리스크 관리 설루션을 고도화해 보다 많은 금융취약계층이 실질적인 금융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