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CONOMIST

글로벌

글로벌

비트코인, 사상 첫 12만 달러 눈앞…이틀 만에 최고가 또 경신

가상화폐

가상화폐 대장주 비트코인이 13일(현지시간) 사상 처음으로 11만9000달러를 돌파하며 또다시 최고가를 경신했다. 미 가상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에 따르면 미 동부 시간 이날 오전 11시 22분(서부 시간 오전 8시 22분) 비트코인 1개당 가격은 24시간 전보다 1.37% 오른 11만9049달러에 거래됐다.비트코인 가격이 11만9000 달러선을 돌파한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지난 11일 기록했던 역대 최고가 11만8800달러선을 이틀 만에 다시 넘어섰다.이어 이날 오후 3시 30분에는 11만9500달러를 찍으며 고점을 더 높였다. 이후에는 상승 폭을 조금 줄이며 오후 6시 기준 11만8703달러에 거래됐다.비트코인은 지난 9일 11만2000달러선을 사상 처음 돌파하며 지난 5월 22일 기록한 최고가 경신 이후 상승세를 지속하며 지난 11일에는 11만8800달러대까지 올랐다.이후 강한 매도세에 막혀 잠시 숨 고르기에 들어갔던 가격은 이날 다시 기세를 올리며 사상 첫 12만 달러선에 다가서고 있다.미 의회의 '크립토 위크'(Crypto Week)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미 하원이 이번 주 스테이블코인 규제 법안인 지니어스(GENIUS) 법안 등 3개의 가상화폐 법안을 다룬다. 이들 법안 통과 시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의 친(親)암호화폐 정책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시장은 기대하고 있다.앞서 미 하원 금융서비스 위원회의 프렌치 힐 위원장(공화·아칸소)은 이에 이번 주가 미 하원에서 '크립토 위크'가 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가상화폐 시가총액 2위 이더리움은 이날 오전 10시 20분께 2.99% 올라 다시 3천 달러선을 회복했다.다만 이날 오후에는 상승 폭을 일부 줄이며 2900달러 중후반대에서 거래됐다.엑스알피(리플)는 이날 오전 2.90달러(6.48%↑)까지 올랐다가 오후에는 2.8달러대에서 움직였다. 엑스알피는 최근 상승세로 스테이블코인 테더를 제치고 시총 3위에 올랐다.

2025.07.14 08:30

2분 소요
"하나의 중국, 동의 못하면…" 女아이돌 발언 논란, 왜?

국제 이슈

최근 걸그룹 멤버가 '하나의 중국' 사상을 공개적으로 드러내며 논란에 휩싸였다.지난 11일 각종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걸그룹 '트리플에스'의 멤버 신위가 팬 소통 플랫폼을 통해 한 발언 내용들이 공개됐다.해당 게시물에 따르면 신위는 팬들과의 대화에서 "마카오는 원래 중국 땅이다" "홍콩과 대만 모두 마찬가지"라고 자신의 생각을 펼친 것으로 확인됐다.팬들은 신위에게 '발언에 대해 조심하라'고 경고했으나 신위는 계속해서 발언을 이어갔다. 그는 "욕 먹는게 왜 무섭나. 내가 틀린 말을 한 것도 아니고"라며 "(내 말에) 동의하지 못하겠으면 내 소통 플랫폼에 들어오지 마라"고 강경한 태도를 보여 팬들을 더욱 당혹스럽게 한 것으로 파악됐다.신위가 주장하는 '하나의 중국' 원칙은 중국 정부에서 공식적으로 주장하고 있는 내용으로 '중국 대륙과 대만, 홍콩, 마카오는 절대 나뉠 수 없으며 합법적인 중국 정부는 오로지 하나'라는 주장을 의미한다.대부분의 중국인들은 해당 원칙을 지지하고 있지만 대만, 홍콩 내에서는 해당 내용에 반대하는 시위가 일어나기도 했다.중화권 출신 K팝 아이돌들의 '하나의 중국' 원칙 주장 논란은 과거부터 존재해왔다. 지난 2019년 홍콩의 반 중국 시위 당시 에프엑스 빅토리아, 아이들 우기, 갓세븐 잭슨 등 중화권 출신 아이돌들은 자신의 중국 SNS인 웨이보에 "오성홍기에는 14억 깃발 보유자가 있습니다"라는 글을 게재한 바 있었다.2015년 대만 국적의 트와이스 쯔위는 MBC 예능 프로그램 '마이 리틀 텔레비전'에서 대만 국기를 흔들고 중국 팬들의 반발이 심해지자 "저는 제 자신이 중국인이라 생각하고 자부심을 느끼고 있다. 중국은 하나 뿐"이라고 사과하기도 했다.신위의 해당 발언이 퍼지자 일부 팬들과 누리꾼들은 '아이돌이 사회적, 정치적 견해를 공개적으로 드러내는 것에 조심해야 할 필요가 있다', '개인의 사상 표출로 인해 그룹 전체가 위기를 맞을 수 있다'고 지적하기도 했다.있다.또한 '사상에 동의하지 않으면 팬도 하지 말라는거냐'라며 신위의 강한 주장에 반발하는 팬들의 지적도 이어지고 있는 추세다.

2025.07.13 10:08

2분 소요
‘반구천 암각화’ 韓 17번째로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국제 이슈

선사시대 생활 문화를 엿볼 수 있는 바위그림인 울산 반구천의 암각화가 유네스코 세계유산이 됐다. 지난 2010년 세계유산 잠정목록에 등재된 이후 15년 만의 결실이다. 국가유산청은 12일(현지 시각) 프랑스 파리 유네스코 본부에서 열린 제47차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의에서 한국의 두 암각화를 세계유산 목록에 등재하기로 최종 결정했다고 밝혔다.정식 명칭은 ‘반구천의 암각화’(Petroglyphs along the Bangucheon Stream)다. 암각화는 바위나 동굴 벽면 등에 새기거나 그린 그림, 즉 바위그림을 뜻한다.반구천의 암각화는 한반도 선사 문화의 걸작으로 평가받는 유산이다. 국보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와 ‘울주 천전리 명문과 암각화’로 구성됐다.세계유산위원회는 “탁월한 관찰력을 바탕으로 그려진 사실적인 그림과 독특한 구도는 한반도에 살았던 사람들의 예술성을 보여준다”며 “다양한 고래와 고래잡이의 주요 단계를 담은 희소한 주제를 선사인들의 창의성으로 풀어낸 걸작”이라고 평가했다. 이어 “선사시대부터 약 6000년에 걸쳐 지속된 암각화의 전통을 증명하는 독보적인 증거이면서 한반도 동남부 연안 지역 사람들의 문화 발전을 집약하여 보여준다”고 덧붙였다.국가유산청은 지난달 26일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ICOMOS·이코모스) 심사 결과 세계유산목록 ‘등재 권고’를 통지받았다고 알렸다. 세계유산 분야 자문·심사기구인 이코모스는 각국이 신청한 유산을 조사한 뒤 등재·보류·반려·등재불가 등 4가지 권고안 중 하나를 선택해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에에 전달한다. 등재 권고를 받은 유산은 이변이 없는 한 등재된다.이날 세계유산위원회의 결정으로 우리나라는 1995년 석굴암·불국사, 해인사 장경판전, 종묘를 처음으로 등재한 이후 반구천 암각화까지 총 17건의 세계유산을 보유하게 됐다.세계유산은 1972년 세계유산협약에 따라 인류 전체를 위해 보호되어야 할 뛰어난 보편적 가치(Outstanding Universal Value·OUV)가 있다고 인정한 유산을 일컫는다.

2025.07.12 17:47

2분 소요
美 2000만달러 암호화폐 사기범, 배상 불이행에 징역 12년

가상화폐

미국에서 약 2000만달러(약 274억원) 규모의 암호화폐를 훔친 혐의로 유죄를 인정한 20대 남성이 피해자에게 약속한 배상금을 지급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징역 12년형을 선고받았다.11일 외신에 따르면 뉴욕 남부 연방지방법원 앨빈 헬러스타인(Alvin Hellerstein) 판사는 니컬러스 투르글리아(Nicholas Truglia)가 단 한 푼도 배상금을 갚지 않았다며 기존 18개월의 형량을 12년으로 대폭 늘렸다. 투르글리아는 이날 법정에서 곧바로 구금됐다.투르글리아는 지난 2021년 블록체인 기업 대상 홍보를 맡는 트랜스폼 그룹(Transform Group) 대표 마이클 터핀(Michael Terpin)으로부터 2000만달러(약 274억원) 상당의 암호화폐를 훔친 혐의로 유죄를 인정했다. 그는 범행 조직의 일원으로, 통신사 직원을 속여 터핀의 휴대전화 번호를 해커들이 조작한 SIM 카드로 이전하도록 만든 뒤 암호화폐 계정에 침투한 것으로 알려졌다.검찰에 따르면 투르글리아는 훔친 암호화폐를 비트코인으로 전환하는 역할을 맡았다. 그는 첫 선고 당시 예술품과 보석, 암호화폐 등을 포함해 약 5300만달러(약 726억원)의 자산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이후 재산 대부분을 사용할 수 없다고 주장해왔다.투르글리아 측 변호인인 마크 곰비너는 법정에서 “이번 판결은 재량권의 중대한 남용”이라며 항소할 뜻을 밝혔다. 또 투르글리아가 웰스파고(Wells Fargo) 계좌를 포함한 모든 접근 가능한 자산을 반환했으며, 나머지 자산은 접근할 수 없는 비트코인 지갑에 보관돼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피해자인 터핀은 화상으로 참석한 법정에서 이 같은 해명을 “거대한 눈속임”이라고 반박했다.

2025.07.11 18:00

1분 소요
이 핸드백 하나에 '137억'…경매서 '사상 최고가' 낙찰

유통

'럭셔리백 최고봉' 에르메스 버킨백의 최초 사용자였던 고(故) 제인 버킨이 사용했던 원조 버킨백이 경매에서 무려 137억원에 팔렸다. 핸드백 사상 최고기다.AFP 통신에 따르면 소더비가 10일(현지시간) 파리에서 연 경매에서 가수 겸 배우 제인 버킨이 소유했던 검은색 버킨백이 수수료 등을 포함해 최종 858만2500유로(약 137억원)에 낙찰됐다. 이는 핸드백 경매 사상 최고가다.기존 최고 기록은 2021년 크리스티 경매에서 400만 홍콩 달러(약 6억9000만원)에 낙찰된 에르메스 켈리백 '히말라야'였는데 이를 훌쩍 뛰어넘은 가격이다.제인 버킨은 1960~1980년대 프랑스를 풍미한 가수 겸 배우다.경매에 나온 버킨백은 1985년 에르메스 최고경영자(CEO)였던 장 루이 뒤마가 버킨과 협업해 특별히 제작한 가방이다.당시 버킨은 비행기에서 우연히 뒤마를 만나 '에르메스엔 일상생활에 필요한 큰 핸드백이 없다'고 불평하며 구토 봉투에 직접 가방 디자인을 스케치했다고 한다.이를 바탕으로 뒤마는 제인 버킨만을 위한 가방을 만들어 선물했고, 이후 이 가방은 '버킨백'으로 불리며 지금까지도 큰 인기를 얻고 있다. 현재 판매 가격은 2000만원에 달한다.이번에 최고가를 기록한 버킨백은 버킨이 1994년 에이즈 자선단체 기금 마련을 위해 판매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가방은 2000년 다시 경매에 부쳐졌으며 이후 인스타그램 아이디 '카트린 B'를 쓰는 수집가가 소장해 왔다.

2025.07.11 15:07

1분 소요
트럼프, "대부분 국가에 15~20% 관세 부과"…캐나다엔 35% 관세 서한 발송

국제 경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대부분의 무역 상대국에 15% 또는 20%의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8월 1일부터 캐나다산 전 제품에 35%의 관세를 부과할 것임을 공식 통보했다.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미 NBC 방송과의 전화 인터뷰에서 "나머지 모든 국가는 15%든 20%든 관세를 내게 될 것이다. 우리는 지금 그 비율을 정할 것"이라고 말했다.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한국과 일본 등 주요국에 상호관세율을 적시한 서한을 보낸 가운데, '나머지 국가' 언급은 서한을 받지 않은 국가들을 가리키는 것으로 풀이된다.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4월9일 상호관세 부과를 90일 유예했지만 상호관세중 교역국에 일률적으로 부과했던 10%의 기본관세는 계속 부과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언급한 '15% 또는 20%'는 기본관세 10%보다는 조금 높은 수준이다.그는 "모두가 서한을 받을 필요는 없다"며 "우리는 우리의 관세를 정하는 것뿐"이라고 말했다.트럼프 대통령은 또 캐나다와 유럽연합(EU)이 "오늘이나 내일" 새로운 관세율 통지서를 받게 될 것이라고 인터뷰에서 밝힌 뒤, 곧이어 트루스소셜에 캐나다에 보낸 서한을 공개했다.그는 이날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에게 보낸 서한에서 8월 1일부터 캐나다가 미국으로 수출하는 제품에 35%의 관세를 부과받게 된다고 밝혔다.그는 "캐나다는 미국과 협력하는 대신, 자체 관세로 보복했다"며 "2025년 8월 1일부터 미국으로 수출되는 모든 캐나다 제품에 대해 품목별 관세와는 별도로 35%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적었다.앞서 트럼프 행정부는 미국으로의 합성마약 펜타닐 밀매와 불법 이민자 유입에 충분히 대응하지 않았다며 캐나다와 멕시코를 상대로 25% 관세를 부과한 바 있다. 다만, 미국·멕시코·캐나다 무역협정(USMCA) 준수 상품에 대해선 관세 적용 면제 조치를 유지해왔다.EU에 대한 통보도 곧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은 인터뷰에서 "EU, 많은 나라들, 캐나다와 얘기하고 있다. 앞으로 몇시간 안에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다.트럼프 대통령은 앞서 지난 7일 한국(25%)과 일본 등 14개국에 25∼40%의 국가별 상호관세율을 적시한 관세 서한을 발송했다. 이틀 뒤인 9일에도 필리핀 브라질 등 7개국에 추가 관세 서한을 보냈다. 상호관세 발효 시점은 모두 8월1일이다.트럼프 대통령은 이와 함께 추가 관세 부과가 주식시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거나 인플레이션을 유발할 수 있다는 우려를 일축했다.그는 "관세 조치가 매우 호평받았다고 생각한다"며 "주식 시장이 오늘 최고치를 경신했다"고 덧붙였다.

2025.07.11 11:00

2분 소요
뉴욕증시, 관세 리스크에도 사상 최고치…AI·항공 실적 기대감이 상승 견인

글로벌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고율 관세 압박이 계속되는 가운데, 투자자들의 낙관적인 심리가 시장을 지탱하며 뉴욕증시가 또다시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이날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92.34p(0.43%) 오른 44,650.64에 거래를 마쳤다.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17.20p(0.27%) 오른 6,280.46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는 전장보다 19.33p(0.09%) 오른 20,630.67에 각각 마감했다.S&P 500 지수와 나스닥 종합지수는 이날 상승으로 종전 최고치를 다시 각각 경신했다.트럼프 대통령이 전날 공개한 서한에서 8월 1일부터 브라질산 수입품 관세율을 50%로 인상하겠다고 위협하고 브라질도 이에 50% 맞불 관세 부과 방침을 내비쳤지만, 투자심리에는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인공지능(AI) 칩 대장주 엔비디아는 이날 0.75% 상승해 시가총액이 종가 기준으로도 4조 달러를 처음 넘어섰다.델타항공은 3분기 및 연간 실적 전망 가이드라인이 시장 예상을 뛰어넘으면서 11.99% 급등했고, 2분기 실적발표 시즌을 앞두고 낙관론에 불을 지피는 주된 요인이 됐다.그동안 월가에서는 관세 충격으로 경기가 둔화하면서 항공 수요가 약화할 것이라 전망해왔다.웰스파고 인베스트먼트의 크리스 해버랜드 글로벌 주식전략가는 "감세법안 통과 등 불확실성 요소들이 하나씩 해결돼 나가고 있으며 관세도 아직 끝나지는 않았지만 좀 더 명확해지기 시작하고 있다"고 말했다.이어 "다음 주 2분기 실적 발표 시즌이 시작되면 기업들이 관세를 어떻게 관리하고 있는지 보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2025.07.11 09:00

1분 소요
비트코인, 11만6천달러도 돌파…4분 만에 급등해 사상 최고가 경신

가상화폐

가상화폐 대장주 비트코인이 거침없는 상승세를 이어가며 또다시 사상 최고가를 경신했다.10일(현지시간) 가상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에 따르면 미 동부 시간 이날 오후 5시 40분(서부 시간 오후 2시 40분) 비트코인 1개당 가격은 전날보다 4.54% 오른 11만6474달러에 거래됐다.코인베이스 기준으로 전날 11만2000달러선을 사상 처음 돌파하며 지난 5월 22일 최고가를 경신한 데 이어 이날에는 11만6000달러선도 넘어섰다.이날 비트코인은 전날의 상승세를 이어가며 11만3700 달러대에서 거래되다가 오후 매수세가 대거 유입되면서 약 4분 동안 11만6000 달러선을 뚫었다.가격은 11만6700달러대까지 최고점을 높였다.가상화폐 자산운용사 해시덱스의 글로벌 시장 인사이트 책임자인 게리 오셰아는 비트코인의 상승세는 상장지수펀드(ETF)로의 강력한 자금 유입, 가상화폐를 자산으로 채택하는 기업들의 지속적인 참여, 우호적으로 변하는 규제 환경 덕분이라고 분석했다.그는 "거시경제 환경이 여전히 불확실하긴 하지만, 이번 강세장은 끝나지 않았다"며 "기관 투자자들을 위한 비트코인 접근 플랫폼 확대와 같은 새로운 촉매제가 비트코인 가격을 올해 안에 14만 달러 이상으로 끌어올릴 수 있다"고 전망했다.같은 시간 시가총액 2위 이더리움은 6.27% 오른 2927달러를 나타내며 2900달러를 넘어 3000 달러선을 바라보고 있다. 엑스알피(리플)도 5.33% 상승해 2.56달러에 거래되며 2.5달러대에 올랐다. 솔라나와 도지코인도 각각 3.82%와 5.39% 올라 163달러와 0.19달러에 각각 거래되고 있다.

2025.07.11 07:49

1분 소요
"토큰화해도 증권은 증권"…피어스 SEC 위원, 규제 준수 촉구

가상화폐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헤스터 피어스(Hester Peirce) 위원이 블록체인상에 구현된 토큰화 증권(Tokenized Securities)에 대해서도 기존 증권법 규제가 그대로 적용돼야 한다는 의견을 밝혔다. 암호화폐 산업에 비교적 우호적인 입장을 보여온 피어스 위원이 직접 규제 원칙을 재확인하면서, 최근 디지털 자산 기업들이 추진 중인 ‘토큰 기반 주식 거래’ 시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피어스 위원은 10일 공개한 입장문을 통해 “블록체인 기술은 강력하지만, 기본 자산의 본질을 바꾸는 마법 같은 능력을 지닌 것은 아니다”며 “토큰화된 증권은 여전히 증권”이라고 강조했다.최근 코인베이스(Coinbase), 크라켄(Kraken), 로빈후드(Robinhood) 등 디지털 자산 플랫폼들은 블록체인에서 주식의 디지털 버전을 거래하는 서비스를 해외 시장 중심으로 선보이고 있다. 일부 기업은 미국 내 도입도 타진 중이다.전통 금융업계는 이 같은 흐름에 대해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미국 증권산업금융시장협회(SIFMA)는 지난 6월 SEC에 제출한 의견서에서 “디지털 자산 기업의 토큰화 증권 거래를 허용하는 요청을 서둘러 승인해서는 안 된다”며 “이 같은 구조적 변화는 공청회와 업계 의견 수렴을 거쳐 신중히 접근해야 한다”고 밝혔다.특히 일부 디지털 자산 기업이 고객 확인(KYC), 자금세탁방지(AML), 고객 자산 보호 의무 등 기존 증권법상 요건을 우회할 가능성이 있다는 점이 문제로 지적된다.피어스 위원은 토큰화 상품에 대한 예외 규정과 제도 개선 가능성도 함께 언급했다. 그는 “관련 기업들은 SEC와 직접 논의에 나서야 하며, 위원회는 적절한 예외 조항을 마련하고 규제를 현대화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말했다.피어스 위원은 2018년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지명으로 SEC에 합류했다. 그동안 암호화폐 산업의 성장 가능성을 강조해 오고 있어 '친 암호화폐' 인사로 꼽힌다. 지나친 규제가 혁신을 저해한다는 입장에서 ‘크립토맘(Crypto Mom)’이라는 별칭으로도 불린다.

2025.07.10 18:00

2분 소요
뉴욕유가, 재고 급증에도 소폭 상승…미국 대이란 제재가 반등 동력

국제 경제

9일(현지시간) 뉴욕유가는 미국의 원유 재고 급증 소식과 이란에 대한 추가 제재 발표가 맞물리며 혼조세 끝에 소폭 상승했다.9일(미국 동부시간) 뉴욕상업거래소에서 8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장 대비 0.05달러(0.07%) 상승한 배럴당 68.38달러에 거래를 마감했다. 글로벌 기준유인 브렌트유 9월물은 0.04달러(0.06%) 오른 70.19달러에 마감했다.이날 미 에너지정보청(EIA)에 따르면, 지난 4일로 끝난 주간의 미국 원유 재고는 707만배럴 증가하며 지난 1월 이후 가장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시장에서는 200만배럴 정도 감소를 점쳤으나 예상이 완전히 빗나갔다.원유 수입이 줄었음에도 정제 활동 둔화와 수출 감소가 맞물리며 재고가 크게 늘어난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지난주 휘발유 재고는 265만8천배럴 줄면서 지난 4월 이후 최대 감소폭을 기록했다.DBS은행의 수브로 사카르 에너지팀 리더는 "OPEC+(석유수출국기구와 러시아 등 주요 산유국 연합체)가 최근 몇 달간 공급을 늘려왔음에도 유가가 예상보다 견고하게 유지되고 있다"며 "이는 시장이 실제로 그만큼의 원유가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아랍에미리트(UAE)의 수하일 알마즈루이 에너지부 장관은 "몇 달간 증산에도 불구하고 재고가 크게 늘어나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면서 "이는 시장에 원유가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말했다.미 재무부가 이날 이란산 원유 거래에 관여한 22개 해외 기업에 대한 추가 제재를 발표하면서 시장에 긴장감이 돌기도 했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불과 수주 전 중국의 이란산 원유 수입을 묵인하는 듯한 발언을 했던 것과는 대조적인 조치다.한편, 홍해를 지나는 화물선에 대한 후티 반군의 공격이 최근 재개됐지만 유가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인 것으로 평가됐다.CIBC 프라이빗웰스그룹의 레베카 바빈 선임 에너지 트레이더는 "대부분의 선박은 이미 홍해를 피하고 있다"고 말했다.

2025.07.10 09:35

2분 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