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이자잔치’ 쉽지 않다…하반기부터 매달 이자비용 ‘2조’ 발생
은행권 내년 이익 비관적으로 전망
정기예금 1년 만기 도래 시점 이자비용 급증 우려
5대 은행 9월 정기예금 46조↑…매달 증가 규모 확대 중
은행권의 ‘이자잔치’가 내년엔 쉽지 않을 전망이다. 정기예금 잔액이 매달 크게 증가하면서 만기가 돌아오는 내년 상반기부터 이자비용이 급증할 예정이기 때문이다. 은행권은 한국은행의 기준금리가 내년 1, 2분기 중 정점에 달한다고 볼 때, 이후 대출금리를 올릴 수 없는 상황에서 비용만 증가하는 상황이 발생해 수익이 감소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내년 하반기부터 매달 1.8조원 이상 이자비용 발생
5대 은행의 지난달 말 정기예금 잔액은 808조2276억원으로, 전달보다 47조7231억원 확대됐다. 이는 시중은행의 정기예금 금리가 연 4% 후반에 달한 영향이다. 대표적으로 ▶우리은행 ‘우리 첫거래우대 정기예금’ 연 4.80% ▶NH농협은행 ‘NH올원e예금’ 연 4.80% ▶하나은행 ‘하나의 정기예금’ 연 4.70% ▶신한은행 ‘쏠편한 정기예금’ 연 4.70% ▶KB국민은행 ‘KB Star 정기예금’ 연 4.51% 순으로 금리가 높았다.
한은에 따르면 전체 금융기관의 정기예금도 7월부터 30조원씩 증가했다. 7월에 31조6574억원, 8월 21조1877억원, 9월 32조4812억원 증가하며 올해 4월의 3조7526억원 증가 규모와 비교해 8배 이상 증가한 상황이다.
현 상황대로 정기예금이 증가할 경우 1년 만기가 돌아오는 내년 7월부터는 단순 계산으로도 40조원에 대한 4.7% 이자가 발생하게 돼 매달 1조8800억원에 달하는 이자비용이 5대 은행에서 나가는 상황이다. 특히 저축은행의 경우 정기예금 연 금리가 5~6%에 달하는 만큼 내년 하반기부터 금융권 전체에서 이자비용이 크게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내년 기준금리 인상 멈출 때…은행권 수익 악화 ‘초읽기’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올해 9월 기준으로 5대 은행의 가계대출 예대금리차(예금과 대출 금리 차) 평균은 1.20%포인트를 기록했다. 전달보다 0.25%포인트 줄어든 것으로, 대출금리가 오르는 속도보다 정기예금 금리가 더 빠르게 높아진 영향이다.
예대금리차가 높아지지 않는 상황에서 내년 기준금리가 경기 악화, 물가 안정 등의 이유로 더 오르지 못할 경우, 만기로 돌아오는 정기예금 금리는 대출 금리만큼 높은 수준에 달할 수 있다.
증권가도 내년 초 한은의 기준금리 인상이 멈출 것으로 예고하고 있다. 강승원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내년 1월 추가 0.25%포인트 인상을 통해 연 3.5%에서 금리 인상 사이클이 종료될 것”이라고 내다봤고, 조용구 신영증권 연구원은 “한국은행의 최종 기준금리는 연 3.75%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이창용 한은 총재도 10월 12일 금융통화위원회의 통화정책 방향 회의 후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한은의 최종 기준금리 수준이 3.5%로 예상된다는 질문에 “다수의 금통위원이 지금 말한 수준과 크게 다르지 않은 견해를 갖고 있다”고 답한 바 있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올해는 은행들이 좋은 실적을 낼 것으로 보이지만 내년부터는 이익 증가에 대해 긍정적으로 보고 있지 않다”며 “하반기부터는 이익 증가율이 올해보다 떨어질 것으로 예상하고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고 판단한다”고 설명했다.
이용우 기자 ywlee@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작은 미니가 '맵네' ...애플, 더 강력해진 초소형 테스크톱 '맥 미니' 출시
2유퀴즈 '지드래곤'...빅뱅 20주년 활동 계획 공개
3흑백요리사 '신화' 흔들...“난 쓰레기” 트리플스타 녹취 터져
4 미 3분기 성장률 2.8%…2분기보다 하락·전망치도 밑돌아
" class="popular-ten">5 "체코 반독점당국, 원전 계약 '일시 중단' 조치"
6‘글로벌 인싸’ 이창용 총재, 국제기구 경험·노하우 청년들에 대공개
7삶에 대한 만족도, 한국 최저…튀르키예·일본도 하위권
830대 절반은 미혼…서울 미혼율 63%에 달해
9러 “北 최선희, 라브로프 러 외무와 전략적 협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