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당 국민소득 3만2661달러…원달러 상승에 8% 감소
국민소득 원화 가치 하락에 전년 대비 7.7%↓
원달러 환율이 연평균 12.9% 오른 영향
수·출입 모두 전년 대비 급감

한국은행이 7일 발표한 ‘2022년 4분기 및 연간 국민소득(잠정)’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인당 GNI는 3만2661달러로 2021년보다 7.7% 감소했다. 하지만 원화 기준으로는 4220만3000원으로 4.3% 증가했다.
한은은 지난해 원달러 환율이 연평균 12.9%나 크게 오르면서 명목 국내총생산(GDP)이 8.1% 줄어 달러 기준 1인당 명목 GNI도 감소했다고 분석했다.
우리나라 1인당 GNI는 2017년 처음 3만달러대에 들어선 뒤 2018년 3만3564달러까지 증가했다. 이후 2019년 3만2204달러, 2020년 3만2038달러 등을 기록했다.

글로벌 경기가 둔화하며 수출 증가세가 줄었지만 민간소비가 살아나며 경제 성장을 이끌었다. 수출이 전년 대비 3.2% 증가하며 전년의 10.8% 증가와 비교해 크게 축소됐다. 수입은 3.7% 늘며 전년의 10.1%보다 줄었다.
수출은 반도체, 자동차 등을 중심으로 3.2% 늘었고, 수입은 원유, 화학제품 등 위주로 3.7% 증가했다.
GDP디플레이터는 2021년보다 1.2% 상승했다. GDP디플레이터는 명목 GDP를 실질 GDP로 나눈 값으로, 수출입 등까지 포함한 전반적 물가 수준이 반영된 거시경제지표다.
지난해 4분기 우리나라 GDP 성장률도 속보치와 동일한 0.4% 역성장을 기록했다. 코로나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초기였던 2020년 2분기 이후 처음으로 역성장했다.
총저축률은 33.7%로 전년보다 2.6%포인트 하락했고, 국내 총투자율은 전년보다 1.0%포인트 상승한 32.8%를 기록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HDC현산 vs 포스코’ 용산정비창 재개발 ‘경쟁’
2현대건설-서울대, ‘꿈의 에너지’ 핵융합 발전 위한 산학협력 체계 구축
3라이엇 게임즈, 요아소비 ‘이쿠라’와 협업한 시네마틱 공개
4폐업 소상공인 취업 위해 중기부·고용부 손잡는다
5"우리도 AI 수출국?"... KT, 국내 최초로 LLM 플랫폼 수출했다
6'다 바꾸겠다'는 더본코리아...백종원 대표 직속 '리스크 관리 조직' 신설
7또 터진 금융사고…하나은행 350억원 부동산 대출사기 발생
8중국 보잉 737맥스 인수 중단…美 항공기 사실상 수입봉쇄
9지난해 여성 오너 배당금 1위는 이부진, 1483억여원 수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