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소스통까지 본사 지침”...美 본사, 韓 사업자와 다르다

[美 프랜차이즈의 덫]② 韓-美 브랜드, 상생하려면
“미국 프랜차이즈 본사 특징 파악 해야 분쟁 줄여”
과학적 검증과 데이터로 승부…브랜드 가치가 중요

영국 시내에 위치한 맥도날드 매장. [사진 연합뉴스=로이터]
[이코노미스트 라예진 기자] 미국에 본사를 둔 글로벌 외식 프랜차이즈가 겉은 화려하지만 현실은 국내 사업자 손발을 꽁꽁 묶는 답답한 사업 구조로 한계성를 드러내고 있다. 프랜차이즈 시스템 하에서 미국 글로벌 본사와 국내 사업 운영사는 공동 운명체임에도 불구하고 서로 다른 목적을 지니면서 불협화음이 나오는 것이다. 이에 수백억원을 들여 사업권을 사 왔지만 ‘자율권’이 제한되는 상황에 불만이 쌓여 운영에 손을 떼는 사례도 나오고 있다.

美본사 지침 강요에 가맹점주도 반발  
미국 본사 지침으로 피자업계에서는 배달앱 판매를 가장 늦게 시작한 도미노피자. [사진 도미노피자]
사실 미국 본사를 둔 프랜차이즈 브랜드가 획일적인 사업 방식을 고수해 어려움을 토한 사례는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미국 본사를 둔 도미노피자가 대표적이다. 지난 2014년 도미노피자 미국 본사는 피자 제조 과정을 소비자에게 보여주는 극장 모델을 도입했다. 국내 가맹사업자인 청오디피케이를 통해 국내 가맹점주에게도 수천만원을 호가하는 공사 비용 투자를 요구해 논란이 됐다. 

또 도미노피자는 국내 업계 1위 피자 브랜드지만, 배달 애플리케이션(앱) 플랫폼에는 가장 뒤늦게 탑승하며 배달 앱 매출을 가장 늦게 올리기 시작했다. 미스터피자, 피자헛 등 모두 국내 배달 앱 성장세에 판매를 먼저 시작했지만, 도미노피자는 글로벌 본사의 고집적인 자체 플랫폼 운영 고수 방침으로 지난 2019년부터 배달 앱 판매를 시작했다. 미국 도미노피자 본사는 아직까지도 배달 앱 판매를 진행하고 있지 않고 있다. 국내 소비 시장흐름에 빠르게 반응하지 않은 도미노피자 매출 성장세는 정체돼 있다고 평가 받는다. 실제 국내 도미노피자 매출은 2020년 2328억원에서 2021년에는 2235억원으로 소폭 하락했다.  

써브웨이 로고. [사진 써브웨이]
써브웨이 역시 글로벌 본사 운영 방식 입김이 센 브랜드로 알려진다. 지난 2019년 써브웨이 본사는 국내 한 가맹점주에게 일방적으로 폐점을 요구해 갑질 논란에 휩싸이기도 했다. 써브웨이는 세제부터 소스통까지 모두 글로벌 본사 운영 방침을 고수하고 있는데, 해당 가맹점주가 국내 세제를 사용하고 소스통에 라벨을 제대로 붙이지 않아 폐점 조치를 내린 것이다.

이 같은 본사 측의 제재가 이어지자, 지난 2021년에는 공정거래위원회가 글로벌 써브웨이 측에 가맹사업법 위반행위에 대한 시정명령을 내리기도 했다. 당시 공정위는 “특정 제품 구입 요구는 브랜드 상표권 보호와 상품의 동일성 유지에 필요한 경우에 한 해 허용한다”며 “세척제는 다른 회사 제품을 사용해도 상관없는 품목”이라고 본사 측의 과한 운영 방침을 꼬집었다. 

데이터와 과학적 검증으로 설득해야 
KFC 창업자인 故커넬 샌더스. [사진 유튜브 화면캡처]
전문가들은 미국 프랜차이즈 본사 특징을 알면 분쟁을 줄일 수 있다고 조언한다. 김영갑 한양사이버대 외식프랜차이저 MBA 교수는 “글로벌 미국 프랜차이즈 기업은 철저히 데이터 중심으로 결과를 도출해 운영 방침을 설계하는 특징을 지닌다”며 “국내에 진출할 만큼 큰 미국 프랜차이즈 브랜드는 더욱 과학적인 검증을 중시하며 운영 자율권을 쉽게 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자율권을 얻기 위해서는 본사를 납득시킬 수 있는 데이터로 승부를 봐야 한다는 의미다. 

김 교수는 “이번에 무산된 맥도날드 매각 계약 조건에서도 매장 운영과 구조적 변경과 같은 경영에 대한 자율성이 이야기됐을 텐데 미국 본사는 절대 받아들이지 않았을 것”이라며 “세계적으로 표준화하는 것을 가장 잘하는 브랜드가 맥도날드인데, 한국 시장에 자율권을 주면 세계 다른 나라도 같은 조건을 요구할 수 있기 때문에 쉽게 선례를 내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 교수는 이어 “프랜차이즈 사업은 구조적으로 글로벌 본사 측이 펼치는 운영 방침에 따르는 것이 기본인 사업”이라며 “미국 본사의 최대 목적은 안정적 로열티 확보와 브랜드 가치를 지키는 데 있다”고 덧붙였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서울지하철 MZ노조도 내달 6일 파업 예고…“임금 인상·신규 채용해 달라”

2인천시 “태어나는 모든 아동에게 1억 준다”…출생아 증가율 1위 등극

3경기둔화 우려에 ‘금리 인하’ 효과 ‘반짝’…반도체 제재 우려↑

4얼어붙은 부동산 시장…기준금리 인하에도 한동안 ‘겨울바람’ 전망

5연간 1000억? 영풍 환경개선 투자비 논란 커져

6 야당, '예산 감액안' 예결위 예산소위서 강행 처리

7‘시총 2800억’ 현대차증권, 2000억원 유증…주가 폭락에 뿔난 주주들

8삼성카드, 대표이사에 김이태 삼성벤처투자 사장 추천

9업비트, 투자자보호센터 서포터즈 '업투' 3기 수료식 개최

실시간 뉴스

1서울지하철 MZ노조도 내달 6일 파업 예고…“임금 인상·신규 채용해 달라”

2인천시 “태어나는 모든 아동에게 1억 준다”…출생아 증가율 1위 등극

3경기둔화 우려에 ‘금리 인하’ 효과 ‘반짝’…반도체 제재 우려↑

4얼어붙은 부동산 시장…기준금리 인하에도 한동안 ‘겨울바람’ 전망

5연간 1000억? 영풍 환경개선 투자비 논란 커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