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포스코, 정부‧국회 등과 저출산 문제 해결 모색

국회의원회관에서 정책 세미나 열어 

23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 세미나’에 참석한 인원들이 기념 촬영하고 있다. [사진 포스코]
[이코노미스트 이창훈 기자] 포스코와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국회 인구위기특별위원회 여야 국회의원이 함께 23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 세미나’를 개최했다. 포스코는 기업 차원의 저출산 해법 모델 제시의 일환으로,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보건복지부, 한반도미래인구연구원과 함께 이번 행사를 후원했다. 정책 세미나에는 김영미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부위원장, 김영선 국회 인구위기특별위원회 위원장, 최종윤‧이달곤 국회의원, 조영태 서울대 교수, 포스코그룹 관계자 등 50여명이 참석했다.

김영선 위원장은 이날 개회사에서 “인구위기특별위원회와 국회는 청년들이 체감할 수 있는 정책을 마련해 나갈 것”이라며 “전문성을 갖춘 연구진과 실행력을 갖춘 기업의 참여가 있어야 한다”고 했다.

이어 축사에서는 김영미 부위원장이 “정부와 국회, 기업이 유기적으로 협력하고 노력한다면 한국 사회가 당면한 인구 위기를 슬기롭게 이겨낼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최종윤 의원은 “정부와 민간의 공조 체계를 구축하는 일이 시급하다”며 “나라의 돈이 제대로 사용될 수 있도록 인구특위 간사로서 꼼꼼히 살피겠다”고 말했다.

이날 세미나는 김영선 위원장의 ‘선진국 사례 분석을 통한 저출산 극복 방안’이란 제목의 기조 발제로 시작됐다. 이어 이상림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센터장의 ‘인구구조 변동에 따른 정부와 민간 협업의 중요성’, 조영태 교수의 ‘기업의 사내 가족 출산 친화 제도 효과성 분석’ 등의 발표가 이어졌다. 

조영태 교수는 지난해 실시한 포스코 사내 가족 출산 친화 제도 효과성 연구 결과를 토대로 발표를 진행해 눈길을 끌었다. 조 교수는 “포스코의 가족 출산 친화 제도 중 상생형 어린이집과 장학금 제도는 협력사 직원도 포스코 직원과 동일한 지원을 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모범사례로 꼽힌다”고 설명했다. 

포스코는 포항‧광양에서 상생형 공동 직장어린이집을 운영하는 것을 비롯해 출산‧육아 임직원 지원 제도 개선 등과 함께 2019년부터 매년 저출산 정책 심포지엄을 개최하고 있다. 2021년에는 보건복지부와 미래 세대 인구 교육 사업을 위해 상호 협력하기로 협약을 맺는 등 기업 차원에서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HDC현산 vs 포스코’ 용산정비창 재개발 ‘경쟁’

2현대건설-서울대, ‘꿈의 에너지’ 핵융합 발전 위한 산학협력 체계 구축

3라이엇 게임즈, 요아소비 ‘이쿠라’와 협업한 시네마틱 공개

4폐업 소상공인 취업 위해 중기부·고용부 손잡는다

5"우리도 AI 수출국?"... KT, 국내 최초로 LLM 플랫폼 수출했다

6'다 바꾸겠다'는 더본코리아...백종원 대표 직속 '리스크 관리 조직' 신설

7또 터진 금융사고…하나은행 350억원 부동산 대출사기 발생

8중국 보잉 737맥스 인수 중단…美 항공기 사실상 수입봉쇄

9지난해 여성 오너 배당금 1위는 이부진, 1483억여원 수령

실시간 뉴스

1‘HDC현산 vs 포스코’ 용산정비창 재개발 ‘경쟁’

2현대건설-서울대, ‘꿈의 에너지’ 핵융합 발전 위한 산학협력 체계 구축

3라이엇 게임즈, 요아소비 ‘이쿠라’와 협업한 시네마틱 공개

4폐업 소상공인 취업 위해 중기부·고용부 손잡는다

5"우리도 AI 수출국?"... KT, 국내 최초로 LLM 플랫폼 수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