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탈리아에 뒤진 韓 국민소득, ‘G7’과 격차 벌어진다
지난해 한국 3만5990달러, 이탈리아 3만7700달러
원달러 환율 하락 등 경제 지표 악화 원인

30일 한국은행의 ‘금융·경제 스냅샷’ 서비스에 따르면, 세계은행(WB) 최신 통계 기준으로 2022년 한국의 1인당 명목 국민총소득(GNI)은 3만5990달러로 나타났다. G7 가운데 7위인 이탈리아는 3만7700달러를 기록해 한국과의 격차는 1710달러를 기록했다.
한국은 2020년 코로나19 타격을 받은 이탈리아 GNI를 610달러 웃돈 바 있다. 당시 이탈리아의 경제 성장률은 -9%를 기록해 한국의 -0.7%와 비교해 크게 하락한 영향을 받았다.
이후 2021년 이탈리아 GNI는 한국보다 1020달러 앞섰고, 지난해에는 1710달러로 더 벌어진 모습이다.
세계은행은 각국 1인당 GNI 산출 과정에서 아틀라스 산출법에 따라 직전 3개년 평균 시장환율을 적용했다.
한은 경제통계시스템(ECOS)에 따르면 지난해 연평균 원·달러 환율은 1291.95원으로 2021년에 비해 12.89% 절하됐다.
이탈리아가 사용하는 유로화도 달러 대비 가치가 떨어졌지만, 절하율이 10.97%로 원화 가치 하락율보다 낮았다.
특히 지난해 이탈리아의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전년보다 3.7% 늘었고, 한국은 2.6%를 기록했다.
G7 국가 중 이탈라이만 아니라 일본을 제외한 6개 나라 모두가 한국과의 국민 소득 차이를 벌렸다.
일본의 경우에는 한국과의 GNI 격차가 2021년 8340달러에서 6450달러로 좁혀졌다.
다만 이탈리아 정부는 최근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1%에서 0.8%로 낮췄고, 한국 정부는 1.4%를 유지하고 있어 성장률이 전망치 대로 나온다면 2023년 소득 격차는 다소 줄 것으로 예상된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HDC현산 vs 포스코’ 용산정비창 재개발 ‘경쟁’
2현대건설-서울대, ‘꿈의 에너지’ 핵융합 발전 위한 산학협력 체계 구축
3라이엇 게임즈, 요아소비 ‘이쿠라’와 협업한 시네마틱 공개
4폐업 소상공인 취업 위해 중기부·고용부 손잡는다
5"우리도 AI 수출국?"... KT, 국내 최초로 LLM 플랫폼 수출했다
6'다 바꾸겠다'는 더본코리아...백종원 대표 직속 '리스크 관리 조직' 신설
7또 터진 금융사고…하나은행 350억원 부동산 대출사기 발생
8중국 보잉 737맥스 인수 중단…美 항공기 사실상 수입봉쇄
9지난해 여성 오너 배당금 1위는 이부진, 1483억여원 수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