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 韓 국가신용등급 ‘AA’ 유지… 등급 전망 ‘안정적’
‘수출경쟁력·견조한 내수’ 2%대 경제성장률 전망

[이코노미스트 송현주 기자] 국제 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가 한국의 장기 국가신용등급을 종전 등급인 ‘AA’로 유지했다고 30일 밝혔다. 등급전망도 기존과 같은 ‘안정적’으로 부여했다.
단기 국가신용등급도 기존의 ‘A-1+’을 유지했다. S&P가 한국의 신용등급을 발표한 것은 지난 2022년 4월 이후 2년 만이다. S&P는 2016년 8월 한국의 국가신용등급을 ‘AA-’에서 ‘AA’로 한 단계 상향 조정한 뒤 등급을 유지하고 있다.
S&P는 “향후 3~5년 동안 한국 경제가 대부분의 고소득 국가들 보다 높은 평균 성장률을 유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S&P는 한국의 재정적자 수준도 향후 3년간 낮은 수준을 이어갈 것이라고 분석했다.
S&P는 한국의 올해 경제성장률을 2.2%로 전망했다. 앞으로 3년간 성장률은 연간 2%에 근접하거나 웃돌 것으로 내다봤다. 물가상승률은 지난해 3.6%에서 올해 2.6%로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올해 1인당 국내총생산(GDP)은 약 3만5000달러로 추정했다.
S&P는 2027년까지 한국의 1인당 GDP가 4만3000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했다. 재정건전성은 내년부터 개선돼 오는 2027년 균형재정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했다. GDP 대비 일반정부 재정수지는 -1% 수준일 것으로 봤다.
지정학적 리스크에 대해선 북한 정권 붕괴시 ‘통일 비용’에 따른 우발채무 위험을 취약점으로 지적하면서도 경제기반을 훼손할 정도로 고조되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S&P는 “지정학적 리스크가 한국의 국가신용등급에 여전히 부담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지만 최근 북한 상황이 한반도의 심각한 안보 및 경제 리스크 확대로 이어지지는 않았다”고 판단했다.
기획재정부는 S&P의 발표에 대해 “우리 경제에 대한 견고한 신뢰를 다시 보여주었다”며 “특히 한국 경제의 강한 성장 전망과 견조한 대외건전성을 높이 평가했다”고 밝혔다.
기재부 관계자는 “이번 등급 발표에 앞서 지난 19일 미국 워싱턴D.C.에서 최상목 경제부총리와 로베르토 싸이폰-아레발로 S&P 국가신용등급 글로벌총괄과의 면담을 실시한 바 있다”며 “앞으로도 S&P 등 국제 신용평가사들과의 긴밀히 소통해 우리 경제상황 및 정책방향을 적극 설명하겠다”고 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HDC현산 vs 포스코’ 용산정비창 재개발 ‘경쟁’
2현대건설-서울대, ‘꿈의 에너지’ 핵융합 발전 위한 산학협력 체계 구축
3라이엇 게임즈, 요아소비 ‘이쿠라’와 협업한 시네마틱 공개
4폐업 소상공인 취업 위해 중기부·고용부 손잡는다
5"우리도 AI 수출국?"... KT, 국내 최초로 LLM 플랫폼 수출했다
6'다 바꾸겠다'는 더본코리아...백종원 대표 직속 '리스크 관리 조직' 신설
7또 터진 금융사고…하나은행 350억원 부동산 대출사기 발생
8중국 보잉 737맥스 인수 중단…美 항공기 사실상 수입봉쇄
9지난해 여성 오너 배당금 1위는 이부진, 1483억여원 수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