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여전업계, 2000억원 규모 ‘여전업권 PF 정상화 지원 2호 펀드’ 조성

민간 업계 최대 수준…5월 중 조성 목표

여신금융협회. [사진 윤형준 기자]
[이코노미스트 윤형준 기자] 여신금융협회는 여신전문금융업계가 고금리 및 부동산 경기회복 지연 지속 등 비우호적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시장 환경 대응을 위해 2000억원 내외 규모의 ‘여전업권 PF 정상화 지원 2호 펀드’(2호 펀드) 조성을 추진 중이라고 12일 밝혔다.

그간 여전업은 ‘여전업권 PF정상화 지원 1호 펀드’(1호 펀드)를 조성해 PF시장 재구조화를 통한 사업장 정상화를 지원했다. 또한 기존 분양방식에서 장기일반 민간임대주택 사업 등 사업구조 변경을 통해 사업장 재구조화를 계획·진행 중이다.

협회는 1호 펀드 출자금이 거의 소진되면서 후속 펀드 조성을 지속해서 추진하였고 기존보다 투자규모를 확대한 2000억 원 내외로 펀드를 추가 조성키로 했다고 밝혔다. 이는 민간 업계 최대 수준의 출자규모로 유동성 공급 확대 등 PF정상화에 속도를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기존 펀드의 여전업권 출자금은 1600억(참여사 9개사)원 중 약 1200여 억원이 집행됐으며 잔여 출자금은 전액 소진될 예정이다.

펀드운용사는 PF사업장 선정 절차를 진행 중이다. 이달 중으로 참여사 확정(9개사 예정) 및 펀드투자 계약 체결 완료를 거쳐 펀드를 조성하고 사업장 정상화를 위한 추가 투자에 돌입할 예정이다.

정완규 여신금융협회장은 “여전업권 부동산 PF 펀드는 부동산 PF 시장 안정화를 위한 금융당국의 노력에 더해서 시장이 문제를 스스로 해결하기 위해 자발적으로 뜻을 한데 모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며 “2호 펀드 조성은 여전업권 건전성 제고 및 시장 자율 조정기능을 활용한 사업장 재구조화 촉진에 기여할 것이며, 같은 사례가 전 금융권으로 확산돼 민간투자 활성화를 통한 PF 연착륙 유도로 이어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앞으로 협회는 금융당국과 함께 동 펀드 운영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애로사항 등을 파악하여 적극 해소해 나아갈 예정이다. 또한 향후에도 금융권 펀드 조성·운용을 통해 자율적인 PF 사업장 정리 및 재구조화를 적극 유도해 나갈 계획이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HDC현산 vs 포스코’ 용산정비창 재개발 ‘경쟁’

2현대건설-서울대, ‘꿈의 에너지’ 핵융합 발전 위한 산학협력 체계 구축

3라이엇 게임즈, 요아소비 ‘이쿠라’와 협업한 시네마틱 공개

4폐업 소상공인 취업 위해 중기부·고용부 손잡는다

5"우리도 AI 수출국?"... KT, 국내 최초로 LLM 플랫폼 수출했다

6'다 바꾸겠다'는 더본코리아...백종원 대표 직속 '리스크 관리 조직' 신설

7또 터진 금융사고…하나은행 350억원 부동산 대출사기 발생

8중국 보잉 737맥스 인수 중단…美 항공기 사실상 수입봉쇄

9지난해 여성 오너 배당금 1위는 이부진, 1483억여원 수령

실시간 뉴스

1‘HDC현산 vs 포스코’ 용산정비창 재개발 ‘경쟁’

2현대건설-서울대, ‘꿈의 에너지’ 핵융합 발전 위한 산학협력 체계 구축

3라이엇 게임즈, 요아소비 ‘이쿠라’와 협업한 시네마틱 공개

4폐업 소상공인 취업 위해 중기부·고용부 손잡는다

5"우리도 AI 수출국?"... KT, 국내 최초로 LLM 플랫폼 수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