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DL이앤씨, ‘30년 인연’ 새만금 건설 시장 주목

새만금 개발 사업 바탕 신뢰 ‘탄탄’…30년 새만금 시공 경험 강점
현재 공항 건설 중 국내 유일 건설사…새만금 공항 기대감 

새만금 만경대교 모습.[사진 DL이앤씨]

[이코노미스트 이병희 기자] 새만금이 2차전지 산업의 ‘메카’로 주목받고 있다. 새만금국가산업단지에는 LS그룹, SK온, LG화학 등 70개 이상의 2차전지 기업이 입주할 예정이다. 새만금산단 주위에도 공항과 항만, 수변도시 등 미래 성장 기반 시설들이 속속 들어오고 있다. 전북 지역 사회에선 새만금 단지 개발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국내 기업 중에서는 새만금 사업 실적이 풍부한 DL이앤씨가 사회간접자본(SOC) 관련 사업에서 앞서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DL이앤씨의 새만금과 인연은 30년에 걸쳐 이어져있다. 1992년 새만금 간척 공사를 처음 수주한 이후 30여 년간 꾸준히 새만금 공사 실적을 달성했다. 랜드마크인 만경대교를 비롯해 새만금 방수제 건설 공사, 농생명용지 조성 사업 등 굵직한 프로젝트를 수행했다. 이후 2022년에는 군산항과 새만금 신항 준설 공사, 국립새만금수목원 조성 사업 등을 잇달아 수주하며 새만금에서의 입지를 탄탄히 다졌다.

이 중 만경대교는 세계 최초 ‘비대칭 리버스 아치교’로 유명한 새만금의 대표적인 랜드마크다. 이 다리는 활을 뒤집어 놓은 듯한 모양으로, 향후 신설될 새만금 국제공항을 오가는 항공기의 비행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리버스 아치의 양 끝 높이가 서로 다르다는 게 가장 큰 특징이다. DL이앤씨가 설계부터 시공까지 턴키(일괄수주) 방식으로 완공했다.

국립새만금수목원 조성 사업을 수행하면서 조경 분야 역량도 키우고 있다. 해안가 지역 특성에 따른 해풍과 염분을 차단하는 기술도 인정받고 있다. 간척지에 수목원을 조성하는 것은 국내 처음이며 세계적으로도 드물다. 이런 성과는 DL이앤씨가 지난 30여 년 동안 새만금의 수많은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쌓아온 신뢰가 있었기에 가능했다는 해석이다.

공항 건설 공사에서도 DL이앤씨의 활약이 이어지고 있다. 공항은 사업비 규모가 크고 사업 기간이 긴 데다 공사 종류도 다양하기 때문에 고난도의 기술력이 요구된다. DL이앤씨는 현재 국내 공항을 짓고 있는 유일한 건설사다. 인천공항, 제주공항, 대구공항, 무안공항 등을 성공적으로 건설한 바 있다. 여기에 최근 울릉공항까지 추가로 수주하며 초대형 공항 프로젝트에 모두 참여하고 있다.

최근 조성되는 공항은 해안가를 매립해 건설하는 추세다. 도시의 급격한 확장과 부동산 가격 상승, 항공기 소음 문제 등으로 도심지에 공항을 신설하는 것이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전북 최초의 민간 공항인 새만금 공항이 대표적이다.

새만금 공항은 바다를 매립한 연약지반에 면적 340만㎡ 규모의 공항을 짓는 것이어서 기초 공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특히 활주로는 25t 덤프트럭 25대와 맞먹는 무게의 항공기가 시속 200km 안팎의 속도로 착륙할 때 받는 하중을 견딜 수 있어야 한다. 활주로에 침하나 균열이 생기면 항공기의 타이어 파손과 조종 방향이 틀어지는 등 대형 사고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새만금 공항의 핵심인 연약지반 개량 공사는 연약한 지반을 예측하고 적절히 보강하는 등 고도의 기술력과 공사 수행 경험이 필요하다. DL이앤씨는 이 지역에서 세계 최장 33.9㎞의 방조제를 쌓아 산업단지·관광단지 조성에 필요한 땅을 확보하는 역할을 맡아 지반에 대한 이해도가 높다고 회사측은 설명한다. 이 매립지의 면적은 여의도 면적의 140배 규모로, DL이앤씨는 1992년 수주해 2010년 완공했다. 농생명용지 2공구, 잼버리 부지 2공구 등도 DL이앤씨의 손길을 거쳤다. DL이앤씨는 이러한 압도적 경쟁우위를 바탕으로 새만금 도심의 형성, 경제의 성장을 함께해 나갈 계획이다.

DL이앤씨 관계자는 “DL이앤씨에 지속적으로 발주한다는 것은 기술력을 포함한 모든 제반 사항을 전적으로 신뢰한다는 방증”이라며 “풍부한 시공 경험과 선도적 기술로 전북도민의 생활을 풍요롭게 하는 데 선도적 입지를 구축할 것”이라고 말했다.
새만금 만경대교 모습[사진 DL이앤씨]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킹산직’ 500명 추가 채용 제안...노조 달래는 현대차

2서울대병원 무기한 휴진 중단...“투쟁 방식 전환”

33분기 전기요금 인하 없다...연료비조정단가 현행 유지

4제2의 도약 꿈꾸는 아워홈...기업공개 추진한다

5최태원 SK 회장, 내일 미국행...AI·반도체 점검

6손정의 “인간보다 1만배 똑똑한 AI 시대 온다”

7이노그리드, 초유의 ‘상장 승인 취소’…“파두 사태와는 또 다르다”

8연타석 홈런 친 넷마블…하반기에도 신작 러시

9Life’s Good!…LG전자 브랜드 가치, 세계에 ‘미소’ 전파

실시간 뉴스

1‘킹산직’ 500명 추가 채용 제안...노조 달래는 현대차

2서울대병원 무기한 휴진 중단...“투쟁 방식 전환”

33분기 전기요금 인하 없다...연료비조정단가 현행 유지

4제2의 도약 꿈꾸는 아워홈...기업공개 추진한다

5최태원 SK 회장, 내일 미국행...AI·반도체 점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