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라인야후, 네이버 ‘결별’ 의지 재확인…日 총무성에 조치 보고서 제출

“자본 관계 재검토 모회사에 의뢰…단기적 자본 이동은 곤란”
日 총무성 개입 후 줄어든 네이버 입지…‘강탈 논란’ 불씨 여전
라인야후, 脫네이버 입장 유지…“시스템 분리 계획 앞당겨 진행”

라인야후 계열 한국법인 라인플러스 본사에서 직원이 걸어가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정두용 기자] 일본 최대 정보기술(IT) 기업 라인야후가 네이버와의 자본 관계 재검토 진행 입장을 재확인했다.

라인야후는 1일 일본 총무성 행정지도 관련 보고서를 제출했다. 회사가 제출한 보고서는 일본 정부가 내린 ‘네이버와의 지분 관계를 재검토하라’는 행정지도에 대한 답변서 성격이다. 회사 측은 “모회사인 A홀딩스의 자본 관계 재검토를 이 회사(A홀딩스) 주주인 소프트뱅크와 네이버에 의뢰했다”며 “다만 현재 양사는 단기적 자본 이동에는 곤란이 따른다는 인식에 도달했고 이를 공유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양사 모두 협력적으로 대응하고 있어 라인야후로서도 논의가 진전되도록 계속 노력해 나갈 방침”이라고 했다. ‘단기적 자본 이동’은 어렵지만, 자본 관계 재검토 추진 의사를 굽히지 않겠단 기존 입장을 다시금 설명한 셈이다.

네이버는 2019년 일본 최대 포털 야후재팬을 운영하는 소프트뱅크와 협의해 라인과 야후재팬의 합병을 결정했고 2021년 A홀딩스를 세웠다. 메신저 서비스인 ‘라인’과 검색 서비스인 ‘야후재팬’을 운영하는 라인야후의 최대 주주는 지분 64.4%를 보유한 A홀딩스다. A홀딩스의 지분은 네이버와 소프트뱅크가 50%씩 보유하고 있다. 네이버가 보유한 A홀딩스 지분 중 단 한 주라도 소프트뱅크 측에 넘어간다면 경영권을 상실하는 구조다.

2023년 11월 라인에서 약 51만9000건의 개인정보 유출 사고가 발생했다. 네이버 협력사 PC에 심겨 있던 악성코드가 클라우드 서버를 타고 라인 시스템에 접근해 발생한 사고다. 일본 총무성은 이에 지난 3월 라인야후에 첫 행정지도를 내리고 ‘네이버의 관리 미흡’을 지적했다. 라인야후는 이에 따라 지난 4월 1월 재발 방지 및 개선 보고서 제출했다.

일본 총무성이 개선 보고서를 받아본 뒤에도 재차 행정지도를 내리면서 ‘라인야후 사태’는 외교적 분쟁으로 번지기 시작했다. 단순히 보안 강화를 넘어선 ‘네이버와 라인야후의 지분 관계를 재검토하라’는 내용이 행정지도에 담겼기 때문이다. 일본 총무성이 같은 사안에 두 차례 행정지도를, 그것도 한 달 사이 내린 건 대단히 이례적이다.
[그래픽 연합뉴스]

‘논의 계속’ 입장에 업계 우려

라인야후가 이날 기한에 맞춰 제출한 보고서는 두 번째 행정지도 내용을 어떻게 조치했는지를 알리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됐다. 해당 보고서에 네이버와의 자본 관계에 ‘계속 논의’ 입장이 담기면서 한국과 일본 사이 논란은 지속될 전망이다. 업계에선 이 사안이 외교적 분쟁 사안으로 떠오르자, 관계 기업들이 일단 ‘단기적 자본 이동’ 불가로 방향을 설정한 것이라고 본다. 실제로 라인야후는 이날 보고서에서 자본 관계 재검토 완료 목표 시한을 명시하지 않았다.

다만 보고서엔 시스템과 업무 양면에서 네이버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겠단 입장을 명확히 했다. 이는 지난달 18일 일본 도쿄에서 열린 라인야후 주주총회에서도 나왔던 내용이다. 당초 1차 행정지도에 대한 조치 보고서엔 라인야후가 네이버·네이버클라우드 간의 완전한 시스템 분리를 2026년 12월까지 완료할 예정이라는 계획이 담겼다. 네이버 위탁 업무도 라인야후는 2025년 3월, 라인야후 일본 자회사는 2026년 3월까지 종료하겠다고 했다. 라인야후는 그런데도 주총에서 이를 연내로 앞당긴단 입장을 공식화했다. 네이버와의 결별을 서두르겠단 의지다. 이런 내용은 2차 행정지도에 대한 조치 보고서에도 동일하게 담겼다. 라인야후는 구체적으로 네이버와 네트워크 분리를 계획보다 9개월 앞당겨 2026년 3월까지 완료하고, 네이버 및 네이버클라우드에 대한 업무 위탁도 내년까지 종료하기로 했다.

일본 총무성 개입 후 라인야후에 대한 네이버의 영향력은 점차 줄어들고 있다. 라인야후 주총을 통해 신중호 최고제품책임자(CPO)를 이사회에서 제외하는 안건이 최종 통과된 바 있다. 신 CPO가 라인야후 사내이사에서 물러나면서 이사회는 전원 일본인으로 꾸려지게 됐다. CPO 직위는 유지됐으나, 핵심 경영 의사결정에선 배제된 구조다. 신 CPO는 NHN재팬 시절부터 메신저 앱 개발과 사업을 주도하며 ‘라인의 아버지’로 불린 인물이다.

라인야후는 앞서 간편결제 서비스 ‘라인페이’의 일본 내 서비스를 종료하고, 소프트뱅크가 운영하는 ‘페이페이’(PayPay)에 통합을 추진하는 등 ‘네이버 선 긋기’에 돌입한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라인페이는 라인이 QR코드로 온오프라인 간편 결제·송금 기능 제공을 목적으로 2014년 만든 서비스다. 사실상 네이버가 시작한 서비스라고 봐도 무방하다. 라인페이의 5월 기준 일본 내 사용자 수는 4400만명 수준이다. 이를 소프트뱅크에 넘기는 구조라 라인야후의 ‘네이버 지우기’가 본격화됐다는 우려가 나온 바 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우리은행 찾은 김난도 교수, 내년 소비트렌드 10대 키워드 공개

2이역만리 우즈벡서 내 휴대폰이 왜…술이 문젠가 사람이 문젠가

31기 신도시 볕 드리우나…'선도지구' 매수 문의 '활활'

4해외촬영 중 비보…'티아라' 함은정 모친 별세

5청강문화산업대학교, '日 웹툰시장 진출전략 세미나' 진행

6‘오너 4세’ 허서홍, GS리테일 이끈다…“신성장동력 창출 기대”

7곽튜브, 부산까지 가서 "감칠 맛이…" 동공 커진 까닭은

8'믿을맨' 홍순기, GS 부회장 내정...리테일 대표엔 허서홍 부사장

9고현정에게 '모래시계'는…미스코리아 뒷얘기 공개

실시간 뉴스

1우리은행 찾은 김난도 교수, 내년 소비트렌드 10대 키워드 공개

2이역만리 우즈벡서 내 휴대폰이 왜…술이 문젠가 사람이 문젠가

31기 신도시 볕 드리우나…'선도지구' 매수 문의 '활활'

4해외촬영 중 비보…'티아라' 함은정 모친 별세

5청강문화산업대학교, '日 웹툰시장 진출전략 세미나' 진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