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현대차, ‘수소생태계’ 확산 속도...울산시·광저우시와 맞손

현대차·울산시·광저우시, ‘수소산업협의체’ 구성
협의체, 실증사업 발굴 등 여러 협력 사업 추진

(사진 왼쪽부터) 쑨즈양(孙志洋) 광저우시장, 김두겸 울산광역시장, 장재훈 현대차 사장이 협약서를 들고 기념 촬영을 하는 모습. [사진 현대자동차]
[이코노미스트 박세진 기자] 현대자동차가 한국과 중국의 수소 선도 도시인 울산광역시, 광저우시와 손을 잡고 글로벌 수소사회 전환에 힘을 모은다.

현대차는 25일 중국 광둥성 광저우시 가든 호텔에서 ‘현대차·울산시·광저우시 수소 생태계 공동협력 추진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날 협약식에는 ▲쑨즈양(孙志洋) 광저우시장 ▲김두겸 울산광역시장 ▲강상욱 주광저우 한국총영사 ▲장재훈 현대차 대표이사 사장 등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은 글로벌 수소사회 전환에 중점을 둔 현대차와 한·중 대표 산업도시이자 수소 선도 도시인 울산시, 광저우시의 수소 관련 유기적 협력체계 구축 및 수소산업 생태계 활성화를 목표로 한다.

현대차와 울산시, 광저우시는 협약에 따라 ▲수소생태계 구축 선도사례 공유 및 협력방안 모색 위한 수소포럼 개최 ▲수소에너지 생산·공급·활용 등 수소산업 전 주기에 걸친 실증사업 발굴 ▲수소기술 경쟁력 확보 위한 산학연 공동 연구과제 수행 등 수소 생태계 조성을 위한 다양한 협력사업을 추진한다.

이를 위해 3자가 참여하는 ‘수소산업협의체’를 구성하고 분기별 정기 회의를 개최해 실질적인 협업 성과를 도출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또한 현대차는 이번 업무협약을 계기로 울산시와 광저우시가 개별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다양한 수소 사업의 성공적인 진행과 수소 선도 도시로서의 입지를 더욱 공고히 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울산시는 지난 2019년 전국 최초로 국토교통부 주관 ‘수소 시범도시 (2020년~2023년)’에 선정돼 수소전기차 보급과 수소충전소 인프라 구축을 선도했으며, 올 9월에는 ‘수소도시’ 조성사업 공모에도 선정되는 등 차별화된 울산형 수소도시를 구축해 나가고 있다.

광저우시가 속한 광둥성 역시 지난 2021년 중국 정부의 ‘5대 수소차 시범 지역’ 중 하나로 지정됐으며, 2025년까지 중국에서 가장 선진적인 수소전기차 허브로 성장하겠다는 청사진을 발표하고 적극적으로 수소산업 밸류체인을 강화하고 있다.

장재훈 현대차 사장은 “현대차는 독자기술로 개발한 첫 수소전기차를 울산공장에서 세계최초로 양산했으며, 울산시는 현대차와 함께 성공적인 글로벌 수소도시 조성을 위해 수소 인프라와 다양한 수소 모빌리티 확산에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중국은 글로벌 최대 수소전기차 시장으로 성장할 중요한 시장이며, 광저우는 현대차가 해외지역에 최초이자 유일하게 구축한 수소연료전지시스템 생산기지가 위치한 도시”라며 “현대차는 두 도시 간 가교역할을 수행하며 두 도시 모두 글로벌 대표 수소도시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대만증시, 트럼프 관세 충격에 9% 넘게 하락…8개월 만

2카카오엔터, 동남아 대형 불법 웹툰 사이트 ‘망가쿠’ 등 웹툰·웹소설 사이트 4곳 폐쇄

3넥슨, ‘카트라이더 러쉬플러스’에 현대자동차 ‘인스터로이드’ 카트 출시

4에이블리, 지난해 매출 3000억 돌파...사상 최대 실적

5'무료배달 여파' 비용 더 늘었다...이익 줄어드는 배민·요기요

6카카오뱅크, 2년간 '내 문서함' 서비스로 원목 1만8000그루 보호

7전현무 열애설 파워? 홍주연, MC 됐다…"중증 센터 가라"

8송치형 회장이 이끄는 두나무, 콘텐츠 영역 확장 나서…디지털 악보 플랫폼 MPAG 인수

9코스피, 관세 충격에 4% 급락…2,350선 붕괴

실시간 뉴스

1대만증시, 트럼프 관세 충격에 9% 넘게 하락…8개월 만

2카카오엔터, 동남아 대형 불법 웹툰 사이트 ‘망가쿠’ 등 웹툰·웹소설 사이트 4곳 폐쇄

3넥슨, ‘카트라이더 러쉬플러스’에 현대자동차 ‘인스터로이드’ 카트 출시

4에이블리, 지난해 매출 3000억 돌파...사상 최대 실적

5'무료배달 여파' 비용 더 늘었다...이익 줄어드는 배민·요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