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 “비상계엄 사태, 韓 신용등급에 별 영향 없다”

[이코노미스트 원태영 기자]국제 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는 비상계엄 사태가 한국의 국가 신용등급에 미칠 여파에 관해 "실질적 영향이 없다"고 평했다.
S&P의 킴엥 탄 전무는 4일 서울 여의도에서 S&P와 나이스신용평가가 공동 개최한 언론 세미나에서 "비상계엄이 몇시간 만에 해제됐고 한국의 제도적 기반이 탄탄한 것으로 판단한다"며 "물론 이는 투자자들에게 뜻밖의 일이고 향후 투자자 결정에 부정적 여파를 미칠 수 있지만 현 상황에서는 한국의 현 신용등급(장기 기준 'AA')을 바꿀 사유가 없다고 본다"고 말했다.
기업 신용등급을 맡는 엔디 리우 S&P 전무도 "비상계엄의 잠재적 여파는 밋밋(flat)할 것 같다"며 "외국 투자자들이 한국 환경에 관해 다소 신중한 태도를 보일 수는 있겠지만 한국의 전반적 신용 환경이나 한국 기업의 신용도에 관해서는 계엄의 여파가 현재로는 잠잠해진(muted) 상황"이라고 짚었다.
S&P의 루이 커쉬 전무는 "프랑스 등 이미 몇몇 국가들이 정치적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한국 정치 전문가는 아니지만 이번 사례는 경제·금융 정책 기조에 대한 심각한 의견 불일치로 생긴 일은 아닌 것으로 이해한다"고 진단했다.
세미나에 참석한 나이스신용평가의 이혁준 상무는 "앞서 2016∼2017년 대통령 탄핵 및 대선 정국 때도 시장의 출렁거림이 있었지만 주가지수와 금리 등은 시차에 따라 정상적으로 돌아왔다. 뉴스가 많이 나와도 투자자들은 펀더멘털(경제의 기초체력)에 따라 판단을 한다"고 강조했다.
우리 금융당국이 비상계엄 사태 뒤 시장에 대거 유동성을 공급키로 한 것에 대해 S&P는 조처의 규모가 충분한지는 당장 판단하기 어렵다고 했지만, 대응의 속도와 의지는 긍정적으로 평했다.
김대현 S&P 상무는 "한국 정부가 금융 시스템의 안정성을 굉장히 중요시하며 이런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상당히 빨리 대응한다고 판단한다"며 "투자자나 시장 심리가 중요한 때인 만큼 40조∼50조원 등 절대적 금액보다는 정부가 시장 안정 의지를 보여줬다는 사실을 의미 있게 보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다른 신용평가사 무디스는 정치적 갈등이 장기화하면 결국 신용에 부정적(credit negative)일 수 있다고 봤다고 블룸버그통신이 전했다. 정치적 위기가 제때 해결되지 않을 경우 한국 정부가 주요 법안을 통과시키지 못하고 화급한 사안에 대처하지 못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민주, '당원투표 50%·국민여론조사 50%'로 대선 후보 선출
2광명 붕괴사고 하루 경과…실종자 수색작업 총력
3더불어민주당 “尹, 개선장군 행세하며 '퇴거쇼'…퇴근시간 퍼레이드 민폐”
4안철수, 오세훈 불출마에 “마음이 숙연…당 재건 위해 큰 역할 해주길”
5넥써쓰, 중국 이어 두바이까지…해외 진출 본격화
6오세훈 서울시장, 대선 불출마…“비정상의 정상화 위해 백의종군”
7위믹스 생태계 구축으로 국내 블록체인 시장 선도한 위메이드
8 오세훈 서울시장, 대선 불출마 선언
9‘산불사태’ 국민성금 1328억원 모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