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기청정기 비정품 호환 필터서 사용금지 물질 검출"…8종 회수명령 조치
소비자원·환경부·한국환경산업기술원, 필터 42종 조사 결과

살생물제(살생물물질)는 유해생물을 제거 또는 억제하는 기능으로 사용하는 물질로, 문제가 된 필터 8종에서는 메틸이소티아졸리논(MIT)이 검출됐다.
한국소비자원은 환경부, 한국환경산업기술원과 함께 공기청정기 필터 42종의 안전성을 조사한 결과를 22일 공개했다.
공기청정기 필터는 필터 자체의 항균·살균 등을 목적으로 살생물 물질을 처리할 경우 '필터형 보존처리 제품'에 해당하고, 해당 제품의 제조와 수입자는 안전기준 적합 확인 및 신고 절차, 안전기준 등을 준수해야 한다.
이번 안전성 조사 결과 호환용 필터 8종에서는 필터형 보존 처리 제품에 사용을 금지하는 MIT가 최소 1.9㎎/㎏에서 최대 10.71.9㎎/㎏ 검출돼 부적합한 것으로 확인됐다.
MIT는 노출 시 호흡기와 피부, 눈 등에 자극을 일으킬 수 있다.
MIT가 검출된 공기청정기 필터는 몽골루, 상상그램, 씨엑스텍스타일코리아 등이 수입·제조·판매한 제품으로 LG전자·위닉스·샤오미 공기청정기 호환용 제품이다.
적발된 필터 8종은 안전기준을 위반했을 뿐 아니라 항균·보존 용도의 물질을 사용했음에도 '필터형 보존처리제품'으로 안전기준 적합 확인 및 신고도 하지 않았다.
환경부는 작년 말부터 최근까지 위반 제품 사업자에게 제조·수입·판매금지 및 회수명령 등 행정처분과 함께 공기청정기 필터 업계에서 취급하는 필터 전반에 대한 안전성을 자체 조사하도록 요청했다.
소비자원은 한국공기청정협회, 한국여과기공업협동조합을 통해 공기청정기 필터를 제조·판매하는 사업자에게 안전기준 적합확인 및 신고절차 이행을 권고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코뿔소 아닌, 명마(名馬)네”...부드러움의 극치 KGM 무쏘 EV
2무신사, KBO·K리그와 '고 팀 무신사' 캠페인 진행
35명 중 3명 이미 가입…카카오페이, 마이데이터 2000만명 돌파
4국민은행, 경북 산불 피해기업에 150억원 규모 금융 지원
5“실력으로 승부” 우리은행, 인사카드서 ‘학력·병역·출신지’ 뺀다
6“재미·보상 한 번에” 카카오뱅크, 앱테크 등 혜택 서비스 3종 추가
7한국투자증권 ALP 원우회, ‘사랑의 도시락 나눔 활동’ 실시
8국민카드, 카드 결제 인프라 활용해 상생 실천
9거래소, 태국증권거래소와 차세대 청산결제시스템 공급계약 체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