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취업 포기 합니다'...구직포기 청년 50만 명, 사상 최대

사진의 이해를 돕기 위한 생성형 이미지(미드저니)

-취업 성공해도 26% 단기 근로자 

청년층의 고용 문제가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다. 지난달 기준 취업하지 못한 청년이 120만 명을 넘어섰으며, 취업에 성공하더라도 4명 중 1명은 단기 근로에 머무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 2월 15~29세 청년층 실업자는 26만 9천 명에 달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5천 명(2.0%) 증가한 수치다. 특히, 청년 실업자는 2021년 41만 6천 명에서 2022년 29만 5천 명, 2023년 29만 1천 명, 2024년 26만 4천 명으로 3년 연속 감소하다가 올해 4년 만에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다. 청년층 인구 자체는 감소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업자는 늘어나고 있어 고용 시장의 어려움을 반영하고 있다.

일자리를 찾지 않거나 구직 활동을 하지 않는 비경제활동 청년 인구도 420만 9천 명으로 집계되었다. 이는 1년 전보다 1만 5천 명 증가한 수치다. 이 중 별다른 활동 없이 '그냥 쉬는' 청년은 50만 4천 명으로, 2003년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다. 또한, '취업 준비'를 하는 청년은 43만 4천 명으로, 정규 교육기관 외의 학원이나 기관을 다니는 경우가 11만 8천 명, 기타 취업 준비자는 31만 6천 명으로 조사됐다. 이들을 포함하면 실업자, 취업 준비생, 별다른 활동 없이 쉬는 청년이 총 120만 7천 명에 이른다.

어렵게 취업에 성공한 청년들도 고용 안정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현실이다. 청년층 중 주간 근무 시간이 36시간 미만인 단기 근로자는 93만 6천 명으로, 전체 청년 취업자 355만 7천 명 중 약 26%에 해당한다. 이는 전일제 근무보다는 단기 계약직이나 시간제 근로자가 많아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워라밸(일과 삶의 균형) 선호도가 높아진 영향도 있지만, 근본적으로 양질의 일자리 부족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다.

또한, 근로 시간을 더 늘리고 싶거나 추가적인 일을 원하는 청년층, 즉 ‘시간 관련 추가 취업 가능자’는 12만 1천 명으로, 1년 전보다 1만 2천 명 증가했다. 이는 코로나19 확산기였던 2021년(15만 2천 명) 이후 2월 기준 가장 높은 수치다. 특히, 초단기 근로(주 1~17시간 근무)에 해당하는 청년은 44만 5천 명으로, 전체 청년 취업자의 12.5%를 차지했다.

최근의 경제 성장 둔화, 내수 침체, 제조업과 건설업의 부진, 기업들의 경력직·중고 신입 선호 경향 등이 맞물리며 청년층의 구직난이 가중되고 있는 상황이다. 일자리 부족뿐만 아니라, 어렵게 취업하더라도 안정적인 근로 조건을 갖추지 못하는 현실이 지속되면서 청년층의 불안정한 노동 환경이 더욱 심화되고 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HDC현산 vs 포스코’ 용산정비창 재개발 ‘경쟁’

2현대건설-서울대, ‘꿈의 에너지’ 핵융합 발전 위한 산학협력 체계 구축

3라이엇 게임즈, 요아소비 ‘이쿠라’와 협업한 시네마틱 공개

4폐업 소상공인 취업 위해 중기부·고용부 손잡는다

5"우리도 AI 수출국?"... KT, 국내 최초로 LLM 플랫폼 수출했다

6'다 바꾸겠다'는 더본코리아...백종원 대표 직속 '리스크 관리 조직' 신설

7또 터진 금융사고…하나은행 350억원 부동산 대출사기 발생

8중국 보잉 737맥스 인수 중단…美 항공기 사실상 수입봉쇄

9지난해 여성 오너 배당금 1위는 이부진, 1483억여원 수령

실시간 뉴스

1‘HDC현산 vs 포스코’ 용산정비창 재개발 ‘경쟁’

2현대건설-서울대, ‘꿈의 에너지’ 핵융합 발전 위한 산학협력 체계 구축

3라이엇 게임즈, 요아소비 ‘이쿠라’와 협업한 시네마틱 공개

4폐업 소상공인 취업 위해 중기부·고용부 손잡는다

5"우리도 AI 수출국?"... KT, 국내 최초로 LLM 플랫폼 수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