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 부호 뜨고 건설 부자 기울어
에너지 부호 뜨고 건설 부자 기울어
▶(왼쪽부터) 구본무 LG 회장, 허창수 GS 회장, 이수영 동양제철화학 회장 |
지난 한 해 국내 증시에서 가장 많은 화제를 몰고 다닌 회사 중 하나가 동양제철화학이었다. 먼저 공장이 자리 잡은 인천 송도에 아시안 게임이 유치되고 자유무역도시로 지정되면서 보유 부동산 가치가 뛰었다. 태양광전지의 원료가 되는 폴리실리콘까지 생산하며 말 그대로 ‘태양주’가 됐다. 지난해 4월 초만 해도 주당 6만원대에 머물던 주가는 4월 중순 현재 37만원을 넘나든다. 동양제철화학의 약진은 대주주인 동양제철화학 2세들의 평가액에도 고스란히 반영됐다. 집안의 장남이자 현재 동양제철화학을 이끄는 이수영 회장의 평가액은 지난해 1400억원에서 올해는 9448억원으로 무려 7배 가까이 불어났다. 이복영 삼광유리 회장은 926억원에서 5285억원, 이화영 유니드 회장은 708억원에서 5048억원으로 증가했다. 순위는 이수영 회장이 지난해 111위에서 17위, 이복영 회장은 191위에서 38위, 이화영 회장은 258위에서 41위로 껑충 뛰었다. 올해 부호 순위에선 동양제철화학을 포함한 철강 부호들이 약진했다. 현대제철과 현대하이스코의 대주주인 정몽구 회장이 대표적인 예다. 정 회장은 이들 주가가 뛰면서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2위를 지킬 수 있었다. 형제가 나란히 100대 부호에 이름을 올린 장세주 동국제강 회장과 장세욱 부사장도 마찬가지. 장세주 회장의 재산은 3552억원으로 지난해의 2156억원에 비해 60% 이상 급증했고, 장세욱 부사장도 2377억원으로 지난해 1472억원에 비해 큰 폭 상승했다. 지난 60여 년 동안 철강 한 우물을 파온 홍영철 고려제강 회장의 재산은 지난해 2232억원에서 올해는 두 배가 넘는 4546억원을 기록했다. 이처럼 철강 부호들이 속출한 이유는 원자재 가격이 치솟으면서 ‘산업의 쌀’로 불리는 철강이 최대 수혜자로 부상했기 때문이다. 반면 건설 부호들은 대거 100대 부호에서 밀려났다. 지난해 엄석오 일레븐건설 회장(지난해 76위), 전상표 현진 회장(지난해 87위), 김영춘 서해종합건설 회장(지난해 97위) 등은 이번 리스트에서 탈락했다. 최근 건설 경기 부진으로 순자산 가치가 하락하며 지분 평가액도 줄었기 때문이다. 제과 업계 부호들도 고전을 면치 못했다. 지난해 64위와 72위에 각각 이름을 올린 이화경 미디어플렉스 사장과 담철곤 오리온 회장 부부는 보유주식 가치가 지난해 수준에 머물며 순위에서 탈락했다.
▶(왼쪽부터) 신준호 롯데우유 회장, 이민주 전 C&M 회장, 김남구 한국투자금융지주 사장 |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최상목 “야당 일방적 감액예산…결국 국민 피해로”
2日유니클로 회장 솔직 발언에…中서 불매운동 조짐
3최태원은 ‘한국의 젠슨 황’…AI 물결 탄 SK하이닉스 “우연 아닌 선택”
4서울지하철 MZ노조도 내달 6일 파업 예고…“임금 인상·신규 채용해 달라”
5인천시 “태어나는 모든 아동에게 1억 준다”…출생아 증가율 1위 등극
6경기둔화 우려에 ‘금리 인하’ 효과 ‘반짝’…반도체 제재 우려↑
7얼어붙은 부동산 시장…기준금리 인하에도 한동안 ‘겨울바람’ 전망
8연간 1000억? 영풍 환경개선 투자비 논란 커져
9 야당, '예산 감액안' 예결위 예산소위서 강행 처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