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성장 가속하는 원격의료‧약배달 앱, 국감서 ‘지속가능성’ 확인할까

닥터나우-대한약사회, 다음달 7일 복지부 국감 참고인 출석
원격의료‧약배달 규제 관련 논의 이어질 듯

닥터나우 로고
다음 달 국정감사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한시적 허용된 원격의료와 의약품 배달 서비스 등에 대한 논의가 이뤄진다. 빠르게 대중화되고 있는 원격의료‧약배달 서비스가 ‘위드 코로나’ 시대에서도 지속될지 여부를 가르는 분기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국회 보건복지위는 전날 의결한 국정감사 증인 및 참고인 출석요구안에는 장지호 닥터나우 대표와 김대업 대한약사회 회장이 참고인으로 포함됐다. 7일 열리는 보건복지부 감사에서 남인순, 서영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김 회장에게 화상투약기 및 약 배달 등 규제완화 관련해 의견을 청취하기 위해 참고인으로 출석을 요구했다. 신현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원격진료, 약 배달 플랫폼 운영 관련 질의를 위해 같은 날 장 대표를 참고인으로 신청했다.
 
관련 업계에선 해당 감사에서 갈등을 빚고 있는 닥터나우와 약사회 등의 입장을 청취하고, 향후 규제개선 방향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될 것으로 보고 있다.
 
닥터나우는 지난해 정부의 비대면진료 한시적 허용 방침이 나온 뒤 원격 진료 및 처방전 원격전송, 처방약 배달까지 원격진료 전 과정의 서비스를 지원하는 플랫폼으로 출시됐다. 의대생 출신인 장 대표가 창업해 이목을 집중시킨 바 있다.
 
대한약사회는 닥터나우의 의약품 배송 서비스를 불법으로 규정하고 닥터나우의 서비스 중단을 요구하고 있다. 대한약사회는 앞서 지난해 12월 약사법 위반 혐의로 닥터나우를 고발했지만 무혐의 처분을 받았다. 대한약사회는 개인정보보호법 위반 등으로 고발한 상태다. 
 
닥터나우는 원격의료 시장을 개척하며 빠르게 세를 늘리고 있다. 닥터나우에 따르면 지난 8월 플랫폼 내 거래액은 전월 대비 40% 이상 늘어나 1억원을 돌파했다. 8월 기준 월간 실 사용자 수(MAU)는 11만 명, 누적 앱 이용은 30만 건이 넘는다. 코로나19 장기화로 위축된 개별 병·의원과 약국 경영에 수익 채널로 기능해 숨통을 틔웠다는 게 회사 측의 설명이다. 닥터나우는 병‧의원과 약국에 별도의 수수료를 받지 않고 있으며 앞으로도 받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닥터나우 등 원격의료‧의약품 배송 서비스는 현재 한시적으로 허용된 규정 속에서 운영되고 있지만 향후에도 사업모델이 지속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지난 6월 국무총리실에서 발표한 규제챌린지 15개 과제에서 비대면 진료 및 의약품 원격조제 규제 개선과 약 배달 서비스 제한적 허용 등이 포함됐기 때문이다.
 
다만 대한약사회 등의 지속적인 요구 등으로 해당 규제 챌린지 과제가 빠르게 실행될 수 있을지 미지수다. 대한약사회는 지난 7월 “박완주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이 약 배달 추진에 대한 구체적 계획이 없다는 국무총리실의 입장을 받았다”고 밝히기도 했다.

최윤신 기자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원/달러 환율, 연중 최저 수준 하락…한은 금통위 앞두고 관망세

2CJ푸드빌, 빕스·더플레이스 강동 대형 복합몰 동시 오픈

3초대형 IB 도전장 내민 신한투자증권… ‘내부통제’ 강화에 사활

4 한국은행, 기준금리 동결…연 2.75%

5한국콜마, 친환경 종이팩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 본상 수상

6설화수, 美 최대 백화점 체인 메이시스 입점

7‘퍼스트 버서커: 카잔’의 글로벌 순항…호평 이끈 세 가지 키워드

8국제 금값 '사상 최고치'…관세 갈등 속 안전자산 선호 급증

9홍현희 제이쓴 60억 집 떠나는 이유…오은영 발언 때문?

실시간 뉴스

1원/달러 환율, 연중 최저 수준 하락…한은 금통위 앞두고 관망세

2CJ푸드빌, 빕스·더플레이스 강동 대형 복합몰 동시 오픈

3초대형 IB 도전장 내민 신한투자증권… ‘내부통제’ 강화에 사활

4 한국은행, 기준금리 동결…연 2.75%

5한국콜마, 친환경 종이팩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 본상 수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