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셀트리온, 항암 항체치료제 아바스틴 바이오시밀러 韓美 허가 신청 완료

오리지널의약품 전체 적응증 확보…차별화된 원가경쟁력으로 시장 승부

 
 
셀트리온 2공장 전경 [사진 셀트리온]
셀트리온이 항암 항체치료제 시장에서 강력한 포트폴리오를 구축하게 될 전망이다.
 
셀트리온은 지난 29일과 30일에 걸쳐 결장직장암 치료제 ‘아바스틴(성분: 베바시주맙)’ 바이오시밀러 ‘CT-P16’를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 및 미국 FDA에 허가 신청을 완료했다고 1일 밝혔다.
 
셀트리온은 지난 2018년부터 유럽, 남미, 아시아 20여 개 국가 약 150개 사이트에서 총 689명에 대한 글로벌 임상을 마무리했다. 전이성 직결장암, 비소세포폐암 등 아바스틴에 승인된 전체 적응증(Full Label)에 대해 양 기관에 허가 신청을 완료했다.
 
셀트리온은 이후 유럽 및 주요 국가를 타깃으로 한 허가 신청도 신속하게 진행할 계획이다. 오리지널 의약품은 한국을 비롯해 미국, 유럽은 물론 거의 모든 국가에서 이미 물질특허가 만료된 상태다. CT-P16의 글로벌 허가 절차가 완료되면 내년 하반기부터 순차적으로 시장에 제품을 선보일 계획이다.
 
셀트리온은 CT-P16이 출시되면 기존 혈액암 치료제 ‘트룩시마’, 유방암 치료제 ‘허쥬마’에 이어 세 번째 항암 항체 바이오시밀러를 확보하게 된다. 항암 항체치료제 시장에서 강력한 포트폴리오를 구축하는 것이다.
 
셀트리온의 항암 항체 바이오시밀러 제품은 올해 1분기 유럽시장에서 트룩시마가 38.3%, 허쥬마가 14.8%, 올해 상반기 미국 시장에서 트룩시마가 26.9%의 시장점유율을 기록하고 있다. 트룩시마는 유럽에서 오리지널 제품을 뛰어넘는 점유율을 보이고 있다. 허쥬마는 허셉틴 바이오시밀러 중 유럽 시장 점유율 1위를 지키고 있다.
 
‘CT-P16’의 오리지널 의약품인 로슈의 아바스틴은 전이성 직결장암, 전이성 유방암, 비소세포폐암, 교모세포종 치료 등에 사용하는 항암제다. 2020년 IQVIA 집계 기준 베바시주맙의 글로벌 시장 규모는 약 7조7000억원으로 이 중 미국은 약 4조원, 한국은 1200억원 규모로 집계되고 있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CT-P16의 글로벌 임상을 성공적으로 종료하자마자 한국 및 미국에서 최대한 신속히 판매 허가 신청을 준비해 왔다”며 “이번 식약처 및 FDA 허가 신청을 기점으로 유럽 및 주요 국가에서의 허가 신청에도 속도를 내 고품질 항암 항체 바이오시밀러의 조속한 글로벌 공급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승훈 기자 lee.seunghoon@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설화수, 美 최대 백화점 체인 메이시스 입점

2‘퍼스트 버서커: 카잔’의 글로벌 순항…호평 이끈 세 가지 키워드

3국제 금값 '사상 최고치'…관세 갈등 속 안전자산 선호 급증

4홍현희 제이쓴 60억 집 떠나는 이유…오은영 발언 때문?

5이병헌 이민정 출산 후 시력 잃고…"아이 바뀐거 아니야?"

6 이재명 “국회 세종의사당·대통령 세종 집무실 임기 내 건립”

7트럼프 "큰 진전"…美·日 무역협상 전격 개시

8“韓 스타트업, 해외 투자 유치 위해선 ‘단일성’ 버려라”

9유사나헬스사이언스, 셀라비브 리서페이싱 앰플 세럼 임상 연구 결과 발표 …2주 만에 피부 개선 효과 입증

실시간 뉴스

1설화수, 美 최대 백화점 체인 메이시스 입점

2‘퍼스트 버서커: 카잔’의 글로벌 순항…호평 이끈 세 가지 키워드

3국제 금값 '사상 최고치'…관세 갈등 속 안전자산 선호 급증

4홍현희 제이쓴 60억 집 떠나는 이유…오은영 발언 때문?

5이병헌 이민정 출산 후 시력 잃고…"아이 바뀐거 아니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