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트리온, 항암 항체치료제 아바스틴 바이오시밀러 韓美 허가 신청 완료
오리지널의약품 전체 적응증 확보…차별화된 원가경쟁력으로 시장 승부

셀트리온은 지난 29일과 30일에 걸쳐 결장직장암 치료제 ‘아바스틴(성분: 베바시주맙)’ 바이오시밀러 ‘CT-P16’를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 및 미국 FDA에 허가 신청을 완료했다고 1일 밝혔다.
셀트리온은 지난 2018년부터 유럽, 남미, 아시아 20여 개 국가 약 150개 사이트에서 총 689명에 대한 글로벌 임상을 마무리했다. 전이성 직결장암, 비소세포폐암 등 아바스틴에 승인된 전체 적응증(Full Label)에 대해 양 기관에 허가 신청을 완료했다.
셀트리온은 이후 유럽 및 주요 국가를 타깃으로 한 허가 신청도 신속하게 진행할 계획이다. 오리지널 의약품은 한국을 비롯해 미국, 유럽은 물론 거의 모든 국가에서 이미 물질특허가 만료된 상태다. CT-P16의 글로벌 허가 절차가 완료되면 내년 하반기부터 순차적으로 시장에 제품을 선보일 계획이다.
셀트리온은 CT-P16이 출시되면 기존 혈액암 치료제 ‘트룩시마’, 유방암 치료제 ‘허쥬마’에 이어 세 번째 항암 항체 바이오시밀러를 확보하게 된다. 항암 항체치료제 시장에서 강력한 포트폴리오를 구축하는 것이다.
셀트리온의 항암 항체 바이오시밀러 제품은 올해 1분기 유럽시장에서 트룩시마가 38.3%, 허쥬마가 14.8%, 올해 상반기 미국 시장에서 트룩시마가 26.9%의 시장점유율을 기록하고 있다. 트룩시마는 유럽에서 오리지널 제품을 뛰어넘는 점유율을 보이고 있다. 허쥬마는 허셉틴 바이오시밀러 중 유럽 시장 점유율 1위를 지키고 있다.
‘CT-P16’의 오리지널 의약품인 로슈의 아바스틴은 전이성 직결장암, 전이성 유방암, 비소세포폐암, 교모세포종 치료 등에 사용하는 항암제다. 2020년 IQVIA 집계 기준 베바시주맙의 글로벌 시장 규모는 약 7조7000억원으로 이 중 미국은 약 4조원, 한국은 1200억원 규모로 집계되고 있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CT-P16의 글로벌 임상을 성공적으로 종료하자마자 한국 및 미국에서 최대한 신속히 판매 허가 신청을 준비해 왔다”며 “이번 식약처 및 FDA 허가 신청을 기점으로 유럽 및 주요 국가에서의 허가 신청에도 속도를 내 고품질 항암 항체 바이오시밀러의 조속한 글로벌 공급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승훈 기자 lee.seunghoon@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설화수, 美 최대 백화점 체인 메이시스 입점
2‘퍼스트 버서커: 카잔’의 글로벌 순항…호평 이끈 세 가지 키워드
3국제 금값 '사상 최고치'…관세 갈등 속 안전자산 선호 급증
4홍현희 제이쓴 60억 집 떠나는 이유…오은영 발언 때문?
5이병헌 이민정 출산 후 시력 잃고…"아이 바뀐거 아니야?"
6 이재명 “국회 세종의사당·대통령 세종 집무실 임기 내 건립”
7트럼프 "큰 진전"…美·日 무역협상 전격 개시
8“韓 스타트업, 해외 투자 유치 위해선 ‘단일성’ 버려라”
9유사나헬스사이언스, 셀라비브 리서페이싱 앰플 세럼 임상 연구 결과 발표 …2주 만에 피부 개선 효과 입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