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가 부추긴 ‘소비 불평등’, 고소득층은 TV·소파 바꿨다…저소득층은?
고소득자, 저소득층보다 3.74배 소비
식료품·보건 등 ‘비외출소비’ 기여도 2.8%포인트
한은 “저소득층 소득여건 개선 미흡, 불평등 심화할 것”
![](/data/ecn/image/2021/10/29/ecn515dfd57-70e8-4cc2-b19a-9afaf607e432.jpg)
한국은행(한은)은 ‘우리나라의 소비불평등 추정 및 주요 특징 분석’ 보고서를 통해 “코로나19 충격으로 2020년 정부가 지출을 확대했음에도 불구하고, 소비불평등이 2019년보다 심화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29일 밝혔다.
‘소비 5분위 배율’은 2019년 3.67에서 2020년 3.74로 0.07포인트 상승했다. 지난해 고소득층이 저소득층의 3.74배를 소비했다는 뜻이다. 한은은 통계청의 가계동향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소득 상위 20%(5분위)의 소비 대비 소득 하위 20%(1분위)의 소비를 나타내는 ‘소비 5분위 배율’을 자체 추산하고 있다.
한은 분석에 따르면, 저소득층(1분위)의 근로소득 감소가 고소득층(4분위·5분위)과의 소비 격차 확대로 이어졌다. 고소득층보다 저소득층의 소득이 훨씬 더 많이 줄었다는 뜻이다. 반면 저소득층(1분위)과 중산층(3분위)과의 소비 격차는 좁혀졌다. 한은은 정부의 이전지출 수혜가 상대적으로 저소득층(1분위)에 많이 돌아갔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한은은 비외출소비와 내구재에서 소비 격차가 확대된 데 주목했다. 2019년과 비교한 2020년의 재화별 소비불평등 기여율 변화를 보면, 비외출소비(식료품·보건·주거·수도·통신 등)와 내구재(자동차·가구·가전)의 기여율은 증가했지만, 외출소비(외식·숙박·의류·교육·문화 등) 기여율은 줄어들었다. 코로나19로 인해 이동이 어려워지자 집에서 주로 사용하는 품목의 지출 변화가 커졌다는 뜻이다.
한은은 “코로나19가 점차 완화된다고 가정하면 올해 소비불평등은 더 확대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고소득층의 펜트업 소비(수요 분출)가 점차 늘어나는 가운데, 저소득층의 고용여건 개선 등은 부진할 가능성이 높다는 설명이다. 또 “코로나19 중 부진했던 중산층 소비가 이어진다면, 중산층과 저소득층 간 소비 격차도 벌어질 수 있다”고 추정했다.
![](/data/ecn/image/2021/10/29/ecn910691ad-a45f-422b-9099-8a30c553df5b.jpg)
정지원 기자 jung.jeewon1@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제이엘케이, 비조영 CT 뇌졸중 AI 솔루션 日 허가
2보람컨벤션, ‘제3회 웨딩초대전’ 성황리 종료
3우리은행, 재생에너지로 연간 2200톤 온실가스 감축한다
4서울시 감사위원회, 이은형 연구위원에게 유공 감사패 수여
5‘부실 복무 의혹’ 송민호, 두 번째 경찰 조사... “조만간 결론 날 듯”
6환경 기업 이도, 태양광 발전으로 산업폐기물 소각장 선제적 운영
7현대건설, 3억8900만 달러 규모 사우디 송전선로 건설 프로젝트 수주
8"AI폰 체험하세요"...갤럭시 스튜디오, 누적 방문객 30만명 돌파
9‘하츄핑 파워’ 이 정도였나.. SAMG엔터, 흑자 전환에 52주 신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