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 하위 20%, 소득 절반 식비로 지출…주거·수도·광열 지출도 커 [그래픽뉴스]
통계청, 올 3분기 소득 하위 20% 식비 월평균 42만원
가처분소득 대비 식비 비중이 47.5%
소득 낮을수록 식비, 주거·수도·광열 지출 비중 커

지난 3분기 소득 하위 20% 가구는 처분가능소득의 절반을 식비로 지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기요금 인상도 예상돼 고물가 직격타로 서민의 부담은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
소득 상위 20%인 5분위의 가처분소득(807만1000원) 대비 식비(128만원)의 비중은 15.9%였다. 4분위는 20.8%, 3분위는 23.5%, 2분위는 26.5%로 소득이 낮을수록 식비의 비중이 컸다.
지난 3분기 식료품·비주류 음료의 물가는 1년 전보다 7.9% 올라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5.9%)을 웃돌았다. 외식 등 음식 서비스 물가의 경우 8.7% 올라 1992년 3분기(8.8%) 이후 30년 만에 최고 수준을 나타냈다. 1분위 식비는 지난해 같은 기간(41만3000원)과 비교해보면 3.7% 늘었다.
당분간 고물가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면서 서민의 부담은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 라면 등 가공식품 가격이 줄줄이 오르는 가운데 최근에는 우유 원유 가격 인상이 결정돼 유제품과 이를 재료로 하는 빵·아이스크림도 오르는 ‘밀크플레이션’ 우려도 나오고 있다.
전 세계 에너지 가격 상승과 한국전력의 적자 등으로 정부는 내년 전기요금 인상도 검토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3분기 가처분소득 대비 주거·수도·광열 지출 비중을 보면 1분위 21.9%, 2분위 11.9%, 3분위 7.8%, 4분위 6.6%, 5분위 3.8% 등으로 소득이 낮을수록 컸다. 주거·수도·광열은 주거 임차비용, 연료비, 주택 유지비 등 주거 관련 비용을 말한다.
김채영 기자 chaeyom@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신한투자증권, 우수고객 서비스 업그레이드 론칭
2핀다, 지난해 가계대출 위축에도 매출 호조세 이어가
3'지옥에서 천당으로'…코스피, 관세유예에 6.6% 폭등 '축포'
4기업은행, 6월부터 ‘IBK인증서’ 통해 본인확인 서비스 제공
5설화수, 윤조에센스 팝업스토어 ‘윤빛 라운지’ 운영
6日 배드민턴 스타 "중국 갈 때마다 무서워"…스토킹 피해 호소
7매일헬스뉴트리션 ‘셀렉스’, 5년째 SSG랜더스와 함께 한다
8자라, 롯데프리미엄아울렛 동부산점에 신규 매장 오픈
9'7초에 1개 팔린다'...에스트라, 더마코스메틱 페이셜케어 부문 국내 1위 등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