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장년층 10명 중 6명 ‘은행빚 5800만원’…집 있으면 1.1억원
통계청 ‘2021년 중·장년층 행정통계’ 발표
중·장년층 인구 지난해 2018만2000명
금융대출 중앙값 5800만원…절반 이상은 내 집 마련 못해

20일 통계청은 이런 내용을 담은 ‘2021년 중·장년층 행정통계’ 결과를 발표했다. 이 통계는 각종 행정자료를 연계하는 방식으로 작성된다. 이 자료에 따르면 중·장년층 인구는 지난해 11월 1일 기준으로 2018만2000명이다. 전년보다 9만6000명(0.5%) 증가했다. 전체 내국인 인구의 40.3%를 차지했다.
금융권 대출이 있는 중·장년층 비중은 전체의 57.3%로 0.8%포인트 높아졌다. 여기에서 대출은 카드대출을 포함한 1·2금융권에서 빌린 개인대출과 개인사업자대출 잔액을 말한다. 대부업체 등 3금융권 대출과 사채, 임대·보증금 등은 제외됐다.
대출 잔액 중앙값은 5804만원으로 5200만원에서 11.6% 증가했다. 대출 잔액 중앙값은 ▶2017년 4128만원 ▶2018년 4459만원 ▶2019년 5200만원 등으로 매년 늘고 있다. 특히 주택 소유자의 대출 잔액 중앙값은 1억16만원으로 무주택자의 3019만원보다 3.3배 많았다.

주택 소유 비중은 60대 초반이 46.0%로 가장 높았고 연령이 낮을수록 떨어져 40대 초반은 39.7%에 그쳤다. 자녀를 포함해 가구원 중 1명이라도 주택을 소유한 중장년 가구 비중은 64.6%로 집계됐다.
중·장년층이 소유한 주택자산 가액은 ‘1억5000만원 초과 3억원 이하’ 구간이 26.5%로 가장 많았고, 이어 ‘6000만원 초과 1억5000만원 이하’는 25.8%로 나타났다. 6억원을 초과하는 주택을 소유한 중·장년층 비중은 12.6%로 전년보다 3.1%포인트 높아졌다.
4대 보험 등 행정자료로 파악되는 취업자로 분류되는 중·장년 등록취업자는 1340만2000명으로 중·장년 인구의 66.4%를 차지했다. 임금근로자가 77.8%, 자영업자 등 비임금근로자가 17.9%, 두 가지를 병행하는 경우가 4.3%를 기록했다.
중·장년 인구의 77.1%는 근로 또는 사업소득이 있고 평균 소득은 3890만원으로 전년보다 5.4% 증가했다. 연령별로는 40대 후반이 4239만원으로 가장 많고 60대 초반이 2646만원으로 가장 적었다. 주택을 소유한 사람의 평균 소득은 4822만원으로 무주택자의 3068만원보다 1.6배 많았다.
이용우 기자 ywlee@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KT, 8월까지 2500억원 자사주 매입할 것"...1분기 주당 600원 배당 결정
2"2만원으로 유럽행 비행기서 인터넷 즐겨요"...기내 와이파이 자동 로밍 세계 첫 출시
3이국종 "내 인생 망했다…문과 놈들이 다 해 먹는 나라" 작심발언
4정부, 당초보다 2조원 증액한 12조원 규모 추경 편성
5"집·차 빼고 다 판다"…다이소에서 르카프·스케쳐스 얼마?
6새로운 투자 기회의 장 열어…'바이오 코리아 2025-인베스트 페어' 5월 개막
7케이뱅크, 대안신용평가 ‘이퀄’ 도입…통신데이터 기반 정밀 분석
83D 콘텐츠 제작 플랫폼 유니티, ‘글로벌 개발자 컨퍼런스’ 막 올라
9하나은행, 경기도 2금고 '경기도청점' 개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