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빚 대신 갚아주는 신용보험...국내서 왜 인기 없을까[보험톡톡]

일부 생보사 중심, 신용보험 판매 중...시장 규모는 미미
美, 日 등은 신용보험 활성화...우리는 '규제 탓' 적극 영업 어려워

[사진 BNP파리바 카디프생명]
[이코노미스트 김정훈 기자] 계약자 채무를 대신 변제해주는 ‘신용보험’이 국내에서 좀처럼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일부 보험사들만이 이 상품을 취급하고 있고 홍보도 제대로 되지 않아 시장 규모가 미미한 상태다. 보험업계는 여러 규제들이 완화돼 신용보험이 보다 활성화되면 고객, 금융사들 모두 이득을 볼 수 있다고 목소리를 높인다.

신용보험시장 미미...홍보부족 등이 원인

19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신용보험 상품은 BNP파리바카디프생명, 메트라이프생명, AIA생명 등 주로 외국계 생보사들이 판매 중이다. 이 보험은 계약자가 사정상 대출 등의 빚을 변제하기 어려울 때 보험을 통해 이를 해결하는 상품이다. 

신용보험은 보험업 감독규정상 신용생명보험과 신용손해보험으로 나뉜다. 신용생명보험은 ‘금융기관으로부터 대출을 받은 피보험자가 ‘사망’했을 때 미상환액을 보상하는 보험’이라고 명시돼 있고 신용손해보험은 ‘상해로 사망했을 때 미상환액을 보상하는 보험’이라고 설명돼 있다.  

최근 국내에 출시된 신용보험의 경우 회사별로 차이가 있지만 계약자의 사망 뿐만 아니라 질병, 상해 등으로도 채무 변제에 어려움을 겪는다면 보험금을 지급받을 수 있게 설계돼 있다.  

신용보험 상품을 국내에 처음 선보인 곳은 BNP파리바카디프생명이다. 카디프생명은 2000년대 초반, 국내에 처음으로 신용보험을 판매하기 시작했고 이후 꾸준히 판매를 이어오고 있다. 지난해 9월에도 업계 최초 ‘신용생명지수 할인 특약’을 담은 ‘신용케어 대출안심 보장보험 무배당’을 출시하기도 했다.
[사진 메트라이프생명]

메트라이프생명은 지난해 6월 IBK기업은행과 함께 모바일 방카슈랑스 상품인 ‘e수술보장 대출상환 신용보험’을, AIA생명은 ‘아파도 카드 값 걱정 없는 건강보험’을 내놨다. AIA생명 상품은 삼성카드에서 카드 대출을 받은 피보험자가 사망한 경우 AIA생명이 삼성카드에 e대신 채무를 변제하는 신용보험이다.

이밖에 신한EZ손해보험은 사망 또는 50% 이상 후유장해 시 자동차할부금을 대신 상환하고 남은 보험금은 위로금으로 지급하는 ‘행복두배대출상환보험’을 판매 중이다.  

이처럼 보험사들이 은행대출, 카드대출, 자동차할부금 등을 대신 변제해주는 신용보험을 판매 중이지만 판매량은 미미한 수준이다.  

보험업계에 따르면 판매이력이 가장 오래된 카디프생명의 신용보험 판매건수는 2019년 약 7000여건, 2020년에는 5000여건 정도로 알려졌다. 2021년부터 대출 플랫폼 핀다와 손을 잡으며 가입건수가 2만건을 넘어섰지만 전체 시장규모로 보면 여전히 미미하다는 것이 업계자들의 시각이다.

보험사 한 관계자는 “2020년부터 코로나19가 본격화되며 신용보험 가입자가 늘었다”며 “대형사들이 이 시장에 뛰어들지 않고 일부 중소형사들만 신용보험을 팔다보니 많은 가입자가 해당 상품의 존재 자체를 모르는 실정”이라고 설명했다.  

해외는 활성화됐는데...국내는 규제 탓 지지부진

[자료 보험연구원]

현재 미국과 캐나다, 일본 등에서는 신용보험이 매우 활성화된 상태다. 신용보험이 부채관리에 효율적이다보니 당국이 적극적으로 시장 활성화를 유도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일본은 생명보험 시장 내 전체 단체계약 중 신용생명보험이 차지하는 비중이 약 절반 수준일 정도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은행이 규제 위반을 이유로 신용보험 판매에 적극 나서지 못하며 활성화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은행에서 대출을 실행하며 신용보험을 판매하는 영업 행위가 해석에 따라서 현행 규제를 어기는 상황이 될 수 있어서다.  

이에 국내 보험사들도 신용보험을 은행보다는 모바일, 보험대리점(GA) 등 다른 채널에서 주로 판매하는 중이다. 메트라이프생명이 2017년 신용보험 판매를 중단했다가 최근에야 다시 재판매에 나선 것도 당시 국내 규제 상황에 한계를 느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금융사 입장에서는 고객 대출 실행 시 신용보험을 함께 연계해 팔면 유용하다. 고객 역시 대출 실행 시 신용보험에 함께 가입하는 것이 편리하지만 이는 ‘금융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상 불공정 영업행위로 간주될 우려가 있다. ‘든든한 보험이 있으니 대출을 받으라’라는 불공정 대출 권유로 해석될 수 있다는 얘기다.  

또한 대출고객이 신용보험에 가입하면 은행은 신용위험이 감소해 이에 대한 보상을 제공하는 경우가 있다. 이때 은행이 고객에게 대출금리 인하나 대출한도 확대와 같은 혜택을 제공할 경우 이는 보험업법에서 금지하는 ‘특별이익제공’으로 해석될 우려도 있다. 아울러 개인계약의 경우 은행 내 대출 창구와 보험가입 창구가 분리돼 대출 직원의 상품 판매·안내가 원활하지 않은 실정이다.

은행권 한 관계자는 “신용보험의 보험료가 소액이라 보험사 상품을 팔아도 은행이 가져가는 수수료가 많지 않다”며 “판매에 따른 규제 위반 우려, 고객 민원 등의 리스크는 크다보니 신용보험 판매에 소극적일 수밖에 없는 것”이라고 밝혔다.  

보험업계에서는 단순히 보험사의 이윤 추구 때문이 아니라 은행의 대출금 회수 리스크 하락, 금융소비자들의 안정적 대출 관리 등의 이유로 신용보험 판매가 보다 활성화돼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인다. 요즘처럼 가계대출이 불어나는 상황에서 금융사와 소비자 모두에게 필요한 보험이면서 정부도 가계부채 문제에 대처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는 얘기다.

이와 관련 보험연구원은 지난해 9월 신용생명보험과 관련된 연구 보고서를 냈고 메트라이프생명은 지난해 말 IBK기업은행과 함께 ‘신용생명보험 판매 활성화를 위한 간담회’를 열기도 했다.  
이항석 성균관대 교수는 “질병, 사고, 해고 등으로 인한 소득상실의 위험은 여전해 신용생명보험의 수요는 꾸준히 증가할 수밖에 없다”며, “보험사, 은행, 연구기관이 유기적으로 협력해 판매모델과 상품을 개선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뉴욕 밀치기 범죄 공포…서울 지하철 스크린도어 ‘최고’

2'감기 증세랑 비슷' 조류인플루엔자 공포…캄보디아서 20대 남성 사망

3LA 산불로 88조원 손실 추정…‘박찬호’ 자택도 전소

4"양자컴퓨터 발언 의미는…" 젠슨 황 발언, 돌려서 지적?

5성폭행 실패하자 흉기로…도주한 20대 군인 구속

6 제주항공 사고기 음성기록장치, 충돌 4분 전부터 “저장 無”

7부부 연기가 현실로...20년 만에 재결합 “묘한 인연 느껴”

8‘탄핵 딱 질색이니까’ 노래 부르는 윤대통령 등장 ‘화들짝’

9속도가 도시를 바꿀까

실시간 뉴스

1뉴욕 밀치기 범죄 공포…서울 지하철 스크린도어 ‘최고’

2'감기 증세랑 비슷' 조류인플루엔자 공포…캄보디아서 20대 남성 사망

3LA 산불로 88조원 손실 추정…‘박찬호’ 자택도 전소

4"양자컴퓨터 발언 의미는…" 젠슨 황 발언, 돌려서 지적?

5성폭행 실패하자 흉기로…도주한 20대 군인 구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