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부동산PF, 2금융권이 불안하다…미분양 급증하는데

2금융권 부동산PF 익스포저, 115.5조 사상최대 기록
건설사 부실 위험은 높아져


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의 모습.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김다운 기자] 여신전문회사(카드사·캐피탈사), 저축은행, 보험사 등 2금융권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익스포저(위험노출액)가 급증하며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26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9월 말 현재 보험·증권·여전사·저축은행·상호금융 등 2금융권 금융사의 부동산 PF 익스포저 규모가 115조5천억원에 달했다. 이 중 대출이 91조2천억원, 채무보증이 24조3천억원이었다.

2017년 말 익스포저 수준을 100으로 가정했을 때, 현재 업권별 익스포저를 지수로 환산하면 ▲ 여신전문금융사 432.6 ▲ 저축은행 249.8 ▲ 보험사 204.8 ▲ 증권사 167.0으로 집계됐다.

5년 전보다 익스포저가 각 4.33배, 2.50배. 2.05배, 1.67배로 급증했다는 뜻이다.

연체율 상승세도 가파르다. 증권사의 부동산PF 대출 연체율은 2021년 말 3.7%에서 작년 9월 말 8.2%로 2.2배 증가했다.

같은 기간 여신전문금융사의 연체율은 0.5에서 1.1%, 저축은행은 1.2에서 2.4%, 보험사는 0.1%에서 0.4%로 급등했다.

한은은 최근 금융안정보고서에서 "PF 대출과 대출유동화증권이 부실화될 가능성에 대비해 비은행권의 부동산 PF 리스크 관리에 한층 더 유의해야 한다"며 "민간 중심의 원활한 구조조정 여건을 마련해 부실 우려 PF사업장의 정리 지연에 따른 불확실성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도 지난 24일 "금융당국 입장에서는 (부동산PF와 관련해) 너무 쏠림이 생기거나 일시에 리스크가 발생해 특정 기업·건설사의 '트리거 포인트'로 작용하지 않도록 리스크 분산 노력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건설사 부실위험기업 높아져

부동산 경기 악화로 건설기업의 부실 위험은 높아진 상황이다.

전국 미분양주택은 2021년 7월 1만5000호에서 지난 1월 7만5000호로 5배 증가했다.

한국은행의 ‘금융안정상황’에 따르면, 지방의 중소 건설기업 중 한계기업 비중이 지난 2018년 8.2%에서 지난해 16.7%로 두 배 이상 늘어났다. 부실위험기업 비중 역시 같은 기간 11.4%에서 12.8%까지 늘어난 것으로 추정했다. 

한계기업은 3년 연속 영업이익만으로 이자비용을 감당하지 못한 기업을, 부실위험기업은 부실위험이 5%를 초과하는 기업을 의미한다.

부채비율과 부실위험도 동반 상승했다. 지난 3분기 말 기준 상장 건설기업의 부채비율은 107.9%로 2021년 말(97.4%)보다 10.5%포인트 상승했으며 부실위험은 0.613%로 2021년 말(0.603%)에 비해 소폭 상승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오피스텔 마지막 규제, 바닥 난방도 허용…생숙→오피스텔 전환 지원

2농심 오너家 신상열, 상무→전무 승진...3세 경영 속도

3MBK, 10년 내 고려아연 팔까…경영협력계약 ‘기한’ 명시 없어

4GS리테일 4세 허서홍 시대 열린다...오너가 세대 교체

58억 아파트, 6700억으로 '껑충'…손해만 봤다, 왜?

6이재현 CJ 회장 “마지막 기회 절실함” 당부…인사 이틀만에 소집

710조 대어 놓친 韓조선, ‘원팀’ 물꼬 튼 한화오션·현대重

8한동훈 "가상자산은 청년들의 희망, 힘겨루기 할 때 아냐"

9오데마 피게, 서울 첫 플래그십 스토어 그랜드 오프닝

실시간 뉴스

1오피스텔 마지막 규제, 바닥 난방도 허용…생숙→오피스텔 전환 지원

2농심 오너家 신상열, 상무→전무 승진...3세 경영 속도

3MBK, 10년 내 고려아연 팔까…경영협력계약 ‘기한’ 명시 없어

4GS리테일 4세 허서홍 시대 열린다...오너가 세대 교체

58억 아파트, 6700억으로 '껑충'…손해만 봤다, 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