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서울 아파트값 4주 연속 낙폭 둔화…연착륙 ‘봄날’ 이어질까

경기·인천도 하락 줄어…하남 아파트값 1년5개월 만에 상승
인기단지 급매물 소진되며 호가 상승…“거래는 아직 활발하지 않아”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시내 아파트 모습. [사진 연합뉴스 ]

[이코노미스트 마켓in 이승훈 기자] 최근 급매물 소진 지역이 늘면서 서울 아파트값 하락 폭이 4주 연속 둔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용산구 아파트값은 9개월 만에 하락세를 멈췄고, 강남·서초구 등 강남지역 아파트값은 상승세가 이어졌다. 부동산 시장 연착륙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도 조심스럽게 나오고 있다. 

4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이번 주 서울 아파트값은 0.05% 내려 지난주(-0.07%)보다 낙폭이 둔화했다. 4월 둘째 주부터 4주 연속 내림 폭이 줄어드는 형국이다.

용산구 아파트값은 작년 8월 둘째 주(0.00%) 이후 9개월 만에 처음 하락을 멈추고 보합 전환했다. 또 강남구(0.03%)와 서초구(0.02%)는 각각 2주와 3주 연속 상승했다. 노원구도 0.02% 뛰어 2주 연속 오름세를 기록했다.

부동산원 관계자는 “지역별 주요 인기 단지 위주로 급매물이 소진되면서 호가가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매수, 매도자 모두 급할 게 없다는 입장이어서 거래가 활발한 것은 아닌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주까지 보합 내지 상승했던 송파구와 강동구 아파트값은 이번 주 나란히 소폭(-0.01%) 하락했다.

인천을 비롯한 경기도 지역 아파트도 소폭 상승했다. 인천은 지난주 -0.03%에서 이번 주 -0.01%로 낙폭이 줄었다. 이 가운데 연수구는 0.02% 올라 3주 연속 상승했고, 계양구(0.05%)와 서구(0.08%), 중구(0.05%) 등도 아파트값이 올랐다. 격이 많이 떨어진 저가 매물들이 팔려나간 뒤 호가가 좀 더 높은 매물들이 남은 영향으로 분석된다. 

경기도(-0.15%)에서는 반도체 특수를 누리고 있는 용인 처인구(0.28%)의 남사·이동읍 등 개발예정지 위주로 강세를 보였다. 오산(0.06%)과 평택(0.05%)도 2주 연속 상승했다.

하남시는 최근 위례신도시와 구도심 주요 단지의 호가가 오르면서 이번 주 0.04%로 상승 전환했다. 하남시 아파트값이 오른 것은 2021년 12월 셋째 주(0.04%) 이후 약 1년 5개월 만에 처음이다. 전국 아파트값은 0.09% 내려 지난주(-0.11%)보다 하락 폭이 감소했다.

전셋값은 여전히 약세가 이어지고 있지만 낙폭은 줄어드는 추세다. 전국은 지난주 0.18%에서 이번 주 0.13%로, 서울은 지난주 -0.13%에서 -0.11%로 하락 폭이 둔화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전문가가 말하는 환율 전망 “2분기 중 다시 하향 안정화”

2"노비도 대감집이 최고"…늘어나는 대기업 근속연수, 1위는?

3 이재명 "인생서 보복한 적 한번도 없다"…국힘 "섬뜩해"

4IBK기업은행, 군 간부 전용 우대 상품 6종 출시

5알PDF’ 모바일 버전 정식 출시... 알툴즈 모바일 생태계 확장

6안전문화 확산하는 제주항공, ‘항공안전체험교실’ 운영

7삼성SDS,‘Industry Day’ 열고, 제조 기업의 미래 제시

8생고기 용달차에 '철푸덕'…백종원 페스티벌 위생논란 '내사'

9日 여행사 초청한 대한항공...주요 시설 견학 행사 진행

실시간 뉴스

1전문가가 말하는 환율 전망 “2분기 중 다시 하향 안정화”

2"노비도 대감집이 최고"…늘어나는 대기업 근속연수, 1위는?

3 이재명 "인생서 보복한 적 한번도 없다"…국힘 "섬뜩해"

4IBK기업은행, 군 간부 전용 우대 상품 6종 출시

5알PDF’ 모바일 버전 정식 출시... 알툴즈 모바일 생태계 확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