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카카오 평균연봉 1억3000만원대...카카오, 400만원 앞서
3년 연속 카카오가 네이버 직원 평균 급여 앞질러

[이코노미스트 박지윤 기자]지난해 네이버와 카카오의 1인당 평균 급여액이 1억3000만원대인 것으로 집계됐다. 카카오가 네이버보다 약 400만원 앞선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카카오와 네이버의 직원 평균 급여액은 각각 1억3900만원과 1억3449만원을 기록했다. 이는 등기 임원을 제외한 전체 직원의 주식매수청구권(스톡옵션) 행사 차익을 반영한 평균치다.
카카오가 네이버 평균 급여보다 약 400만원 앞선 것으로 조사됐다. 카카오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이 본격화한 2020년부터 3년 연속으로 네이버 직원 평균 연봉을 제쳤다.
카카오 임직원 평균 연봉은 2019년 8000만원에서 2020년 1억800만원, 2021년 1억7200만원, 지난해 1억3900만원을 기록했다. 네이버는 2019년에는 8400만원으로 카카오보다 높았지만, 2020년 1억248만원, 2021년 1억2915만원, 1억3449만원으로 3년 연속 뒤쳐졌다.
이는 코로나19로 최근 3년 동안 빅테크에 자본이 급격히 쏠리며 매출이 폭발적으로 늘어난 가운데 네이버보다 카카오가 인건비에 좀 더 공격적인 투자를 단행한 결과로 분석된다. 실제 카카오 인건비는 2020년 9119억원에서 지난해 1조6871억원으로 7700억원 이상 늘었다.
카카오와 네이버의 임금 격차는 올해 더 벌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 퇴직한 남궁훈 카카오 당시 대표는 당해 연봉을 15%, 올해 연봉을 6% 올리기로 노조와 합의했다. 네이버 노사는 올해 임금을 4.8% 올리는 데 잠정 합의했다.
주식매수청구권 행사 차익 등을 제외한 평균 급여에서는 네이버가 카카오를 앞섰다. 또 네이버의 임직원 평균 연봉은 꾸준히 오름세를 보이지만, 카카오는 지난해 전년 대비 19.2%(3300만원) 내려갔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미중 통상 전쟁 불똥 K-배터리에도…中 기업과 합작 지연·취소 이어져
2한화 금융계열사, 대전서 ‘라이프플러스 브랜드 데이’ 연다
3美 관세 충격에도…한은, 기준금리 2.75% 동결 ‘숨 고르기’
4코스피, 기준금리 동결에 상승 전환…기관 매수에 2460선 회복
5KB증권, 해외주식 타사대체 입고 이벤트 실시
6삼성증권, 블룸버그 WTI원유 선물 추종 ETN 3종 상장
7설화수, 美 최대 백화점 체인 '메이시스' 입점...럭셔리 뷰티 시장 공략
8'손흥민 빵' 나온다...파리바게뜨, 토트넘 관련 제품 출시
9비트코인, 1억2000만원대 횡보세…뉴욕증시 급락에 가상자산 전반 약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