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 금리’ 떨어지더니…서울 아파트값 6주째 낙폭 감소
서울 아파트값 이번주 0.01% 하락 그쳐
인천 아파트값, 1년 4개월 만 상승 전환
전세값 하락세도 약해져

18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이번 주 서울 아파트값은 지난주 대비 0.01% 내리는 데 그치며 전주의 0.07%포인트 하락에 비해 하락폭이 둔화했다. 특히 하락폭 둔화는 6주 연속 계속되고 있다.
강남구와 서초구는 이번주에 각각 0.10% 올랐다. 두 지역은 지난주 각각 0.01%, 0.02% 상승했는데 이번주 들어 상승폭이 확대됐다.
또 송파구는 지난주 0.08%에서 이번주 0.11%로, 강동구는 0.02%에서 0.06%로 오름 폭이 커졌다. 용산구도 0.01%에서 0.05%로 오름폭이 커졌고 강동구는 0.02%에서 0.06%로, 노원구는 0.05%에서 0.07%로, 동작구는 0.02%에서 0.06%로 상승폭이 확대됐다.
인천의 경우 지난주 보합에서 이번주 0.03% 올랐다. 이는 지난해 1월 24일 0.02% 상승 이후 약 16개월 만의 상승이다.
경기 역시 0.04%에서 0.02%로 하락폭을 줄였다. 과천시와 성남시 분당구 아파트값이 각각 0.03% 상승 전환했다. 용인과 화성, 오산 평택이 각각 0.12%, 0.18%, 0.09%, 0.03% 상승했다.
지방에서는 세종시가 0.22% 올라 6주 연속 상승했다. 다만 상승폭은 전주의 0.39%보다 줄었다.
전세시장도 전세 수요 증가로 가격 하락폭이 줄었다.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0.06% 떨어져 지난주 0.07% 하락보다 감소세가 줄었고, 강남구의 아파트 전셋값은 0.02% 올라 전주의 0.07% 상승에 이어 2주 연속 올랐다. 송파구는 0.06% 상승했는데, 4주 연속 상승세다.
강동구는 0.02% 올라 상승 전환했고, 양천구와 영등포구는 보합을 기록했다.
이번 아파트값 상승세는 은행의 주택담보대출 금리 하락에 따라 대출자의 이자부담이 약해진 영향으로 분석된다.
KB국민은행·신한은행·하나은행·우리은행·NH농협은행 등 5대 은행의 주담대 변동금리는 5월 16일 기준으로 하단이 3%후반대로 떨어졌고, 고정형(혼합형) 주담대 금리 하단은 3.64%로 3%대 중반을 향하고 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트럼프發 훈풍에 코스피 5% 급등…사이드카 발동
2 이재명, 대선 출마 선언 "진짜 대한민국 만들겠다"
3'13남매' 남보라 "최소 3명 낳고 싶은데"..'충격' 소식 전해졌다
4'음주운전 3번' 리쌍 길 "나락간 연예인? 마음 아파"
5이민정, ♥이병헌과 통화하며 식은땀 흘린 사연...왜?
6미래에셋증권, 홍콩거래소 ‘HKEX 어워즈’ 수상
7트럼프發 관세 유예 훈풍…원/달러 환율 하루 만에 40원 '뚝'
8볼보·벤츠 포함 수입차 11만대 리콜…사고기록 오류부터 화재 위험까지
9코빗, 24시간 원화 입출금 서비스 전면 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