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원자력연, 공식자료서 “오염수, 희석 전엔 못 마셔”

“희석후 오염수는 WHO 삼중수소 음용 기준보다 낮아”

한국원자력연구원 정문[한국원자력연구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한국원자력연구원 정문.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마켓in 이승훈 기자] 한국원자력연구원은 최근 웨이드 앨리슨 영국 옥스퍼드대 명예교수의 다핵종제거설비(ALPS)로 거른 처리수 음용 가능 발언과 관련, 공식 입장을 통해 이 발언이 원자력연과 무관하며 희석 전 오염수는 식수로 적합하지 않다고 밝혔다. 

2일 과학계에 따르면 원자력연은 홈페이지에 이런 내용의 보도자료를 게시했다.

원자력연은 “지난달 15일 원자력연이 한국원자력학회와 공동 개최한 기자간담회에서 앨리슨 교수가 후쿠시마 오염수와 관련해 발언한 내용은 교수 개인 의견으로 연구원의 입장과는 무관하다”고 말했다. 

원자력연은 해당 기자간담회의 주제는 ‘탄소중립 시대 원자력 에너지의 필요성’ 등으로, 후쿠시마 오염수를 논하는 자리가 아니었다고 해명했다. 간담회 준비 과정에서 앨리슨 교수를 초빙한 것은 원자력협회고, 원자력연은 비용만 부담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입장 표명은 지난달 24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전체회의에서 관련 논란에 대한 질의가 이어지자 주한규 원자력연구원장이 오염수를 상시 음용하면 안 된다는 보도자료를 낼 예정이라고 밝힌 지 일주일여 만에 나온 것이다.

앨리슨 교수는 당시 간담회에서 후쿠시마 오염수 위험성이 과장됐다며 “지금 후쿠시마 앞 다핵종제거설비(ALPS)로 처리한 1리터(ℓ) 물이 내 앞에 있다면 마실 수 있다”면서 “만약 그런 물을 1ℓ 마신다고 해도 계산하면 방사능 수치가 자연적 수치 대비 80% 추가로 오르는 것뿐”이라며 처리수가 안전하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원자력연은 희석 전 오염수 삼중수소 농도는 평균 ℓ당 62만 베크렐(㏃)로 상시 음용하는 식수로 적합하지 않다고 확인했다. 세계보건기구(WHO)의 음용수 기준은 ℓ당 평균 1만㏃이다.

원자력연은 앞서 일본이 발표한 대로 ALPS로 처리된 오염수를 바닷물로 100배 이상 희석하면 WHO 음용수 기준보다 삼중수소 농도가 낮아진다고 덧붙였다. 원자력연은 “일본이 희석해 방류할 오염수의 삼중수소 농도는 ℓ당 평균 1500㏃ 이하”라고 설명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유흥가·골프장 인근 음주운전 집중 단속..."걸리면 차량 압수"

2'저출산을 막아라'...정부, 인구전략기획부 만든다

3임영웅, "마음이 드릉드릉" 말 한마디 했다가 곤욕

4정부, '소부장 핵심 기술' 육성 위해 700억 투입

5NH농협카드 “NH페이로 해외QR결제하고 15% 즉시할인 받으세요”

6美 전기차 시장서 테슬라 점유율 '뚝뚝'...현대·기아 '쑥쑥'

7신한카드, ‘제1기 쏠트래블 대학생 해외 원정대’ 발대식 개최

8日 새 지폐 인물에 '일제강점기 침탈 장본인'...서경덕 "역사 수정하려는 꼼수"

9멀쩡한 사람을 성범죄자로 오인..."화성동탄경찰서장 파면하라"

실시간 뉴스

1유흥가·골프장 인근 음주운전 집중 단속..."걸리면 차량 압수"

2'저출산을 막아라'...정부, 인구전략기획부 만든다

3임영웅, "마음이 드릉드릉" 말 한마디 했다가 곤욕

4정부, '소부장 핵심 기술' 육성 위해 700억 투입

5NH농협카드 “NH페이로 해외QR결제하고 15% 즉시할인 받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