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지주 ‘깜깜이’ CEO 승계 불가능…이사회 독립성도 강화
금감원 ‘은행지주·은행 지배구조에 관한 모범관행’ 마련
CEO 선임 및 승계절차 문서화하기로
이사회 독립성 위해 지원 조직도 경영진과 분리

금융감독원은 12일 이런 내용을 토대로 ‘은행지주·은행 지배구조에 관한 모범관행(best practice)’을 마련한다고 밝혔다.
이번 모범관행은 ▲CEO 선임 및 승계절차(10개) ▲이사회 구성의 집합적 정합성·독립성 확보(9개) ▲사외이사 지원조직 및 체계(6개) ▲이사회 및 사외이사 평가체계(5개) 등 크게 4분야로 나누고 세부적으로 총 30개 핵심원칙으로 제시됐다.
CEO 선임 및 승계절차와 관련해 금감원은 CEO 후보군 관리·육성부터 최종 선정까지 포괄하는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승계계획을 마련하고 이를 문서화하는 원칙을 내놨다.
이 원칙에 따라 금융그룹은 CEO 선임 및 경영승계 절차와 관련해 면밀한 평가와 검증이 가능하도록 최소 임기 만료 3개월 전부터 경영승계 절차를 개시하도록 명문화해야 한다. 단계별 최소 검토 기간도 둬야 한다.
공정성을 높이기 위해 외부 후보군을 포함할 시 자격요건이나 추천 경로, 절차 등을 명확히 해야 한다. 아울러 평가 방법이나 시기가 이들에게 불리하지 않은 방안을 마련하도록 했다.
이사회 구성원과 관련해서도 특정 전문분야나 직군·성별의 최소 인력 수, 목표 비율을 중장기 계획으로 설정해야 한다. 여성이나 학계 밖 출신의 사외이사 비중을 늘려 사외이사의 다양성도 높이도록 했다.
사외이사 지원 조직을 경영진과 분리해 독립성도 높이기로 했다. 또 경영진이 참여하지 않는 사외이사만의 간담회를 운영할 수 있도록 했다.
이사회 및 사외이사의 평가체계도 강화한다. 이사회 소위원회, 사외이사 활동에 대해 외부 전문기관 활용 등을 통해 연 1회 이상 주기적으로 평가를 실시하고, 평가 결과를 사외이사 재선임과 연계하는 한편 세부 내용을 공시해야 한다.
금감원은 이번 지배구조 모범관행 최종안과 관련해 은행의 특성에 적합하도록 자율적 개선을 유도할 방침이다. 각 금융그룹과 은행은 과제별로 이사회 논의를 거쳐 개선 로드맵을 마련해야 한다.
금감원은 금융위원회와 협의해 내년 1분기 중 규정을 개정하고, 모범관행 최종안을 추후 지배구조 관련 감독과 검사 가이드라인으로 활용하기로 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삼성맨 평균 연봉, 얼마일까?"...지난해 7% 올라 ‘억 소리’
2데이원컴퍼니‧아이지넷 주가 하락 지속…환매청구권 부담 커지나
3한국게임산업협회, 조영기 전 넷마블 대표 신임 협회장 추대
4“100주 있으면 45만원 받는다”…삼성생명 배당금 역대 최대
5트럼프의 ‘심야 트윗’에 잠 못 드는 미국·유럽 투자자들, 왜?
6재무상담 원하는 MZ 세대 주목…예산 5억원 투입
7“삼겹살이 890원?”...오픈 직후 사람들 몰렸다
8에어비앤비 공동 창업자, LA 산불 피해 주민에 조립식 주택 기부
9현대차 제일 잘 파는 사람, ‘대전’에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