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잔치’ 비판에 은행권 희망퇴직금 덜 준다…최대 31개월치 지급
희망퇴직 조건·성과급 규모 예년比 대폭 축소
4대 은행 희망퇴직 내년 1월 중 마무리 예정
[이코노미스트 마켓in 송재민 기자] 은행권이 고금리 시기 ‘이자 장사’로 돈을 벌어들이고 성과급 잔치를 벌인다는 비판에 희망퇴직 조건을 예년보다 대폭 축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임금의 400%까지 나눠줬던 직원 성과급도 올해에는 규모를 축소하는 분위기다.
31일 은행권에 따르면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모두 희망퇴직 조건이 1년 전보다 나빠졌다.
국민은행은 지난 29일부터 내년 1월 3일까지 희망퇴직 신청을 받는다. 희망퇴직 대상은 1972년생부터이며, 특별퇴직금으로 근무 기간 등에 따라 18∼31개월 치 급여를 지급한다. 1년 전(23∼35개월)보다 특별퇴직금이 줄었다.
우리은행도 지난 29일부터 희망퇴직 신청을 받고 있다. 1968년생에게는 월평균 임금 24개월 치를, 1969년 이후 출생자부터는 31개월 치를 특별퇴직금으로 지급한다. 1년 전에는 1967년생에게 24개월 치, 1968년 이후 출생자에게는 36개월 치를 특별퇴직금으로 줬다.
지난 28일부터 신청을 받는 하나은행(최대 36개월 치→최대 31개월 치)과 지난 15∼20일 신청을 받은 신한은행(최대 36개월 치→최대 31개월 치)도 조건이 나빠진 것은 마찬가지다.
NH농협은행은 지난달 21일부터 23일까지 희망퇴직 신청을 받았으며, 오는 31일 372명의 직원이 퇴직한다. 농협은행은 특별퇴직금으로 만 56세 직원에게 28개월 치 임금을, 일반 직원에게 20개월 치 임금을 지급한다. 1년 전보다 특별퇴직금 조건(56세 28개월 치, 일반직원 20∼39개월 치)과 퇴직 인원(493명)이 모두 줄었다.
4대 은행의 희망퇴직은 대부분 내년 1월 중 마무리될 예정이다.
앞서 올해 1월에는 KB국민은행에서 713명, 신한은행에서 388명, 하나은행에서 279명, 우리은행에서 349명이 희망퇴직 형태로 은행을 떠났다.
은행권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고금리 기조 덕분에 이자 이익이 늘면서 역대급 실적을 냈다. 금융감독원 금융통계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올해 3분기까지 5대 은행의 누적 순익은 약 11조3천282억원으로 작년 같은 기간(약 10조759억원)보다 12.4% 증가했다.
이렇듯 실적은 지난해보다 좋아졌음에도 희망퇴직 조건이 나빠진 것은 고금리 시기 은행에 대한 비판적 여론을 의식한 것으로 해석된다.
은행은 이런 상황을 고려해 임금인상률과 성과급을 줄이는 분위기다.
은행권 임금인상률은 지난해 3.0%에서 1.0%포인트(p) 낮은 2.0%로 결정됐다. 국민, 하나, 우리은행은 아직 임단협을 진행 중이지만 역시 지난해보다 성과급 규모를 줄일 것으로 보인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실적이 좋아진 것은 맞지만, 여론 등 눈치를 볼 수밖에 없는 분위기”라며 “노사가 조금씩 양보한 것 같다”고 전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최태원은 ‘한국의 젠슨 황’…AI 물결 탄 SK하이닉스 “우연 아닌 선택”
2서울지하철 MZ노조도 내달 6일 파업 예고…“임금 인상·신규 채용해 달라”
3인천시 “태어나는 모든 아동에게 1억 준다”…출생아 증가율 1위 등극
4경기둔화 우려에 ‘금리 인하’ 효과 ‘반짝’…반도체 제재 우려↑
5얼어붙은 부동산 시장…기준금리 인하에도 한동안 ‘겨울바람’ 전망
6연간 1000억? 영풍 환경개선 투자비 논란 커져
7 야당, '예산 감액안' 예결위 예산소위서 강행 처리
8‘시총 2800억’ 현대차증권, 2000억원 유증…주가 폭락에 뿔난 주주들
9삼성카드, 대표이사에 김이태 삼성벤처투자 사장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