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하버드대, 트럼프 정책에 반기…13조원 지원 포기 왜?
캠퍼스 내 反유대주의 근절 요구 거부키로…"독립성 훼손 안될 말"

14일(현지시간) 미국 현지 유력 매체 월스트리트저널(WSJ)과 CNBC 방송 등의 보도에 따르면, 앨런 가버 하버드대 총장은 교내 커뮤니티에 보낸 성명을 통해 “우리 대학은 독립성이나 헌법상 보장된 권리를 놓고 협상하지 않을 것”이라고 선언했다. 그러면서 “그 어떤 정부도 사립대학이 무엇을 가르칠 수 있는지, 누구를 입학시키고 고용할 수 있는지, 어떤 연구와 탐구 분야를 추구할 수 있는지 지시해서는 안 된다”고 덧붙였다.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11일 하버드대에 보낸 공식 서한을 통해 ▲모든 DEI(다양성·형평성·포용성) 프로그램 폐지 ▲교수진 채용 관련 데이터 감사 수용 등 9가지 조치를 요구했다. 특히 트럼프 행정부는 대학 내 반유대주의 확산 근절을 명분으로 중동학과 폐지 등 학문 구조 개편까지 압박하고 있다. 지난달 에는 하버드의 연방 계약금 약 2억5600만달러(3639억원)과 수년에 걸쳐 지원을 약속한 87억달러(약 12조3671억원)를 재검토하고 있다고도 발표했다.
가버 총장은 트럼프 행정부의 이와 같은 정책에 정면으로 반박했다. 그는 "미 정부에서는 우리에게 반유대주의에 맞서기 위한 활동을 요구하고 있다"면서, 관련 활동은 "적법한 절차를 무시하고 있으며, 대부분 대학에 대한 정부의 직접적 규제를 의미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하버드 교수진도 트럼프 행정부의 연방 자금 철회 위협에 대한 소송을 제기하는 등 적극적인 대응에 나섰다.
테드 미첼 미국교육협의회 회장은 “하버드대가 나서지 않았다면, 다른 대학들이 ‘희망이 없다’는 신호로 받아들였을 것”이라며 하버드대를 따라 “다른 대학들이 정부의 개입에 반대에 나설 것”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미국 명문 컬럼비아 대학교는 지난달 트럼프 행정부가 컬럼비아대에 4억달러(약 5686억원)의 연방 지원을 중단하자 중동학과에 특별 감독을 수용하고 캠퍼스 내 체포 권한까지 부여한 바 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트럼프 "중국, 우리 돈 필요해"…中 "반격 조치 정당"
2SK하이닉스, 올해 두 번째 생산직 인력 채용 실시
3무역분쟁 고조에 매출 꺾인 LVMH…더 비싼 에르메스 시총 1위
4우아함은 ‘오프로드’로, 속도는 ‘서킷’으로…제네시스가 美서 내놓은 해답
5OKX 미국 진출 본격화…벌금 합의 후 거래소·지갑 서비스 론칭
6최상목 “관세협상 서두르지 않겠다…새정부가 최종결정"
7“1000일 됐어요” 해외여행 필수템 된 ‘이 서비스’
8코스피 상장사 배당금 30조원…밸류업 법인 '앞장'
9국제당뇨병연맹 "당뇨병 환자 10명 중 4명, 진단 안 받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