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사장실은 대나무숲, 경영 혁신은 청취에서 시작합니다”[C-스위트]

[CEO의 방] 김영태 코레일유통 대표
‘공간’…같이할 공(共), 사이 간(間)
딱딱한 공공기관에 소통 불어넣은 전문가
“자리를 바꿔서야 내가 제대로 보입니다”

김영태 코레일유통 대표이사.[사진 신인섭 기자]
‘C-스위트’(C-SUITE)는 ‘CEO의 방’이라는 부제에서도 알 수 있듯이, CEO가 머무는 공간을 글과 사진으로 보여주는 콘텐츠입니다. 언제나 최적의, 최선의 선택을 해야하는 CEO들에게 집무실은 단순 업무를 보는 곳을 넘어 다양한 영감을 얻고 아이디어를 실현시키는 창의적인 공간이기도 합니다. 기업을 이끄는 리더의 비전과 전략이 탄생하는 공간, ‘C-스위트’에서 새로운 영감을 얻고 성공의 꿈을 키워나가시길 바랍니다. [편집자주]

[이코노미스트 김정훈 기자] 벽 한 쪽 면에 자리 잡은 ‘태극기 액자’와 검정 가죽으로 된 소파, 그리고 나무로 된 대형 테이블이 집무실 중앙에 자리해 있다. 그 위에는 대형 유리판이 덮여있고 유리판 속에는 해당 기관과 관련된 업무 자료들이 게시돼 있다. 김영태 코레일유통 대표이사의 집무실 첫인상은 우리가 흔히 떠올리는 공공기관장의 집무실 이미지 그대로다. 한마디로 ‘옛날 스타일’이다.  

하지만 김 대표의 경영 스타일은 완전히 ‘요즘 스타일’이다. 그는 “공기업 최고경영자(CEO)의 방은 개인 공간이 아니라 함께하는 공간”이라고 강조한다. 언제든 직원들이 드나드는, 열린 공간이라는 얘기다. 

김 대표는 과거 하이트진로와 한샘, 쿠팡 등에서 혁신 담당, 위기관리 총괄 등의 업무를 맡았고 윤석열 정부 대통령실 초대 국민소통관장을 지냈다. 그 누구보다 혁신과 소통에 능한 전문가다. 그리고 그의 집무실 곳곳에는 이런 김 대표의 생각이 잘 묻어있다.
집무실 책상 옆에 걸린 김일중(金一中)의 ‘대나무숲’. 자개를 이용해 만든 그림이다.[사진 신인섭 기자]

집무실 장식장을 채운 상장, 유니폼, 애견 사진.[사진 신인섭 기자]
김 대표 자리 옆에는 대형 대나무 그림이 걸려있다. 자개(가공한 조개껍데기)를 활용해 만들어진 그림이다. 그는 “사장실은 대나무숲이고 경영혁신은 청취에서 시작된다”고 말했다. 직원들이 언제든 이곳을 찾아 여러 현안에 대해 얘기하고 본인은 들어주는 데 최선을 다한다.

그가 직원들의 이야기를 경청하는 이유는 그것의 중요성을 매우 잘 알기 때문이다. 김 대표는 “커뮤니케이션의 기본은 듣는 것이고 혁신의 기본은 청취에서 시작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내가 ‘너의 고민과 너의 생각을 들어줄 거야’라고 하는 것은 소통의 시작이 될 수 있다”며 “듣는 행위는 매우 수동적인 행위 같지만 어쩌면 가장 적극적인 행위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4월 취임 당시 김 대표는 스스로 ‘최고청취책임자’(CLO·Chief Listening Officer)라는 표현을 썼다. 이후 ‘월간 CLO’란 이름으로 매월 임직원에게 보내는 편지글도 쓰고 있다. 직원들은 매월 운영되는 ‘열린사장실’ 프로그램을 통해 김 대표의 방을 찾기 시작했고 여러 가지 얘길 털어놓고 있다. 김 대표의 방이 코레일유통의 대나무숲인 셈이다. 

김 대표는 “청취 경영한다고 하니 직원들이 찾아와 이게 힘들고. 저게 힘들고 털어놓는 데 나도 모르게 나쁜 버릇처럼 솔루션(해결책)을 제시하고 있더라”라며 “너무 솔루션을 내다보니 진이 빠지는 경우도 있다”고 웃음 지었다.
집무실 화이트 보드에 붙여 놓은 ‘코레일유통 돌파 육천억’이라고 적은 붓글씨.[사진 신인섭 기자]

집무실 책상 옆 장식장 위에 놓인 ‘달에서 본 지구’.(Lever de Terre)[사진 신인섭 기자]
집무실 한편에 자리한 화이트보드에는 ‘코레일유통 돌파 육천억’이라는 문구가 붓글씨로 쓰여있다. 김 대표가 지난해 4월 취임 당시 붙여둔 글이다. 그리고 이 목표는 사실상 달성됐다. 코레일유통은 지난해 5992억원의 매출을 달성했다. 역대 최대 매출이다. 올해는 더 높은 실적이 예상된다. 김 대표는 취임 당시 이 글귀를 붙인 것에 대해 “목표가 높으면 이를 달성하기 위해 여러 노력을 기울이게 된다”고 했다. 

집무실 책상 옆 장식장 위에 놓인 ‘달에서 본 지구’(Lever de Terre) 작품이 눈에 띈다. 이 작품은 1969년 4월 11일, 아폴로11호의 조종사 버즈 올드린이 달 표면에서 찍은 지구의 사진이다. 일명 ‘지구돋이’라고 불린다. 역지사지의 자세로 소통하기 위한 김 대표의 각오가 담겼다. 김 대표는 “자리를 바꿔서야 내가 제대로 보인다”며 “내가 누구인지 알기 위해서는 나를 벗어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집무실 책상 위 물품들.[사진 신인섭 기자]

김영태 코레일유통 대표이사

김영태 대표는_서울 출생. 영일고, 서울대 경제학과를 졸업했다. 핀란드 알토대학 경영대학원, 카이스트(KAIST) 최고경영자 과정, 건국대 경제학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매일경제신문, 경인방송 기자로 활동했다. 인터넷미디어 코리아인터넷닷컴과 지능형 검색엔진 개발회사 케이랩을 설립, 경영했다. 하이트진로 혁신 담당 전무, 한샘 커뮤니케이션·위기관리 총괄 전무, 쿠팡 커뮤니케이션·CSR 총괄 부사장 등을 맡았다. 윤석열 정부 대통령실 초대 국민소통관장, 대외협력비서관을 역임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출산율 감소 걱정’ 머스크, 회사 임원과 3번째 아이 또 출산

2불닭, ‘매운 강도 심했나’…덴마크 리콜에 검색량 폭주

3테슬라 방전에 40도 폭염 속 20개월 아기 갇혀…“외부서 열리지 않았다”

4서울 아파트 1채, 지방 아파트 3채보다 더 비싸

5“의사 선생님, 삶이 너무 덧없습니다”…나는 이렇게 답했다

6‘대박 행진’ 게임 ‘나혼렙’으로 본 IP 확장성

7하이브의 큰 그림…아티스트 대신 ‘스토리 IP’에 집중

8IP 확장의 힘…‘美 상장’ 마지막 퍼즐 맞춘 네이버웹툰

91125회 로또 1등 ‘6·14·25·33·40·44’

실시간 뉴스

1‘출산율 감소 걱정’ 머스크, 회사 임원과 3번째 아이 또 출산

2불닭, ‘매운 강도 심했나’…덴마크 리콜에 검색량 폭주

3테슬라 방전에 40도 폭염 속 20개월 아기 갇혀…“외부서 열리지 않았다”

4서울 아파트 1채, 지방 아파트 3채보다 더 비싸

5“의사 선생님, 삶이 너무 덧없습니다”…나는 이렇게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