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새 반도체 수장에 전영현 부회장 임명…'반도체 신화 주역'
경계현 사장 자진 퇴진으로 전격 교체
"반도체 미래경쟁력 강화 위한 선제적 조치"
삼성전자, 한종희 대표이사 체제로 전환

삼성전자는 전영현 부회장을 디바이스솔루션(DS)부문장으로 임명했다고 21일 밝혔다. 삼성전자의 사장단 인사가 통상 연말에 이뤄졌던 것을 고려하면 이례적이라는 평가다. 삼성전자는 “불확실한 글로벌 경영 환경에서 대내외 분위기를 일신해 반도체의 미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선제적 조치”라고 설명했다.
전영현 신임 DS부문장은 삼성전자 반도체 신화의 주역으로 꼽히는 인물이다. LG반도체 출신인데 LG반도체가 현대전자에 합병되는 과정에서 자리를 옮겼다. 이후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로 입사해 D램·낸드플래시 개발, 전략 마케팅 업무를 담당했고 2014년부터 메모리사업부장을 역임했다.
2017년부터는 삼성SDI에서 5년간 삼성SDI 대표이사를 맡았다가 지난해 말 다시 삼성전자로 돌아왔다. 미래사업기획단에서 삼성의 미래 먹거리를 발굴하는 데 주력했다가 자신의 주 무대인 반도체 사업부로 금의환향한 셈이다.
삼성전자는 최근까지 반도에 업황 불황으로 고전해 왔다. 지난해에는 연간 14조 8000억원k에 달하는 적자를 내기도 했다.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분야에서는 글로벌 1위 기업인 대만의 TSMC와 격차를 좁히지 못하고 고대역폭 메모리(HBM) 사업에서는 SK하이닉스가 선전하고 있다. 올해 1분기에는 메모리 가격 상승 등에 힘입어 5분기 만에 흑자 전환에 성공했지만, 위기 터널을 지났다고 안심하기에는 이르다는 평가도 이어지고 있다.
회사 측은 “전 부회장은 삼성전자 메모리 반도체와 배터리 사업을 글로벌 최고 수준으로 성장시킨 주역”이라며 “풍부한 경영노하우를 바탕으로 반도체 위기를 극복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삼성전자는 내년 정기 주주총회와 이사회를 통해 전 부회장의 사내이사 및 대표이사 선임 절차를 진행할 계획이다.
경계현 사장, 미래 먹거리 발굴 집중
경계현 사장이 스스로 물러난 것은 최근 반도체 위기 속 돌파구를 마련을 위해서인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종전에 맡고 있던 SAIT(옛 삼성종합기술원) 원장직은 그대로 유지한다.
경 사장은 2020년부터 삼성전기 대표이사로 활동하며 적층세라믹커패시터(MLCC) 기술 경쟁력을 끌어올렸다는 평가를 받는다. 2022년부터 삼성전자 DS부문장을 맡아 반도체 사업을 총괄해 왔다. 삼성전자는 부문장 이하 사업부장 등에 대한 후속 인사는 검토되지 않았다고 전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삼성맨 평균 연봉, 얼마일까?"...지난해 7% 올라 ‘억 소리’
2데이원컴퍼니‧아이지넷 주가 하락 지속…환매청구권 부담 커지나
3한국게임산업협회, 조영기 전 넷마블 대표 신임 협회장 추대
4“100주 있으면 45만원 받는다”…삼성생명 배당금 역대 최대
5트럼프의 ‘심야 트윗’에 잠 못 드는 미국·유럽 투자자들, 왜?
6재무상담 원하는 MZ 세대 주목…예산 5억원 투입
7“삼겹살이 890원?”...오픈 직후 사람들 몰렸다
8에어비앤비 공동 창업자, LA 산불 피해 주민에 조립식 주택 기부
9현대차 제일 잘 파는 사람, ‘대전’에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