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점화된 ‘최저임금 차등 적용’ 논란…노사 간 충돌 치열
경영계 “현실 외면 ‘일률 최저임금’ 인상 관행 그만해야”
노동계 “최저임금 더 내려가면 고물가 시대 살 수 없어”
[이코노미스트 윤형준 기자] 내년 최저임금을 정하는 회의에서 노동계와 경영계가 업종별로 최저임금을 달리하는 방안을 두고 재차 강하게 충돌했다.
경영계는 '최저임금 수용성'을 들어 업종별 차등 적용이 필요하다고 주장했고, 노동계는 '임금 최저수준 보장과 근로자 생활안정'이라는 최저임금 취지를 고려해 차등 적용 주장을 중단하라고 요구했다.
27일 정부세종청사 최저임금위원회 대회의실에서 열린 제6차 전체회의에서 최저임금 업종별 차등 적용 논의가 본격화했다.
사용자위원인 류기정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 전무는 "현재 최저임금은 적정 상한선인 중위임금 60%를 넘어서 중위임금의 65.8% 수준"이라며 "일부 업종에서는 최저임금이 중위임금의 90%에 육박한다"고 지적했다.
류 전무는 "숙박과 음식업 등을 위주로 현재 최저임금도 감당하기 어렵다는 목소리가 커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현실을 외면한 채 업종 구분 없이 일률적으로 최저임금을 인상한 관행을 이제는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다.
다른 사용자위원인 이명로 중소기업중앙회 인력정책본부장은 최저임금 차등 적용 시 노동계가 우려하는 점 중 하나인 '적용업종 구인난'에 대해 "구인난이 발생했다는 것은 경영 상황이 괜찮다는 뜻으로, 그런 기업은 최저임금과 관계 없이 적정 수준 임금을 지급해 구인난을 해결할 수 있다"고 반박했다.
경영 상황이 좋은 대기업이나 우량 중소기업도 업종에 따라 차등 적용 대상이 되면서 낮은 최저임금이 적용될 수 있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그런 기업은 (차등 적용) 대상에서 제외하면 된다"고 했다.
이 본부장은 "기업의 지불능력이 낮아지는 건 근로자 노동생산성과 경영자 경영생산성이 낮은 결과로, 노사 공동책임인데 사용자만 책임지는 것은 불합리하다"라면서 "(차등 적용으로 낮은 최저임금을 받게 되는) 근로자 생활수준 보장은 정부가 근로장려세제 등 사회복지정책으로 해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근로자위원인 이미선 민주노총 부위원장은 전날 '최저임금 차별적용 폐지'를 주장하며 서울 중구 서울지방고용노동청에서 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 면담을 요구하다가 끌려간 민주노총 조합원들을 언급하며 울먹였다.
이 부위원장은 "한 달에 200만원 남짓 받는 최저임금 노동자들은 임금이 더 내려가면 이 미친 물가의 시대에 더 살 수가 없다"면서 "최저임금 차등 적용은 어떤 노동에 대해서는 임금의 최저수준을 보장하지 않고, 어떤 노동자에 대해선 생활 안정을 보장하지 않겠다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최저임금 차등 적용은 최저임금법 목적과 취지를 정면으로 위배한다"며 "최저임금위에서 차등 적용을 논의하고 있다는 것 자체를 부끄러워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 부위원장은 "최저임금 노동자는 세금을 제하면 한 달에 185만원 정도 받는데, 최저임금위에 보고된 작년 기준 비혼 단신 노동자 실태 생계비가 246만원"이라며 "이런 상황에서 185만원으로 가정을 꾸리고 가정의 생계를 책임지는 노동자 임금을 더 깎자고 하는 것이 맞느냐"고 비판했다.
그는 "소상공인과 자영업자 고통은 거대 기업의 수수료 강탈, 높은 대출이자, 프랜차이즈의 골목시장 잠식 등에서 비롯되는데, 경영계는 이런 일은 없는 것처럼 말하고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를 내세워 노동자 임금을 깎으려 한다"고 강조했다.
다른 근로자위원인 류기섭 한국노총 사무총장은 "최저임금위는 저임금 노동자 생활을 개선하고 안정시키기 위해 최저임금을 심의할 의무와 책임이 있다"며 "최저임금 본래 목적과 무관한 업종별 차별 적용 주장은 멈추고, 내년 최저임금 수준과 관련된 논의를 시작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날 전체회의에선 공익위원 간사인 권순원 숙명여대 교수가 모두발언에 나서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최선의 결과가 도출되도록 집중력을 발휘해 심의에 임하겠다"라고 밝혔다.
최저임금위가 법적으로 내년 최저임금 심의를 마쳐야 하는 기한이 이날이어서 시간에 쫓기지 않겠다는 취지의 설명을 내놓은 것으로 보인다.
권 교수는 "최저임금은 전원회의 내에서 논의된다"며 최저임금위 외부에서 거론되는 사안들은 사실이 아니라고 강조하기도 했다.
이날 전체회의에선 최저임금 구분 여부를 두고 표결이 이뤄질 전망이다.
또 노동계와 경영계의 내년도 최저임금 최초 제시안이 발표될 수 있다. 노동계 최초 제시안은 준비가 된 상태라고 한국노총은 밝혔다.
최근 표결 결과를 보면 2019년 최저임금을 정한 2018년 최저임금위에서는 출석위원 23명 중 14명이 반대, 2019년에는 27명 중 17명, 2020년에는 27명 가운데 14명이 반대해 부결됐다.
2021년엔 15명이 반대, 11명이 찬성, 1명이 기권했다. 2022년엔 16명이 반대, 11명이 찬성했으며, 작년엔 15명이 반대, 11명이 찬성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경영계는 '최저임금 수용성'을 들어 업종별 차등 적용이 필요하다고 주장했고, 노동계는 '임금 최저수준 보장과 근로자 생활안정'이라는 최저임금 취지를 고려해 차등 적용 주장을 중단하라고 요구했다.
27일 정부세종청사 최저임금위원회 대회의실에서 열린 제6차 전체회의에서 최저임금 업종별 차등 적용 논의가 본격화했다.
사용자위원인 류기정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 전무는 "현재 최저임금은 적정 상한선인 중위임금 60%를 넘어서 중위임금의 65.8% 수준"이라며 "일부 업종에서는 최저임금이 중위임금의 90%에 육박한다"고 지적했다.
류 전무는 "숙박과 음식업 등을 위주로 현재 최저임금도 감당하기 어렵다는 목소리가 커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현실을 외면한 채 업종 구분 없이 일률적으로 최저임금을 인상한 관행을 이제는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다.
다른 사용자위원인 이명로 중소기업중앙회 인력정책본부장은 최저임금 차등 적용 시 노동계가 우려하는 점 중 하나인 '적용업종 구인난'에 대해 "구인난이 발생했다는 것은 경영 상황이 괜찮다는 뜻으로, 그런 기업은 최저임금과 관계 없이 적정 수준 임금을 지급해 구인난을 해결할 수 있다"고 반박했다.
경영 상황이 좋은 대기업이나 우량 중소기업도 업종에 따라 차등 적용 대상이 되면서 낮은 최저임금이 적용될 수 있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그런 기업은 (차등 적용) 대상에서 제외하면 된다"고 했다.
이 본부장은 "기업의 지불능력이 낮아지는 건 근로자 노동생산성과 경영자 경영생산성이 낮은 결과로, 노사 공동책임인데 사용자만 책임지는 것은 불합리하다"라면서 "(차등 적용으로 낮은 최저임금을 받게 되는) 근로자 생활수준 보장은 정부가 근로장려세제 등 사회복지정책으로 해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근로자위원인 이미선 민주노총 부위원장은 전날 '최저임금 차별적용 폐지'를 주장하며 서울 중구 서울지방고용노동청에서 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 면담을 요구하다가 끌려간 민주노총 조합원들을 언급하며 울먹였다.
이 부위원장은 "한 달에 200만원 남짓 받는 최저임금 노동자들은 임금이 더 내려가면 이 미친 물가의 시대에 더 살 수가 없다"면서 "최저임금 차등 적용은 어떤 노동에 대해서는 임금의 최저수준을 보장하지 않고, 어떤 노동자에 대해선 생활 안정을 보장하지 않겠다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최저임금 차등 적용은 최저임금법 목적과 취지를 정면으로 위배한다"며 "최저임금위에서 차등 적용을 논의하고 있다는 것 자체를 부끄러워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 부위원장은 "최저임금 노동자는 세금을 제하면 한 달에 185만원 정도 받는데, 최저임금위에 보고된 작년 기준 비혼 단신 노동자 실태 생계비가 246만원"이라며 "이런 상황에서 185만원으로 가정을 꾸리고 가정의 생계를 책임지는 노동자 임금을 더 깎자고 하는 것이 맞느냐"고 비판했다.
그는 "소상공인과 자영업자 고통은 거대 기업의 수수료 강탈, 높은 대출이자, 프랜차이즈의 골목시장 잠식 등에서 비롯되는데, 경영계는 이런 일은 없는 것처럼 말하고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를 내세워 노동자 임금을 깎으려 한다"고 강조했다.
다른 근로자위원인 류기섭 한국노총 사무총장은 "최저임금위는 저임금 노동자 생활을 개선하고 안정시키기 위해 최저임금을 심의할 의무와 책임이 있다"며 "최저임금 본래 목적과 무관한 업종별 차별 적용 주장은 멈추고, 내년 최저임금 수준과 관련된 논의를 시작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날 전체회의에선 공익위원 간사인 권순원 숙명여대 교수가 모두발언에 나서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최선의 결과가 도출되도록 집중력을 발휘해 심의에 임하겠다"라고 밝혔다.
최저임금위가 법적으로 내년 최저임금 심의를 마쳐야 하는 기한이 이날이어서 시간에 쫓기지 않겠다는 취지의 설명을 내놓은 것으로 보인다.
권 교수는 "최저임금은 전원회의 내에서 논의된다"며 최저임금위 외부에서 거론되는 사안들은 사실이 아니라고 강조하기도 했다.
이날 전체회의에선 최저임금 구분 여부를 두고 표결이 이뤄질 전망이다.
또 노동계와 경영계의 내년도 최저임금 최초 제시안이 발표될 수 있다. 노동계 최초 제시안은 준비가 된 상태라고 한국노총은 밝혔다.
최근 표결 결과를 보면 2019년 최저임금을 정한 2018년 최저임금위에서는 출석위원 23명 중 14명이 반대, 2019년에는 27명 중 17명, 2020년에는 27명 가운데 14명이 반대해 부결됐다.
2021년엔 15명이 반대, 11명이 찬성, 1명이 기권했다. 2022년엔 16명이 반대, 11명이 찬성했으며, 작년엔 15명이 반대, 11명이 찬성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탈 서울 기업들 몰리는 청라 국제도시…新랜드마크 ‘청라파이낸스센터’ 주목
2 코스피 2400선 내줘…8월 '블랙먼데이' 이후 처음
3대한전선, 역대 최대 수주 잔고…실적 상승세 가속
4도미노피자, ‘K-쌈장 채끝 스테이크 피자’ 출시 프로모션 진행
511번가, 3분기 영업손실 55% 개선…오픈마켓은 8개월 연속 흑자
6“최대 80% 할인”…LF몰, ‘블랙프라이데이’ 시작
729CM ‘이굿위크’ 누적 거래액 1100억 돌파
8뉴욕증시, 파월도 인정한 인플레 불안…나스닥 '휘청'
9노티드, 2024 크리스마스 케이크 출시 및 사전예약 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