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100대 CEO] ‘정통 현대맨’이 이끄는 HMM
28위 HMM 김경배 대표이사

/ 2009년 현대글로비스 대표이사 부사장 / 2013년 현대글로비스 대표이사 사장 겸 이사회 의장 / 2018년 현대위아 대표이사 사장 / 2021년 현대위아 고문 / 2022년 HMM 대표이사 [사진 HMM]
이후 2000년 현대자동차 미주법인 최고재무책임자(CFO) 부장을 시작으로 ▲현대모비스 기획실장 ▲현대자동차그룹 비서실장 상무 ▲현대자동차그룹 글로벌전략실장 전무 등의 주요 요직을 거쳤다.
이어 2009년부터 2017년까지 현대차그룹의 철강·설비·건설 물류 계열사인 현대글로비스에서 대표이사를 했다. 2018년엔 자동차 부품사인 현대위아 대표이사를 역임한 뒤 2022년 HMM 대표이사 사장으로 취임했다.
김 대표의 HMM은 사업 확장을 통한 몸집 키우기로 생존 전략을 모색하는 중이다. 김 대표는 지난 4월 당시 보유 중이던 벌크선 36척을 2030년까지 110척으로 늘리겠다는 중장기 계획을 밝힌 바 있다. 컨테이너선 확대는 약 130척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벌크선은 포장하지 않은 건화물을 적재해 실어 나르는 선박으로 철광석과 유연탄 등 원자재 운송에 주로 사용된다. 컨테이너선과 달리 장기 운송계약이 많아 안정적인 수익 창출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컨테이너선 선복량 확대도 순항 중이다. HMM은 올해 컨테이너 선복량을 약 100만TEU(1TEU=20피트 컨테이너 1대 크기)까지 늘린다는 경영 목표를 세운 바 있다. HMM의 선복량은 연초 81만TEU에서 현재 87만 TEU까지 늘었다. 초대형 컨테이너선 비중이 높으면 한 번에 많은 물동량을 옮길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 밖에도 해운업계의 글로벌 환경 규제 대응력을 높이기 위한 ‘넷제로(NetZero)’ 달성 시점을 기존 2050년에서 2045년으로 당기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퍼스트 버서커: 카잔’의 글로벌 순항…호평 이끈 세 가지 키워드
2국제 금값 '사상 최고치'…관세 갈등 속 안전자산 선호 급증
3홍현희 제이쓴 60억 집 떠나는 이유…오은영 발언 때문?
4이병헌 이민정 출산 후 시력 잃고…"아이 바뀐거 아니야?"
5 이재명 “국회 세종의사당·대통령 세종 집무실 임기 내 건립”
6트럼프 "큰 진전"…美·日 무역협상 전격 개시
7“韓 스타트업, 해외 투자 유치 위해선 ‘단일성’ 버려라”
8유사나헬스사이언스, 셀라비브 리서페이싱 앰플 세럼 임상 연구 결과 발표 …2주 만에 피부 개선 효과 입증
9구다이글로벌, 더마 코스메틱 브랜드 ‘닥터나인틴’ 론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