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부동산 신고 지연·집값 띄우기 등 위법행위 1000여건 적발
의심거래 집중조사, 과태료 40억원
탈세 의심, 국세청 통보

[이코노미스트 이병희 기자] 서울시는 지난해 7월부터 올해 6월까지 1년간 부동산 거래 중 위법행위 1000여건을 적발해 40억원의 과태료를 부과했다고 12일 밝혔다.
위법행위를 유형별로 보면 지연 신고가 819건을 차지했다. 부동산 거래를 체결하면 계약일로부터 30일 이내에 거래정보를 관할 지방자치단체에 신고해야 하는데, 이를 지키지 않은 것이다. 미신고·자료 미(거짓)제출 145건, 거래가격 거짓 신고 53건 등 순이었다.
위법행위로 인한 과태료 부과 외에 특수관계인 간 편법 증여 의심, 차입금 거래 등 양도세 및 증여세 탈루로 추정되는 3019건에 대해선 국세청에 통보 조치를 끝냈다고 전했다. 매도인과 매수인이 아파트를 3억원으로 거래 신고했지만, 실거래가인 4억3000만원보다 낮게 신고한 사실이 드러나 서울시가 이들에게 각각 과태료 2000만원 이상을 부과하기도 했다. 거래가격 거짓 신고와 관련해 공인중개사에게 2600만원, 매도인과 매수인에 대해 거짓 신고 조장·방조로 과태료 200만원씩을 부과했다.
이 외에도 서울시는 ‘집값 띄우기’를 막기 위한 조치도 시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집값 띄우기는 높은 가격으로 거래를 신고해 호가를 끌어올린 뒤 소유권 이전을 하지 않은 채 계약을 해제해 시세를 조작하는 수법을 말한다. 시는 이런 허위계약을 차단하기 위해 거래 내역 중 거래 신고 후 해제된 내용을 국세청에 일괄 통보해 매도인, 매수인에게 위약금에 대한 소득세 등 세금을 부과하도록 조치하고 있다.
조남준 서울시 도시공간본부장은 “향후에도 거래 신고 내용을 상시 모니터링해 이상 거래를 엄밀히 조사해 나갈 것”이라며 “부동산 시장의 거래 질서를 훼손하는 시장교란 행위를 차단하고 실수요자 중심의 건전하고 투명한 부동산 거래 질서를 확립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셀트리온, 중남미 지역 주요 국가 입찰 성과 확대
2아이더세이프티, ‘2025서울모빌리티쇼’서 프리미엄 워크웨어 신제품 공개
3쿠팡, 3조원 돌파…온라인쇼핑 1위 독주 체제 굳건
4미중 통상 전쟁 불똥 K-배터리에도…中 기업과 합작 지연·취소 이어져
5한화 금융계열사, 대전서 ‘라이프플러스 브랜드 데이’ 연다
6美 관세 충격에도…한은, 기준금리 2.75% 동결 ‘숨 고르기’
7코스피, 기준금리 동결에 상승 전환…기관 매수에 2460선 회복
8KB증권, 해외주식 타사대체 입고 이벤트 실시
9삼성증권, 블룸버그 WTI원유 선물 추종 ETN 3종 상장